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가 걸을 수 있는게 중력때문인걸로 알고 있는데 중력이 약하면 걷기가 힘든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걸을 수 있는 이유는 전자기력 때문입니다. 흔히 마찰력이라고하죠. 하지만 중력의 영향 또한 무시못합니다. 중력에 의해 우리 몸이 지구 중심으로 힘을 받고 있고, 우리의 발과 지면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전자기력)에 의해 앞으로 걸을 수 있는것이죠. 만약 마찰력이 없다면 모든 사람들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을것입니다. 미끌리기 때문에 앞으로 나아가지 못합니다.중력이 약한 달에서 걷는다고 생각하면, 더욱 멀리 걸어나갈 수 있을것입니다. 몸이 가볍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또한, 중력이 없는 우주선에서 움직이는 행위를 할 수 있는 이유도 마찰력 때문이죠.
학문 /
물리
22.08.08
0
0
달에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나요? 이번 다누리호의 임무에 물 발견이 있더라구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NASA에서도 이에 대해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앞으로 달 탐사가 꾸준히 이루어 진다면 언젠가는 물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8
0
0
섬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고계신대로입니다. 추가로 더 말씀드리자면, 요새는 관광지나 미관을 위해 인공섬을 만들기도합니다. 또 해수면이 높아져 육지로 범람하여 섬이 될수도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08
0
1
침에서 원래 냄새가 나는건가요 아니면 입냄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치석이나 편도 결석, 이물질이 모여 구취를 유발합니다. 이때문에 침에서도 냄새가 나는것이죠. 그래서 식후 양치하는 습관과 가글하는 습관을 들이시면 구취를 어느정도 줄이실 수 있을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08
0
0
슈뢰딩거의 고양이 양자역학 실험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사고실험입니다. 실제로 실험하는것이 아닌 가정을 하면서 생각으로 실험하는것이죠.우리가 흔하게 접하거나 알고있는 과학적인 현상들은 정확한 답이 있습니다. 하지만 양자역학에서 설명하는 현상은 확률적이라는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온 사고실험입니다.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자속에 고양이가 있다고 생각하죠. 그리고 상자밖에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50퍼의 확률로 독가스가 나오고, 50퍼의 확률로 음식이 나옵니다. 만약 우리가 버튼을 눌렀을 때 고양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이를 양자역학에서 고양이는 살아있기도하고 죽어있기도한다라고 표현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8.04
0
0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 것들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것을 실감하고싶으신거 같아서 답글 달아드리겠습니다. 비유를 하자면 우리의 몸이 세면대 싱크대로 빨려들어간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세면대 싱크대로 우리 몸이 들어가기 위해서는 조금 잔인한 이야기지만, 찢어지고 수축되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블랙홀은 작은 반경의 강한 중력을 내뿜고있습니다. 때문에 블랙홀로 빨려들어간다면 블랙홀의 중심으로 몸이 압축되고, 다리 부분이 머리 부분보다 더 빨리 빨려 들어가기 때문에 위아래로 몸이 찢길것입니다. 만약 출구가 있어서 나온다면 이미 분해된 후이기 때문에 되돌리기는 불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4
0
0
양자역학은 들어봤는데 미래에 양자 컴퓨터가 나온다는데 이것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존에 컴퓨터는 0과 1 (on, off)식의 이진법을 기반으로합니다. 이를 비트 단위라고도 합니다.하지만, 양자컴퓨터는 0과 1을 중첩하여 가질 수 있습니다. (양자역학에서의 중첩상태)이를 큐비트(qubit)라고 합니다.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에 비해 엄청난 속도의 연산이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비트와 큐비트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시면 빠를것입니다.비트(이진법)에서 0~3까지 표현하는 방법은 00, 01, 10, 11 4가지입니다. 한번에 하나씩 표현할 수 있죠. 00=>0 ,01=>1, 10=>2, 11=>3 이런식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하지만, 큐비트(양자 중첩)에서 0~3까지를 표현할 때는 동시에 한번에 표현합니다. a l00>+b l01>+c l10>+d l11> (a,b,c,d는 lal^2+lbl^2+lcl^2+ldl^2=1 입니다.)따라서, 연산에 있어서 큐비트가 비트에 비해 훨씬 빠른연산이 가능합니다.사용용도는 복잡한연산이나 암호해독, 수학문제 등을 풀어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04
0
0
싱크홀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싱크홀은 땅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지반이 약해져 생깁니다. 주로 지하에 가득차있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빈공간을 만드는데 이로인해 싱크홀이 생깁니다. 예방하는 방법은 지하수의 분포를 파악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을 확실히 구분하는 방법이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8.04
0
0
광케이블은 어떤 원리로 동작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광케이블은 말그대로 전기가아닌 빛(광)을 전달하는 케이블입니다. 광케이블은 빛의 전반사의 원리로 설계되었으며, 크게 두개의 매질로 구성되어있는데, 바깥쪽은 굴절률이 큰 매질 안쪽은 굴절률이 작은 매질로 구성되어 빛이 전반사하여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8.04
0
0
빛의속력으로 움직이면서 세상을 보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는 빛의 속력과 동일할 수는 없지만 빛의속도에 근접할 수는 있습니다. 상대성이론에 따라 빛의 속력에 버금가는 속력으로 달리는 물체에서 사물을 보면 길이가 수축되어 보입니다. 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수축이 일어나지만, 수직한방향으로는 수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8.04
0
0
568
569
570
571
572
573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