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의 여성 왕은 신라시대가 유일한건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반만년의 역사 대한민국에는 왕위에 오른 단 3명의 여왕(27대 선덕여왕, 28대 진덕여왕, 51대 진성여왕)이 존재합니다. 그것도 신라시대에만 존재하고 유일하다고 할 수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6
0
0
조선시대에는 정말 여자가 다모(형사)가 어떻게 될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다모는 관아에서 식사나 차를 끓이고 대접하는 일을 하던 관비였지만 필요에 따라 포도청 산하에서 운영되어 사대부를 은밀히 내사하고 필요하면 체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고합니다. 주로 유교 윤리적인 이유로 남자들이 접근하기 곤란한 곳, 즉여자들이 있는 규방에 투입하였다고하며 확실한 것은 숙종대이고 그 이전에는 포도청 소속으로 기록이 없다고합니다. 수사를 담당했다는 기록은 조선 후기부터 나오며 조선 전기에는 의녀가 사대부 집안의 수색, 여성 관련 사건 등에 동원되었다는 기록은 있습니다. 다모는 과거 양반집에서 반찬 만드는 찬모나 바느질하는 침모처럼 차를 끓여 올리는 하녀 중에서 뽑았다고하며 또 하나는 다모의 '다'가 어린 소녀를 뜻하는 말이라고 해석하여 상대를 방심시키기 위해 나이 젊은 여자들 중에서 뽑았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6
0
0
일주일을 7일로 합의한 이유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주일의 기준이 7일이 된 이유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7일이 한 단위가 된 것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세계관에 따른 결과라고 합니다. 옛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땅을 중심으로 해와 달, 그리고 눈으로 보이는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다섯 행성이 돈다고 생각했습니다. 바빌로니아에서는 각 시간을 이들 일곱 천체가 관할한다고 생각했고 7일을 한 주기로 묶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아브라함계 종교에서는 창세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하나님이 6일간 천지창조를 하고 1일을 쉬었다는 대목에 따라 7일 중 하루를 주일로 보내는 문화가 이어졌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정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뉴딜정책은 미국에서 대공황(1929년)에 대응하여 세운 일련의 ‘사회경제개혁’ 정책의 총칭하는 말입니다. 1933년부터 1938년까지 내놓은 일련의 정책들이며, 흔히 회자되는 경제적 영향 외에도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영향을 남겼고, 결과론적으로 미국이 대공황을 극복하고 명실상부한 초강대국으로 오늘날까지 이르게 한 토대를 만들어주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봉창을 두드린다는 표현이 있는데요. 어디서 이표현이 쓰여지기 시작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는 전혀 관계없이 딴소리를 별안간 불쑥 내놓을 때 하는 말'을 뜻합니다. 옛날 시골 흙벽돌 집에 가면 창문을 달 수도 없어서 문틀 없이 그냥 종이로 창문을 흉내 내서 종이만 발라 놓은 것이 있습니다. 열 수도 없으니 당연이 그걸 '봉창'이라고 합니다. 어느 촌사람이 방안에서 자고 있다고 밖에서 누가 부르니 잠결에 문인지 창인지 구분을 못하고 봉창을 문인 줄 알고 열려고 더듬거리다가 내는 소리가 '자다가 봉창 두두리는 소리'라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윷놀이의 용어인 도, 개, 걸, 윷, 모의 뜻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윷놀이의 용어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뉴질랜드에서는 동물원에서도 뱀사육이 금지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뉴질랜드는 지리적인 특성 때문에 뱀이 살지 않는다고 합니다. 뱀 사육을 금지하는 이유는 생태계의 파괴 때문인 것 같습니다. 뉴질랜드 뱀 전문가 만디 토쳐박사는 “만약 뉴질랜드에 뱀이 서식하게 되면, 자연에서 서식 중인 개구리와 새, 여러 파충류들이 뱀의 먹이감이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조선시대의 비변사는 어떤 기관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변사가 어떤 기관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비변사는 조선의 의결기관으로, '국경 변방의 일에 대비하는 기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변사는 조선중기 왜구 및 여진의 침입에 대한 신속한 대책 마련을 위해 임시 관서로 설치되었습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비변사의 역할이 증대되며 상설관서화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군사와 외교 업무 이외에도 재정과 인사, 의례 등 각종 국가 정책의 입안과 집행을 주도하였다고 합니다. 비변사 기능의 확대·강화는 의정부와 6조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행정체제를 문란하게 만든다는 인식으로 1864년(고종 1) 의정부와 비변사의 업무 한계를 규정하여 외교·국방·치안 관계를 제외한 모든 사무를 의정부에 이관하였고, 이듬해 비변사는 의정부에 그 기능과 체계가 완전히 흡수되면서 폐지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우리나라에도 금광이나 은광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금광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근의 채굴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골든썬 은산광업소 (금광):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부곡길 124-83 (2019년 71kg 채굴)골든썬 모이산광업소 (금광):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옥동길 45-55 (2019년 23kg 채굴)골든썬 가사도광업소 (금광):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산 365 (2019년 107kg 채굴)
학문 /
역사
24.04.05
0
0
우리나라의 헌법은 언제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의 헌법이 제정된 시기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헌법은 대한민국의 통치구조와 국민의 권리의무를 규율한 최상위 법입니다.대한민국 헌법은 1948년에 제정이 되었으며, 제헌 헌법 이래 9차례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4.04.05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