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공룡흉내내며 쿵쾅 거리는 아이.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 눈에 비친 공룡은 아빠보다도 크고우리 집은 좁아서 들어오지도 못 할 것이니아이들은 이 거대한 공룡의 존재에 대해즐거워합니다. 아이가 쿵쾅거리고 활동적이며 신체활동으로 이어지는 모습은 보기 좋은데 다만 층간소음 때문에 안타깝네요아이에게 우선 주변에서 듣는 소리 중아름다운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주변에서 찾아보는 게임을 한 후 그 느낌을 이야기하게 해보세요아름다운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들었을 때의 느낌을그리고 실내에서 불편한 소리를 내지 않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 뒤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에 대해서도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 우리 아이의 쿵쾅 거림은 잦아들거라 생각합니다
육아 /
놀이
21.12.24
0
0
아기가 밤만 되면 자기 전에 몸을 긁는건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가려움증에 너무 힘들겠네요바디클린저를 자주써서 피부가 얇아진 경우에도 가렵다고 하니 바디워시를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그리고 바디클렌저 양을 적당히 사용하고 엄마들 직성엔 거품이 많이 나와야 씻기는 감이 있겠지만요~ 접히는 부분만 좀 씻기고 로션크림 여러번 덧발라주는 것도 괜찮을듯 싶어요하루빨리 우리 아가가 편안한 밤을 맞이하길 기대하며~
육아 /
양육·훈육
21.12.24
0
0
아이가 자다가 울면서 깨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자다 깨면 불편한게 없는지, 방안 온도나 습도는괜찮은지, 낮에 심하게 놀지는 않았는지먼저 한나씩 천천히 살펴보세요아이가 우는 건 분명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요. 아프거나 힘들던지 또는 악몽을 꿨다든지 등 어떤 상황이건 아이에게 도움을 줄 사람은 엄마, 아빠 뿐이구요 자다 깨서 우는 것도 성장 중에 오는 모습들인데 평소 아이가 스트레스가 없는지도 체크해 보셔야 할 것 같아요우리 아가가 편안한 꿈나라를 맞이하길 기대하며~~
육아 /
양육·훈육
21.12.24
0
0
어린이 글자 알려주는 시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지금은 엄마 아빠가 책을 읽어 주는 데에 관심이 많은 것 같아요한글을 가르치는 시기는 아이가 관심을 갖기 시작할때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한글 교육도 적기에 하는게 아이들에게 스트레스도 안받고 또 스스로 찾아서 할 테니깐요
육아 /
유아교육
21.12.24
0
0
계속 청개구리처럼 반대로 말하는 아이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는 두 돌이 지나면서 부터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신체적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자신감이 생기면서부터 엄마 아빠로부터 자연스럽게 독립을 꾀합니다이 시기에 부모님들께서 말하는 법을 배워야해요 잘 안되겠지만 '밥먹자' 라고 하면 '안먹어' 하면그래 먹지마!!! 이러시면 안되고' 그럼 먹고싶을 때 와' 하고 관심을 끊는거죠 아이가 엄마, 아빠를 쳐다볼 때 말투나 눈빛을 보면아이들은 언어보다 표정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모에 대한 원망이나 회피 등이 보인다면 충분히 아이의 기분이 어떤지 살펴보는게 중요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1.12.24
0
0
육아 중 정부 지원금 어떤 게 있나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Q1. 영아수당이 무엇인가요?- 매월 30만원의 현금 또는 보육료 바우처 전액 또는 종일제 아이돌봄 정부지원금 전액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현금지원금액은 매년 단계적으로 인상하여 지급할 예정입니다. ※ (’22)30만원 → (’23)35만원 → (’24)40만원 → (’25)50만원Q2. 영아수당을 도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 아동발달에 중요한 0~1세에 주양육자가 아이와 함께 보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가정양육수당과 보육료 지원을 하나로 통합하여 영아기 양육방식 선택권* 강화와 양육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든 정책입니다.* (양육수당)만 0세 20만원, 만1세 15만원 VS (부모보육료)만 0~1세 49.9만원** 부모의 양육방식 선호 : 가정양육 만 0세 98.6%, 만 1세 85%(’18년 보육실태조사)Q3. 2022년 전후 양육지원은 어떻게 달라지나요?