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에 버려진 쓰레기에서 미생물이 여전히 살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 버려진 배설물 등 쓰레기 내의 미생물은 살아있을 수 없습니다. 달에는 대기와 공기가 없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닙니다. 또한, 압력도 굉장히 낮아 지구상 생명체의 몸으로 견디기 힘들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최초의 우주 똥사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의 리허설로 아폴로 10호가 있었습니다. 아폴로 10호를 발사했을 때 당시에는 우주선 내에서 화장실의 개발이 되지 않아 용변처리에 대한 문제가 존재했습니다. 그 시기에 누군가 아폴로 10호 내에서 배변을 보고 제대로 처리하지 않아 둥둥 떠다니는 사건이 발생했죠. 이것이 우주 똥사건 입니다. 물론 이후에 화장실 개발에 힘써 지금의 우주선 내 화장실이 탄생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번개라는 현상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이죠.만약 번개가 치는 지면에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면 번개를 맞는 것입니다. 이는 우연으로 맞는 것입니다. 만약 뾰족한 물체를 들고 있다면 맞을 확률은 올라갑니다. 뾰족한 물체의 경우 번개를 잘 수용하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지구처럼 여러 생물이 같이 살 수 있는 행성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질 확률이 있는 행성(제2의 지구)은 관측이 되었지만 아직 생명체의 유무는 알지 못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블랙홀도 공전이나 자전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블랙홀도 하나의 질량체로 공전이 가능하며 자전도 하고있습니다. 블랙홀의 공전은 관측이 쉽게 가능하나, 블랙홀을 직접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자전을 직접적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그러나 간접적으로 블랙홀의 자전을 확인할 수는 있습니다. 블랙홀 외부 주변 물질의 블랙홀 주변으로 공전을 확인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죠. 또한 블랙홀의 크기는 제한이 없습니다. 다만 블랙홀의 형성조건에 부합해야 블랙홀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크기가 작은 블랙홀부터 큰 블랙홀까지 가능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터지는 원리는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아라비아 고무성분이 들어있는 재료를 사용하면 같은 현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0
0
0
에어컨에 제습기 기능이 있던데 제습기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안에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제습기나 에어컨의 흡입에 의해 빨려들어갑니다. 그리고 제습기(에어컨) 내부에는 냉매가 존재하는데, 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떨어트립니다. 공기의 온도가 떨어지면 포화수증기량(공기중에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이 떨어지게되는데, 쉽게 생각해서 수증기(기체)를 냉각시켜 액화하여 물로 만들어 냅니다. 그러면 제습기(에어컨)에 들어온 공기의 수증기량이 줄어들게 되어 쾌적한 공기로 배출됩니다. 그리고 제습기 안에서 생겨난 물은 제습기 내부의 물통으로 걸러지게 되죠. 이러한 순환 과정을 거쳐 방안 공기를 쾌적하게 만들어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10
0
0
태양의 수명은 어느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 이라고 밝혀져 있습니다. 남은 수명은 대략 54억년정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우주에서의 총알속도는 지구보다 빠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는 지구와 다르게 공기가 없으므로 어떤 저항이 없습니다. 그래서 지구보다는 빠르게 날아갈 수 있으며 더욱 멀리 날아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고위도 지역이 저위도보다 중력이 쎄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엄밀하게는 중력이 세긴합니다. 하지만 아주 미미할 정도입니다. 중력이 센 이유는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 아닌 찌그러진 타원형 이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스스로 회전하는 자전운동을 하고 있으며, 지구가 형성되면서부터 자전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도는 방향으로 조금은 납작한 모양으로 타원형 모양입니다. 그래서 적도 부분은 극지방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편입니다.그리고 중력이란것은 만유인력으로 두 질량체가 서로를 끌어 당기는 힘입니다.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는데, 만유인력은 두 질량체의 거리가 멀어지면 약해지고, 가까워지면 강해집니다. 그런데, 적도 부분은 두께가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경우이며 중력이 약합니다. 하지만 극지방은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워 중력이 강해지죠. 그래서 중력의 차이가 위도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