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냉장고의 가동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냉장고의 냉기를 만들어 내는 원리는 에어컨과 비슷한 원리입니다.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게되는데 순환하면서 냉각 과정을 거칩니다.공기가 냉매제가 있는 부분을 지나며 냉매제가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화되고 공기는 차가워지죠. 차가워진 공기를 냉장고 내부로 다시 내보내고 기화된 냉매제는 압축기와 응축기를 지나며 열을 방출해내 다시 액화되어 냉장고 내의 열기를 빼앗기를 반복합니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냉장고나 에어컨의 원리입니다.
학문 /
화학
23.07.18
0
0
현대과학에서도 아직도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한 것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다고 가정하며,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보다 느립니다. 그리고 빛은 질량이 없습니다.또한, 현재 발견된 물질 중 빛보다 빠른 물질은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 앞으로 발견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하며 만약 빛보다 빠른 물질이 발견되면 기존에 이론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이론이 등장해야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바닷물에 사람이 잘 뜨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에 의해 밀도(부피당 질량)가 큰 물질과 밀도가 작은 물질이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이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이 뜨게됩니다. 바다는 염분이나 미네랄, 기타 물질이 물에 녹아있기 때문에 밀도가 1보다 큽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 밀도가 1보다 작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밀도가 바다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에 사람이 바다 위에 뜰 수 있는 것이죠. 또한, 강물의 경우 염분이 없어 밀도가 낮아 사람과 비슷한 밀도인데, 사람의 평균 밀도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팔 다리를 젓거나, 공기를 많이 들이마시면(밀도를 낮추면) 쉽게 뜰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공기가 들어있는 공을 물속으로 가라앉힐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학적으로 가능합니다. 공기가 들어있는 공이 물에 뜨는 이유는 부력때문입니다.그런데, 만약 이 부력보다 큰 힘을 가해주게 되면 물체는 가라앉게되죠. 예를 들어 공기가 든 공에 줄을 감아 밀도가 높은 쇳덩이를 여러개 묶으면 가라앉게됩니다.<부력>물보다 밀도가 큰 물체는 중력에 영향이 더 커 물에 가라앉게 됩니다. 하지만 물보다 작은 밀도의 물체(나무, 스티로폼, 튜브 등)는 중력에 의한 영향보다 부력이 더 커 물 위에 뜨는것이죠. 그래서 물 속 특정 부피에 해당하는 공간에 물체를 넣는다고 치면 진공으로 두는 것이 가장 부력이 크며, 물보다 작은 밀도일수록 부력이 크게 작용합니다.
학문 /
물리
23.07.18
0
0
생리는 왜 한 달에 한 번씩 나오는 것일까요? 석 달이나 6개월에 한 번이면 더 좋을텐데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리의 주기는 배란부터 난자의 방출 다시 배란까지의 과정상 걸리는 시간이 28일~한달정도이기 때문입니다. 동물의 경우 종에따라 이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생리의 주기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8
0
0
에어컨을 무조건 위쪽에 설치하는 과학적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의 순환을 돕기 위해서입니다. 찬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밀도가 높아 무거워 가라앉게 됩니다. 만약 에어컨이 아래에서 설치되어 에어컨에서 나오는 찬공기가 그대로 땅바닥으로 가면 공기의순환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에어컨을 위쪽에서 분사하면 찬공기가 가라앉으면서 공기를 순환시켜 더빠르게 시원하게 만들어주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7.18
0
0
의식이 없을 때 정확하게 눈의 어떤 현상을 보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의식을 잃게되면 뇌가 시각정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눈이 뒤집히는것입니다. 즉, 기절하거나 의식을 잃으면서 눈이 뒤집힌다는 것은 앞이 깜깜하게 보입니다. 의식을 잃은 경우 대부분 눈동자가 위로 향하게 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에탄올과 알코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알코올은 탄소, 수소,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을 포괄하여 말하는 용어입니다. 에탄올도 알코올의 종류중 하나이죠. 에탄올, 메탄올 등은 모두 알코올의 일종입니다. 에탄올(C2H5OH)은 에틸알코올(C2H5OH)로 소주나 주류에 포함된 성분입니다. 간단하게 알코올이 더 큰 범주이고 에탄올은 알코올에 속한 특정한 물질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학문 /
화학
23.07.18
0
0
기찻길이 여름과 겨울에 길이가 달라진다고 하던데 과학적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의 정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물리적으로 온도라는 것은 입자, 분도의 평균 운동에너지(운동의 활발성)입니다.모든 물질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진동이나 움직임이 활발해집니다. 철길 역시 고체지만 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철길에 열을 가하면 온도가 증가하여 내부 분자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팽창을 합니다. 그래서 길이가 늘어나게 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나침판을 볼때 자기장세기 관련?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집에 전기류가 많아도 이 전기류가 지구자기장과 비슷한 크기의 자기장(40μT=400mG)을 형성시킨다면 나침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경우 평균적으로 0.7mG으로 지구자기장에 비해 대략 천배나 작습니다.19-30의 단위가 μT라면 나침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단위가 mG이면 나침반이 어느정도 제대로 작동한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8
0
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