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정신과 개방병동 입원 중인데, 담당의(전공의)와 교수님 의견이 달라 혼란스럽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대학병원의 최종결정자는 담당교수입니다. 전공의선생님과 담당교수님 의견이 다르면 담당교수님 의견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13
5.0
1명 평가
0
0
어깨 통증 주사후 알수없는 어지러움 으로 힘든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환자분한테 가장 필요한 것은 어지럼증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진료일 것 같습니다. 이비인후과, 신경과, 대학병원 어디든지 진료를 받아보셔서 주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지 확인을 해보세요아무리 생각을 해봐도 어깨에 주사 맞은 것으로 환자분 증상이 나타날 것 같지 않습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1.13
0
0
어떤 질병에 처방된 약인지 내용만 봐도 의사선생님은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진통소염제 항생제 위장약이네요항생제가 있는 것으로 보아서 감염을 치료하려는 것이고빈도상 아무래도 상기도감염이 많을 것 같네요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5.11.12
5.0
1명 평가
0
0
큰일났어요 경추 다친거같아요 ㅜㅜㅜ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경추를 다쳤는지가 걱정되고 상황이 급하다고 판단이 된다면증상으로 확인하려 하면 안 되지요당장 병원으로 가서 검사를 해보셔야 합니다. 그게 가장 정확하니까요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1.12
0
0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데 없어지지 아나서 부탁드립니다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소변에 거품이 생겨서 걱정이시군요. 환자분 뿐만이 아니라 적지않은 분들이 걱정을 하십니다.결론은 말씀드리면 검사를 하셔서 이상이 없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소변에서 거품이 나요""소변에서 거품이 잘 없어지지 않아요"적지 않은 분들이 이 문제로 걱정을 하십니다. 특히 신장기능에 대해서 걱정을 하시지요문제가 있는 거품뇨라면 비뇨계 검사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감염 단백뇨 당뇨병성신증등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소변검사와 혈액검사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일시적으로 그럴 수도 있으니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시고 식단관리하여 충분한 휴식을 취하시고 나서 다시 재검사를 해보시면 아마 더욱 마음이 편해지실 것입니다.외국에서 나온 연구 중에 환자분이 거품뇨 foamy urine 이라고 걱정하시는 증상 중실제로 거품뇨(병적인 원인이 있는지 없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증상 자체가 거품뇨에 맞는 경우)인 경우가20% 정도 였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다들 걱정이 많으신 것이지요따라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검사를 받아보시고 문제가 없는데 그래도 안심이 되지 않는다면추적검사를 해보세요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1.12
0
0
통깁스후 다른병원에서 제거 해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통깁스 제거 가능합니다. 단지 그 이상은 무리입니다. 그러니까 뼈가 잘 붙었나요? 원장님 저는 괜찮은 것인가요? 언제부터 운동해도 되나요? 등등"통깁스를 안전하게 제거하는 행위" 하나만 하신다면 당연히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 이외 궁금하거나 불편하거나 요구하실 사항이 있다면 원래 치료를 받으신 곳으로 가보셔야 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5.11.12
0
0
수면마취시 완전히 잠든게 아니라면 따로 모니터링 없이 진행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수면마취를 할 때 모니터링을 하는지 하지 않는지가 궁금하셨군요결론만 말씀드리면 일반적으로 모니터링을 합니다.물론 의식하 진정이고 환자분이 약간 깨어있는 상태에서 아이 목소리가 들릴 정도라면모니터링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숨을 쉬냐 쉬지 않느냐 이니까요목소리가 들린다면 숨은 당연히 쉬고 있는 것일 거구요하지만 모니터링의 경우 숨쉬는 것 이외에도 중요한게 있습니다. 맥박수라던가 하는 것이 해당이 되겠지요또한 환자가 의식하진정을 하더라도 그냥 잠드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안정적이라면 좋은데 이러한 상태를 굳이 깨울 이유는 없지요하지만 잠이 들었다면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의식하진정은 상당히 안전합니다. 전신마취가 위험하다 위험하다 하지만 이 역시 상당히 안전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만에 하나. 언제나 만에 하나입니다. 따라서 일단 마취든 수면이든 그게 무엇이든 간에 의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약물이 들어간다면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럴 때 굳이 "내 경험상 이건 괜찮아!!"라고 고집을 피울 이유가 없지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12
5.0
1명 평가
0
