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축구장에 규칙적으로 있는 줄무늬는 무엇때문에 만들어 졌을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축구장에 가면 신기하게 줄무늬가 있습니다.이는 잔디의 깍는면을 달리하면 색이 다릅니다.시각적인 면도 있으며 플레이 할때 영향은 미치지 않습니다.또한 부심의 오프사이드 판정등을 돕기 위해서 입니다.
학문 /
음악
22.11.19
0
0
태종 이방원을 어떻게 판단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간은 권력에 맛을 보면 자식과도 바꾸지 않는다고 했습니다.이방원은 피의 숙청으로 왕권을 강화하고 조선의 기틀을 만든 왕입니다.지금의 역사도 비슷하다 판단 됩니다.역사는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다릅니다.
학문 /
역사
22.11.19
0
0
불교의발상지는 인도 인데요 정작 인도의 대중적인(인도인구90%)종교는 힌두교로 인식되는데 왜 불교가 대중종교가 되지못한 건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에서 불교가 태어났지만 8세기 이슬람의 침입과 불교의 힌두화로 인해 불교가 쇠퇴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철학
22.11.18
0
0
코로나백신 3차까지 맞았는데 또 맞는게 좋습니까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가에 말에 따르면 됩니다.저는2차 까지 맞았는데 3차 맞아야 할것 같습니다.모든것은 보건복지부의 권고에 따르면 무리가 없으실 겁니다.
학문 /
음악
22.11.18
0
0
철학과 인문학은 어떤 연관성이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 철학 언어 문학을 연구하는 것이 인문학이니 인문학과 철학은 관계가 있습니다.철학을 공부한다고 해서 관상을 보는건 아닙니다.관상은 관상학이 따로 있습니다.그러나 철학을 공부하면 부연설명을 부드럽고 조리있게 이야기 할 수있어 철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관상학은 좁은범위 철학은 넓은범위라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학문 /
철학
22.11.18
0
0
빡치다 빡돈다 같은 표현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에 간단히 답변할게요,비속어라 자세하게는 할 수 없습니다.빡치다는 일본어인 파쿠루 정조를빼앗다 훔치다 에서 나왔다고 합니다.빡돈다는 이마빡 .....이정도 에서 이해하여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학문 /
철학
22.11.18
0
0
우리나라에는 언제부터 눈사람이 등장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질문을 시인으로서 답변을 하여 보겠습니다.눈사람은 언제 최초로 만들었는지 누가 만들었는지는 문헌에 나오지 않습니다.눈사람은 흔적없이 녹아서 그런것 이었을까요,누구나 마음속에 눈사람을 하나씩 만들고 살면 어떨까요?그것도 잘 뭉쳐지는 눈으로 만든 눈사람을요,올겨울 아주 작은 눈사람이라도 하나씩 만들어 보아요,행복한 겨울되세요~
학문 /
역사
22.11.18
0
0
그림 전시회를 가면 이상하게 그린 그림을 보면서 모두 감동을 하면서 보더라구요 그림을 잘 보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부분 그렇습니다.그림을 보는방법은 천천히 여유있게,가까이도보고 멀리도 보고, 작가의이력 철학도 보고 이왕이면 해설도 들어보면 조금도움이 됩니다.미술이란건 정말 어려운 것이니 아는 만큼보이며 쉬운건 같지만 어렵다고 합니다.유명화가의 그림에 대한것 잘그렸는지는 미술을 하는 사람은 바로 알 수 있다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2.11.18
0
0
홍콩 사람들의 아침 식문화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홍콩은 아침식사를 거의 사서 먹는다합니다.신기한 일입니다.아침은 밀크티와 국물면 요리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1.18
0
0
과거 독일의 동서체제와 우리의 남북체제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독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탈출하려 했습니다.국민들을 선거권과 자유로운 여행권을 달라 시위를 했습니다. 시위가 전국적으로 퍼지자 개방을 하게되어 독일은 하나가 되었습니다.그러나 북한은 시위하는 순간 전부 총살입니다.통일의 꿈도 못꾸면서 억압받으며 살고 있는 북한주민들은 1인독제 체제를 굳건하게 하고 있는 김정은과 북한 공산주의 노동당에 의한 적화통일의 기치아래는 절대 통일이 될 수 없습니다.
학문 /
역사
22.11.18
0
0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