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깨끗한오색조199
깨끗한오색조19923.07.19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인가요?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인가요?

그 무거운 비행기가 날아가는게 너무나 신기합니다.

원리가 따로 있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

    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것은 비행기, 새 등이 있습니다.

    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를 이용한 것은 헬리콥터, 드론, 로켓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곡면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합니다. 날개 위쪽은 볼록한 형태이고, 아래쪽은 평평하거나 약간 오목한 형태입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가 비행할 때 공기의 흐름이 위쪽으로 빠르게 흐르고 아래쪽으로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 차이로 인해 압력 차가 발생하고, 이 압력 차이로 인해 비행기는 양력을 얻게 됩니다. 엔진을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킵니다.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켜 생기는 가스를 배출하고, 이 가스의 방출로 인해 비행기는 반작용 법칙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추진력을 얻습니다. 추진력은 비행기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고, 공기 저항과 중력을 이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원리는 양력입니다. 양력은 날개에 의해 생성되는 힘으로 비행기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입니다. 양력은 날개가 공기의 흐름을 가로지르면서 생성됩니다. 날개는 위쪽이 평평하고 아래쪽이 휘어져 있습니다. 공기는 위쪽보다 아래쪽에서 더 멀리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쪽은 위쪽보다 더 많은 공기의 압력을 받습니다. 이로 인해 위쪽과 아래쪽의 압력차가 생기고 이 압력차가 비행기를 위로 들어 올리는 힘을 생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의 날개에는 떠받히는 공기의 힘, 즉 양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날개 모양은 위쪽과 아래쪽에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다르게 만듭니다, 이 때문에 날개의 위와 아래의 압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즉 날개의 아래쪽에는 높은 압력이 발생하고 위쪽에는 낮은 압력이 발생하죠.

    이 때문에 비행기를 뜨게 만드는 양력이 발생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