- 현재 보육시설 미이용자는 가정양육수당(0세 : 월 20만원 / 1세 : 월 15만원)을 지원하고 보육시설 이용자는 보육료 바우처(0~1세 : 월 50만원)를 지원하고 있는데요.2022년부터는 ‘영아수당’으로 통합되어 지원됩니다.보육시설 미이용 01세는 영아수당 월 30만원을 현금으로 지원하고, 보육시설 이용 01세는 월 50만원이 보육료 바우처로 지원됩니다. ※ 종일제 아이돌봄 이용 0~1세는 정부지원금 전액 지원(소득수준에 따라 자부담 발생)Q4. ‘영아수당’으로 앞으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단기적으로는 부모의 양육선택권 보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출생 초기 집중지원을 통해 양육 비용 부담을 줄이고, 가정양육과 시설 보육 사이에서 부모의 실질적인 선택권 보장을 지원할 수 있고, 중장기적으로는 휴직 등 부모의 양육시간 투자에 따른 소득손실을 보전하여 아이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정책브리핑의 카드/한컷 자료는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육아 /
유아교육
21.12.24
0
0
아이가 정해진 시간에 무조건 잠을 재우는게 올바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가 돌 무렵이 지나면서는 놀이에 흥미를 느껴서놀이하는 것을 더 좋아하기 때문에 때때로 졸린 눈을 비며 가며 놀이를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아이들은 자기 전 놀았던 장난감의 구성(얘를 들면 기찻길, 놀이터 등)들이 아침에 깨어나면 없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잠을 못 자는 경우도 있으니 엄마 아빠는 치우지 않고 그대로 놔두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되도록 수면 직전에는 아기를 흥분시키는 놀이보다는 목욕을 하거나그림책을 보는 등 전반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긴장을 이완시키는 놀이들이 더욱 좋습니다낮잠 시간을 체크해서 낮잠을 좀 더 줄여 나가면 밤에 일찍잠자리에 들 수 있으며 이 때 엄마 아빠도 함께 잠자리에 드는 척 하는 것도도움이 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1.12.24
0
0
두돌지난 아이 훈육은 언제부터가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안쓰럽더라도 아이의 버릇과 습관은 만 2~3세를 시작으로만 5~7세에 이르기까지 올바르게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먼저 분명하고 일관되게 꾸짖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 가장 기본적인 자세이며 아이가 아무리 울거나 떼를써도 부모의 마음이 약해지면 안됩니다.스스로 잘못을 인지할 수 있는 벌칙을 만듭니다말로만 훈육하게 되면 아이도 말뿐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행동에 따른 결과가 반드시 있음을 인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나쁜 버릇을 고치지 않을 경우 벌칙을 주면 아이도 자신의 행동을뉘우치게 될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1.12.24
0
0
손녀가 감기에 자주 걸려요 특히 기침이 잦아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가 혹시 힘들어 음식을 잘 먹지 않으려고 하는 경우, 보리차라도 먹여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기침이 심할 경우 물을 먹이면 사례가 들거나 토하기 쉽기 때문에 조금씩 수분을 제공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아이가 편한 마음을 가지고 충분히 쉴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실내 온도와 습도를 20~25℃, 50~60%로 유지하고, 환기와 청소를 자주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도 중요합니다기침이 심해지면 폐렴으로 진행될 수도 있으니 가까운 병원에내원하는 것도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육아 /
기타 육아상담
21.12.24
0
0
중3아들 학교와 학원을 다니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백신을 맞으면 힘들어서 그 기간만 안다니는 거면 이해하는데 쭈욱 안다닌다는건 아니시죠?백신을 맞으면서 몸이 힘드니 핸드폰을 위안삼고있던게 연장되서 학교도 학원도 안 가는게 아닐까요?부모님께서 학교와 학원을 가야 한다는 개념을 정확히 심어주시고 아이가 그 전부터 가고 싶지 않았는데 백신 핑계로 이때다 싶어 안가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 싶어요학교와 학원 친구들과의 관계도요부디 아이가 제자리로 돌아가 즐거운 학교 생활이 되길기원합니다
육아 /
유아교육
21.12.24
0
0
2620
2621
2622
2623
2624
2625
2626
2627
2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