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건강검진은 빨리가는게 좋나요? 적당히 늦게가는게 빠른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날마다 다릅니다. 병원마다 다르구요단지 아침 일찍 가시는 경우가 검사가 빨리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8시에 시작이라고 하면 그보다 늦게 갈수록 시간을 기하급수적으로 걸리드라구요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3
0
0
두통이 있고 몸에 미열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더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지금 두통이 있으면서 미열이 있고 그리고 여러 증상이 있으신데병원을 방문하실지 자택에서 휴식을 취할지 고민이 되시는 상황이군요결론은 말씀드리면 병원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이유는 최근 독감이 유행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저번주부터 독감에 걸린 인원이 증가하고 있네요제 주변의 다른 선생님들도 비슷하게 이야기를 하시구요물론 독감의 경우도 영아 노인 환자등 취약한 사람이 아니라면 증상을 완화시키면서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회복이 되기는 합니다. 하지만 항바이러스제(타미플루)를 복용하면 회복이 빠를 뿐더러 주사를 통해서는 더 빠르고효과적으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독감의 일부는 합병증을 초래하기도 하지요그리고 독감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세균성감염(감기는 바이러스성 감염입니다)일 수도 있으니까요. 이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니까요. 일부 폐렴은 초반에 증상만으로는 감기 독감과 구별이 어려우니까요따라서 일단은 병원진료를 받아보세요 그래서 검사를 해서 원인을 확인해보세요만약 독감도 아니고 세균성감염도 아니라면 감기약 드시면서 자택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한다면큰 문제 없이 원활하게 회복이 될 것입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3
0
0
치매같은 경우에는 정말 앓으면 안되는 병인데요 치매도 유전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치매는 잔인한 병이지요 여러 유명인들이 치매를 앓는다는 뉴스를 매체에서 접할 때마다여러 가지 생각이 들지요 냉전을 종식시킨 레이건 전대통령도 철의 여인 대처 전 수상도다이하드의 브르스 윌리스도 치매에서 벗어날 수 없었는데요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사회를 맞이해서 이러한 치매에 대한 경각심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치매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아래의 그림을 보시겠습니다.거의 대부분의 차지하는 것은 알츠하이머 병 그리고 혈관성 치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혈관성 치매라고 하는 것은 뇌혈관 질환으로 인하여 발병하는 치매를 이야기하는 것인데요이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인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 가족력이 있습니다.치매의 원인으로 가장 흔한 것은 알츠하이머 질환입니다.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뇌에서과도하게 만들어져 침착되는 것이 주요기전이기는 하지만 그 이외에도 여러가지 요소가 발병에 영향을미칩니다. 알츠하이머병 위험요인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나이, 가족력, 생활습관입니다.나이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가장 주요원인으로 65세 이후 매 5세 증가 시 마다 유병률이 약 2배씩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환자분이 궁금해하시는 유전적인 요인의 경우 2023년에 발표된 연구가 있는데요"Parental history of dementia and the risk of dementia:A cross-sectional analysis of a global collaborative study;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77: 449–456, 2023"한국 교수님이 1저자이시고 여러 나라 노인 1만 7,19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연구입니다.가족력이 있는 경우 치매 발병 위험이 47% 증가하고, 특히 알츠하이머명 발병 위험은 72%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따라서 이러한 자료들을 참고하셔서 가족력이 있으신 경우에는 해당하는 검사를 통하여 확인을 하시는 계획을 고려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3
5.0
1명 평가
0
0
