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번개가 자동차에 떨어졌을 때 핸들이나 엑셀에 접촉되어 있어도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량 내부에서 번개를 맞았을 때 핸들이나 액셀에서 접촉부위를 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최대한 차량 내에 있는 쇠, 알루미늄 부위를 만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만약 차량이 벼락을 맞게되면, 내부에 사람들은 무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차량의 겉 부분이 도체 역할(차폐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내부에 전류가 흐르지않고 차량 표면으로만 전하가 분포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차량 내부는 안전합니다. 하지만 벼락을 맞은 즉시 당황하셨다고 절대 차량 문을 열거나 하시면 안됩니다. 차량 표면에 남아있는 전자(-)가 다수 있기 때문에 문을 열면서 틈이 생기게 되고 문과 차 사이에 전류가 흘러 방전이 일어나 사람을 감전 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에서는 차와 연결된 쇠, 금속 부위를 만져서는 안되며 구조대를 불러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4
0
0
지구의 바다 속(특히 심해)은 극히 일부만 인간이 탐사했다고 하는데 왜 못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의 깊이를 끊임없이 탐사하였는데, 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08m입니다.심해의 최대 깊이는 11034m이며 아직 도달한 깊이는 아닙니다. 바다의 깊이를 조사하여 평균을 낸 결과 바다 깊이의 평균은 4117m입니다.심해를 탐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심해는 보통 잠수정이나 사람이 버티기 힘든 고압의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잠수정을 타고 10908m나 내려갔기 때문에 기술력은 어느정도 갖춰진 상황입니다. 그렇다고 오래동안 탐사를 하거나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어떤 위험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4
0
0
가스형 살충제를 뿌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라이터를 켜면 폭발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험합니다. 살충제 스프레이의 경우 가연성 물질이기 때문에 불이 굉장히 잘 붙습니다. 살충제를 뿌린 뒤 라이터를 켜게되면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적절히 환기를 하시고 켜시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
23.07.14
0
0
삼투압 현상은 어떻게 설명되며 일상해서 확인할 수 있는 사례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삼투압은 농도가 낮은 곳과 농도가 짙은곳이 얇은 막으로 나뉘어져 있을 때 농도가 낮은 곳의 수분이 농도가 짙은 곳으로 수분이 흡수되는 현상입니다.일상생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례는 라면을 먹고 자거나 짠음식을 먹고 잘 경우 체내 염분의농도가 높아져 체내로 수분이 많이 흡수되어 얼굴이 붓는 경우.파스와 같은 것도 삼투압 원리가 적용되어있으며, 나무 뿌리가 물을 흡수하는 원리, 김장을 할 때 배추에 소름을 뿌려 놓는 것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4
0
0
블루투스는 어떤 원리로 신호를 전달하는 기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투스는 2402~248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총 79개의 채널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고주파를 저전력 전파로 발생시켜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하게 합니다. 이 때 79개의 채널을 1초당 1600번 전송하는데, 패턴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와 간섭을 최소화 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4
0
0
천둥 번개는 어떻게 생성되는 것인지 과학적으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4
0
0
소금은 얼음을 붙이는 기능을 하는거 같은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물계 제설제(소금)는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아버리죠.만약 얼음과 얼음 사이에 소금을 소량 넣으면, 얼음 표면이 살짝 녹긴하는데, 얼음의 양이 많을 경우 녹은 물이 다시 얼어 붙어 얼음과 얼음이 붙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4
0
0
먹방bj들이 엄청난 양의 음식을 먹을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먹방bj나 많은 양의 음식을 잘 드시는 분들은 처음부터 많이 먹었던 것은 아닙니다. 조금씩 많이 먹게되면 서서히 위가 늘어나 수용할 수 있는 음식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음식을 먹을 수 있죠. 실제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분들의 위를 촬영해보면 빈공간을 가득 매울만큼 늘어나있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4
0
0
블랙홀은 주변의 모든 것들을 끝도 없이(무한대로) 집어 삼킬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블랙홀은 밀도가 굉장히 높은 질량체로 강한 중력(만유인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에 물체를 끌어당깁니다. 물론 블랙홀의 증발도 일어나지만, 흡수되는 양이 많아 거의 영원히 존재할 수 있습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크기가 작은 경우) 증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4
0
0
천둥과 번개는 어떤 이유로 나타나게 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이 번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번개는 단순히 빛의 번쩍임 입니다. 소리가 없습니다. 천둥은 빛의 번쩍임과 소리를 둘 다 한번에 의미합니다. 즉, 천둥이 치면 번쩍임(번개) 뒤에 뇌성(소리)이 들립니다. 또한 번개와 벼락은 같은 의미입니다.이러한 현상은 구름 내 수증기량이 많아지면서 음전하량이 많아져 지상과 전압차가 발생하면서 나타납니다. 전하는 지상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 때 대기에 있는 기체를 타고 이동하며 방전이 일어나는 것이죠. 기체를 타고 가며 기체원자에서 빛이 발생되며, 또 공기의 압축 팽창이 일어나 찢는 소리가 들리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4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