0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더 큰 병이 생길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역류성 식도염으로 많이 힘들어하셔서 치료법이라던가 병이 악화된다던가 하는 것에 대하여 걱정이 있으시군요결론만 말씀드리면 큰병이 올 수 있으면 식습관/생활습관 개선이 치료법이빈다.역류성 식도염은 위와 식도가 만나는 부위에서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래서 심한 경우 출혈, 협착, 천공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도천공의 경우 사실 중병으로 치명률도 상당합니다. 많은 분이 역류성 식도염이 오래되면 암이 생기거나 하지 않느냐고 걱정을 하시는데요. 식도염이 만성화되면 바렛식도라는 전암성병변으로 진행이 되며 이것이 식도암(선암)을 유발할 수는 있습니다. 단지 한국의 경우 식도암 대부분, 90%이상은 편평상피세포암이며 선암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류성 식도염이 지속이 된다고 해서 암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크게 걱정하실 정도는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에서 약을 드시는 것은 치료라기 보다는 증상의 완화입니다. 결국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식습관/생활습관을 바꾸어야만 합니다. 물론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연, 금주입니다. 그리고 식후 2시간이내에는 눕지 않고 과식하지 않기 등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도저히 고칠 수가 없다 그런데 식도염은 너무 심하다 이런 경우 내시경을 이용한 시술이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도 있으니 너무 힘들어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12
0
0
흡연이 간수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금연을 하셨군요 잘 하셨습니다. 흡연이 간수치를 나쁘게 할 수 있는지 궁금하셨구요결론은 그렇습니다. 흡연은 간기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사실 이건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 흡연은 몇몇 질환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질환의 원인이며 그 중 많은 질환의 주요원입니다. 흡연은 간기능을 저하시키고 간암 유발의 위험요인입니다.흡연은 여러 가지 기전으로 간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여러 가지 독성물질을 내면서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시키고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함으로서 간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또한 지방간이나 바이러스성 간염을 악화시키기도 하며 간세포의 재생에 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 또한 흡연은 음주와 같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피해사 더 커지기도 합니다. 간기능뿐만이 아니라 간암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칩니다.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studies on cigarette smoking and liver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9;38:1497–1511) 해당자료에서 몇 가지 캡처하였습니다.위 그래프를 살려보시면 흡연으로 인하여 간암 발생률이 50% 정도 상승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또한 그 위험도는 담배량이 증가할 수록 증가한다고 하였구요사실 이 모든 것은 환자분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환자분은 금연을 하셨으니까요부디 앞으로도 지금처럼 금연을 유지하셔서 건강을 이어가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12
5.0
1명 평가
0
0
초등4학년 생 어린이가 요단백 양성 (2+) 가 나왔어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아드님이 요검사상 단백뇨가 나와서 걱정이 되시는 것이네요결론은 먼저 말씀드리면 들으신대로 재검사를 받아보시면 됩니다.단백뇨를 확인하는 것은 신장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하지만 단백뇨라는 것은 특별히 질환을 앓고 있지 않더라도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가 있습니다.Proteinuria in Children (Am Fam Physician. 2010;82(6):645-651빨간 줄을 했는데요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혹은 오래동안 서 있거나 그럴 경우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요 물론 단백뇨가 지속이 되는 경우에는 별다른 원인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아야만 할 것입니다.따라서 현재 보호자분이 해야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지금 현재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소변검사를 재검을 해보세요 그래서 단백뇨 여부를 확인을 해보세요 재검해서 단백뇨가 없는 경우가 많아요그리고 재검을 하고나서 단백뇨가 나왔다, 그런 경우에는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원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소아청소년과
25.11.12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