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닷가에 해무가 짙게 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차가워진 공기(특히 밤)를 만나거나 습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수증기가 뭉쳐 물방울이 됩니다. 그러면서 안개가 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0
0
0
살아있는 곤충을 잡아먹는 식물이 있다는게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식물이 맞습니다. 식충식물은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잡아먹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동물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고, 몸에 뼈도 존재하고 내장기관도 존재하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7.20
0
0
반딧불이는 생물학적으로 어떻게 배에서 빛을 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정도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0
0
0
공업수학 주기가 2인 주기함수 f(x)는 Fourier 급수를 이용하는 문제입니다. 정답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푸리에 급수는 cos항이나 sin항 또는 exp항 앞의 계수를 결정함으로써 완성되는 원리입니다.이 문제와 앞서 풀어드린 문제처럼 같은 원리로 푸시면 쉽습니다. 이 문제를 잘 이해하셔서 다른 문제는 스스로 풀어보시길 권장드립니다.1. ao구하기. <- 그냥 적분하면됨f(x)=x^2=a0+Σan cos(nπx)이 식에서 -1<x<1 구간으로 양변을 적분해줍니다.cos항은 0이되고,2/3=2ao가 되므로, ao=1/3입니다.2. an결정하기 역변환 취하는 과정입니다. 단순히 an에 붙어있는 함수를 곱하여 적분해주면됩니다.f(x)=x^2=a0+Σan cos(nπx)이 식에서 양변에 cos(mπx)를 곱하여 x로 -1<x<1 적분해주겠습니다.cos(mπx) x^2=1/3 cos(mπx)+Σan cos(nπx) cos(mπx)=> ∫[cos(mπx) x^2]dx=1/3 ∫[cos(mπx)]dx+Σan ∫[cos(nπx) cos(mπx)]dx=> [4 (-1)^m]/(m^2 π^2)=1/3*0+Σan δnm여기서, 좌변의 적분은 mπ를 변수로 두고 미분한 뒤 적분하여 계산이 가능하고, 또 부분 적분법을 사용해도됩니다. 우변은 2 cos a cos b=cos(a+b)+cos(a-b)와 같은 식을 이용해 적분 가능합니다. 즉, cos((n+m)πx)항과 cos((n-m)πx)에 대한 적분입니다. 여기서 적분하면 sin꼴이 나와 다 0이되는데, m=n이 같을 때에만 살아남습니다. 그래서 δnm골로 적은겁니다.[4 (-1)^m]/(m^2 π^2)=Σan δnm=> [4 (-1)^m]/(m^2 π^2)=am=> an=[4 (-1)^n]/(n^2 π^2)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혹시 이해를 못하셨을 수도 있으니 사진의 과정대로 적어드리면,∫[cos(nπx) x^2]dx=an (-1<x<1)좌변은 우함수라서,2∫[cos(nπx) x^2]dx=an (0<x<1) 입니다.또한,이 적분 결과는an=[4 (-1)^n]/(n^2 π^2) 이므로,n이 짝수일 때,an=4/(n^2 π^2)n이 홀수일 때,an=-4/(n^2 π^2)입니다.따라서,f(x)=x^2=a0+Σan cos(nπx)f(x)=x^2=1/3-4/(π^2) Σ[(-1)^(n+1)]/(n^2) cos(nπx)입니다.마지막으로 x=1을 넣으면f(1)=1=1/3-4/(π^2) Σ[(-1)^(n+1)]/(n^2) cos(nπ)=> 1=1/3-4/(π^2) Σ[(-1)^(n+1)]/(n^2) (-1)^n=> 1=1/3-4/(π^2) Σ[-1]/(n^2)=>2/3=4/(π^2) Σ1/(n^2)=>π^2/6= Σ1/(n^2)=ζ(2)가됨을 알 수 있습니다.이 문제는 유명한 바젤 문제이며, 리만-제타 함수에 2를 넣은 값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0
0
0
이 사진을 보고 퀘이사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사진만 보고는 알 수 없습니다. 표시된 천체에 대해 자세히 연구한 뒤에 퀘이사로 판명하여 표시한 것이죠. 일반인들이 딱보고 알 수있는 것은 아닙니다. 퀘이사의 경우 초거대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렌즈효과를 발생시킵니다. 퀘이사 주변의 빛을 연구하여 판명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0
0
0
공기를 넣은 풍선과 헬륨을 넣은 풍선은 달리는 자동차에서 움직임이 반대이던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관성의 법칙과 밀도 때문입니다.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뜨기 마련입니다.그리고 달리는 차량 내에는 공기가 가득차있고, 만약 차량이 순간적으로 멈추거나 급발진을 하면 몸이 쏠리듯이 공기도 한쪽으로 쏠립니다. 차량이 급발진하는 경우 관성에 의해 몸이 뒤로 쏠림을 느끼듯이 공기도 뒤로 쏠립니다. 이 때 헬륨 풍선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쏠리고 있는 공기랑은 반대에 위치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공기가 뒤로 쏠림으로써 공간을 채우고, 헬륨은 밀도가 낮아 공기 층을 뚫고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3.07.19
0
0
두사람이 함께 잠을 잘때 같은 포즈로 자는 경우가 많이 생기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연의 일치이며 사람들이 잘 때의 모습은 몇가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크게 왼쪽으로 눕거나 오른쪽, 엎드리기, 정자세가 있죠. 이러한 모습이 편한 자세이며 우연히 같은 자세를 취할 때를 포착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유전적으로 편한자세가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9
0
0
배터리 용량 잔여량에 따라서 무게가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무게변화는 없습니다. 베터리는 내부 화학물질이 이온화 된 상태로 분극 되어있습니다. 즉, 한쪽에는 +를 띤 물질이 다른 쪽에는 상대적으로 -를 띤 물질이 존재하죠. 이렇게 이온을 띤 물질이 +, -가 나뉘어져 전기에너지(전압)를 만들게 되고,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것이죠. 이를 사용하면 분극된것이 서서히 붙어 전기적 중성을 이루어 전압을 만들지 못하고 방전됩니다. 충전기에 꽂아 충전시키면 다시 분극이 되는 것이죠.
학문 /
화학
23.07.19
0
0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것은 비행기, 새 등이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를 이용한 것은 헬리콥터, 드론, 로켓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은 조수간만의 차라고 하는것이죠. 조수간만의 차는 태양, 달의 만유인력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그리고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하면서 우리나라가 달과 가까워지거나 태양과 가까운 위치에 놓일 때가 있습니다. 이때 만유인력이 작용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태양이나 달과 가장 멀어지는 시기에 해수면이 하강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수간만의 차가 나타나죠.밀물과 썰물이 생기지 않는 경우 파도가 거의 치지 않아 잔잔하며, 퇴적, 침식 작용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염전이나 갯벌이 없을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