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소금쟁이가 물 위에 떠있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에는 표면장력이라는 물 분자간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존재합니다. 전기력을 기반으로 한 힘이죠. 컵에 물을 가득 따르고 난 뒤 조금 씩 물을 따라도 물이 바로 쏟아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런 표면장력에 의해 소금쟁이가 물위를 뜰 수 있는 것입니다. 소금쟁이의 다리는 수많은 털이 돋아 있습니다. 이러한 털은 물의 표면장력을 쉽게 끊을 수 없어 물 위를 뜰 수 있게 됩니다. 마치 깃털이 물위를 뜨는 것과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앞으로 목성과 관련된 우주 탐사 계획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NASA에서는 화성에 화성탐사로봇을 보내 탐사중입니다. 또한 일론 머스크는 화성 유인 탐사선을 보내 화성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며, 역사적으로 기록하고픈 일을 하고자합니다. 마치 인류 최초로 달에 유인 우주선 아폴로 11호를 보내 발을 디딘 닐 암스트롱 처럼 말이죠. 그리고, 이러한 탐사는 과학적으로도 유의미한 일이기 때문에 계획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하루에 걷기는 어느정도 걷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걷는것은 하루 만~2만보 정도 하는것이 좋다고들 합니다. 천천히 걷는것이 더 좋을 듯 하네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습관을 들여 꾸준히 지속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꾸준한 운동을 통해 좋은 건강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물리
23.07.09
0
0
유효기간 지난 오래된 아이섀도우가 있읍니다 버리기에는 아깝고 사용하기에는 찝찝하고 어디 활용할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미술이나 예술을 하신다면 미술작품을 만드는데 사용하실 수 있으며, 손이 잘 안닿는곳을 청소할 때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09
0
0
멀티유니버스이론이 가설에 거칠까요? 아님 실제 가능성은 얼마나?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의 기술로 연구는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멀티유니버스, 다중우주이론은 언제든지 가설을 설정하여 세울수는 있지만 이 이론을 뒷받침만한 실험이나 관측 데이터를 얻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현재는 우리 우주의 끝을 알지 못하는 상태이며 그 넘어서는 더더욱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연구는 어려우며, 실제로 가능한지는 감히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미지의 영역이기에 어떠한 가능성이든 열어두고 가설을 세우는 것이 좋기에 반반의 확률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9
0
0
차가운 물이 담긴 병의 외부에 물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여 물이 기체상태로 존재하는것이죠. 그런데 찬물을 컵에 떠놓게 되면 컵은 차가운 상태고, 컵 주변에 공기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열교환이 일어납니다. 컵은 차갑기 때문에 컵이 주변 공기로부터 열을 훔쳐오게되죠. 그러면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컵과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깁니다. 수증기가 열을 뺏기면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더 이상 기체로 존재하지않고 물이되죠. 그래서 컵주변에서 수증기들이 전부 물로 변하여 물방울이 송골송골 맺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3.07.09
0
0
생명체가 지진을 감지하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이상행동이 지진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냐에 대한 연구는 진행중입니다. 만약 동물이 지진을 느낀것이라면 사람보다 감각이 조금 더 예민하여 더 빠르게 감지하여 도망가는 것입니다. 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9
0
0
뜨거운음료는 종이컵에 차가운음료는 플라스틱컵을 쓰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의 경우 55~70도 정도에서 상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환경호르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배출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뜨거운 물을 플라스틱 통에 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하지만 요새는 고온에도 환경호르몬이나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가 개발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플라스틱 컵이나 용기의 유의사항을 보고 100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소재라면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학문 /
화학
23.07.09
0
0
술마신 다음날 맛을 제대로 못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맛을 잘 느낍니다. 맛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에는 코가 막히거나 미각이 둔해진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감기가 걸렸을 때 증상에 가깝네요.
학문 /
화학
23.07.07
0
0
현존 육지 생명체들의 절대적 전투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절대적 전투력이라는 정의는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전부 크기가 같다고 가정하게 되면 고려해야할 변수가 많아 판단이 어렵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7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