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한품서용 제도란 무엇이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조선시대에 있어서 신분과 직종에 따라 품계를 제한하여 관리를 서용하는 제도 입니다.한품서용법의 기원은 이미 신라의 골품제와 고려시대의 관리서용법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대체로 조선 초기에 이르러 정비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징병제에 여자만 배제한 이유는 뭔가요 남자의 특권인가요 여성비하 차별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성의 신체가 적합하기 때문에 남성들만 병역의 의무를 지는 합리적 차별에 해당 될수 있습니다.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힘이 약하고 체력도 약하며 생리를 하고 미래에 임신과 출산을 할 수 있는 몸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성은 남성과 똑같은 내용과 강도로 훈련하게 될 것입니다. 여성 중의 소수의 여간부들이 했다고 다수의 여성들이 할 수 있는건 아닙니다.결국 또다시 사회문제가 대두 될 것입니다.이는 전문가들에 의하여 연구와 논의 끝에 결론을 내려야 할 사항입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불교의 스님들은 왜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교 스님도 종파에 따라 결혼도 합니다.그러나 스님이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는 종교적신념과 가르침 때문입니다.불교에서 스님들은 출가하여 세속적인 욕망을 버리고, 정신적인 수행과 깨달음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철학
23.09.01
0
0
신라시대에 여왕이 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는 박씨 석씨 김씨가 돌아가면서 왕을 하였습니다.그런데 신라는 골품제도 라는것이 있어 성골 즉 왕족만이 왕을 할 수 있었습니다.그러다보니 아들이없어 왕의딸들이 왕이 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사형을 집행하던 시기에 국제사회의 압력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나라의 법률을 이래라 저래라 국제 사회에서 관여할 수는 없습니다.다만 선진국에서 사형에 대한 판단등을 우리나라도 주시하고 폐지할 수 없어 사형집행을 하지 않는것 뿐입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천주교 신부님들은 왜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부님들이 도박등 나쁜일들은 왠만하면 하지 않습니다. 사람들과 가까워지려는 극소수의 신부님도 있겠디만요.가톨릭 교회 성직자들의 독신규정은 가톨릭 교회의 2천 년 경험에서 나온 현명한 규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바오로 사도의 말씀에 기인해서 이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조선시대 때 사약은 무슨 성분으로 만들어 졌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약을 먹어도 금방죽지는 않는다고 합니다.재료는 사약 재료로는 비소(砒素, 砒霜: 砒石을 태워 승화시켜서 만든 결정체의 독약)을 사용하였으며 생금(生金: 정련하지 않고 캐낸 그대로의 황금)이나 생청(生淸: 불길을 뵈지 아니하고 떠 낸 꿀), 부자(附子, 草烏: 바곳의 구근으로 맹렬한 독성을 지닌 다년생 풀), 게의 알(蟹卵) 등을 합하여 조제하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우리나라 전통 부채는 언제부터 사용하게 되었는지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헌종 시기 쓰여진 재물보에 따르면 접부채는 고려 시기 발명됐다고 적혀있고, 1123년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지은 선화봉사고려도에는 "고려인들은 한겨울에도 부채를 들고 다니는데 접었다 폈다 하는 신기한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고려 시기에 만들어진 대나무 속살을 얇게 깎아 부채살을 만들고 그 위에 헝겊이나 종이를 올려 만든 현대 접부채의 기원이 되는 유물이라고 볼 수 있는 접부채가 국내에서 출토된 바도 있습니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조선시대 서빙고 동빙고의 얼음은 어느곳에서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해마다 여름철 끝달(음력 6월)에 여러 관사와 종친 및 문무관 중의 당상관(정3품 이상 관리), 내시부의 당상관, 70세 이상의 퇴직당상관에게 얼음을 나누어 준다고 합니다. 또한 활인서의 병자들과 의금부, 전옥서의 죄수들에게도 지급하도록 했습니다.”당상관 이상의 고위 관리들이 얼음을 받을 자격이 있었고, 환자들과 죄수들의 건강을 위해 얼음이 반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1
0
0
철학 공부를.시작하고싶은데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시인으로서 답변드리겠습니다.철학은 재미있기도하고 고뇌의 학문이기도 합니다.쉽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유튜브등 을 보시면 재미나게 또는 흥미있게 시작하게 됩니다
학문 /
철학
23.09.01
0
0
91
92
93
94
95
96
97
98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