뇌출혈같은 경우에는 유전및 가족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뇌출혈은 무서운 질환이죠 사망률이 30-50% 정도나 된다고 하는군요뇌출혈이 유전되는 것인지 가족력이 있는 것인지 궁금하셨군요결론을 먼저 말씀드린다면 뇌출혈 자체가 유전질환인 것은 아닙니다. 단지 뇌출혈 위험요인이 가족력이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이 주요원인입니다.고혈압 이외 동맥경화를 악화시키는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위의 자료는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 제 5판에서 캡처한 자료입니다.뇌출혈의 경우 보시는 바와 같이 고혈압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입니다.사실 이건 이전부터 잘 알려져 있었기는 합니다. 2차대전에서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형이 고혈압으로 인한 뇌출혈로 명을 달리하신 것은 유명한 사건이죠.아래의 자료는 "만성질환에 대한 가족력의 유병률과 위험도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19)를 중심으로;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11. No. 8, pp. 160-167, 2021" 에서 캡처한 자료입니다만성질환에 대한 가족력의 영향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유전적인 소인도 있겠지만 이러한 만성질환의 경우 같은 기전을 공유하기 때문에환경적인 영향, 그러니까 식이습관이라던가 운동습관이라던가 하는 것도 무시할 수는 없겠습니다.결국 뇌출혈 자체가 유전질환은 아니지만 위험요인이 가족역이 있기 때문에 가족 혹은 가계에질환이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사실 주의라고 해도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술 담배 하지 않기. 만성질환 약물치료 잘 받기. 정상 체중 유지하기 운동하기 야채 잘 먹기짜고 맵게 먹지 않기 등등 평소에 환자분도 잘 알고 있는 내용입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1.03
5.0
1명 평가
0
0
심장박동기 시술후는 삶의 질이 달라질수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심장박동기가 있다고해서 삶의 질이 크게 변하지는 않습니다.단지 신체내부에 기계가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기계의 기능에 장애를 주는 경우 (MRI등)는 주의하셔야 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2
0
0
갑상선이 안좋은것은 어떻게 알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갑상선이 안 좋은지 걱정이 되시는군요. 아마도 현재 어떤 불편한 증상이 있는데 여러 매체 혹은 지인들을 통해서갑상선이 좋지 않아도 그럴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신 것 같습니다.일단 갑상선만으로 한정해서 말씀을 드리면 환자분이 말씀하시는 내용은 갑상선기능장애에 해당이 됩니다. 이는 혈액검사, 그러니까 갑상선기능검사를 통하여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가끔씩 갑상선초음파를 이야기하시는 분이 있는데 갑상선초음파의 경우 갑상선에 있는 결절, 낭종등 구조적인 문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그러면 갑상선기능장애 그러니까 갑상선항진증 혹은 갑상선저하증의 경우 어떤 종상이 나타날까요?헬스경향에서 캡처한 내용입니다.일단 전형적인 증상의 경우는 위의 케크리스를 참고해보시면 됩니다.갑상선기능항진증이던 갑상선기능저하증이던 증상에 피로고 또한 현대인은 만성적으로 피로를 호소하기 때문에이 증상을 크게 의미있는 증상이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리고 두가지 경우 호르몬의 이상이기 때문에 소화기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전에는 없던 소화기 증상이 있는데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이 되는 경우에는 한번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여자분의 경우 둘다 생리량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니 이 또한 참고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갑상선기능항진증의 경우 상대적으로 증상이 눈에 띕니다. 체중이 자꾸 감소하고 가슴이 두근거리고 손이 떨리기도 하지요. 팔다리의 힘이 빠지기도 하니 이도 참고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경우 증상이 상당히 다양해서 눈에 잘 띄지는 않습니다. 단지 체중이 이상하게 늘고 몸이 붓고 피로도 피로이지만 나른하고 의욕이 없고 목소리 변화가 있는 경우 의심할 수 있습니다. 환자분의 증상이 갑상선의 기능이상으로 인한 것인지는 사실 알 수 없습니다. 단지 갑상선 호르몬의 이상은 여러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증상을 1:1로 대응하지 마시고 "이것 혹시 갑상선호르몬이 이상한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시는 것을 고려를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2
5.0
2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학교에서 배웠던 성교육대로 되어야 성관계를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성관계를 가져도 임신을 안 할 수 있는 것이지가 질문으로 생각됩니다. 맞나요? 그럴 수 있습니다. 성관계를 가진다고 해서 반드시 임신을 한느 것은 아닙니다.
의료상담 /
산부인과
25.11.02
0
0
가습기로 화상 병원치료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병변이 넓지 않고 화상이 아주 심하지 않기 때문에 염증만 생기지 않게 관리하시면 회복하는데 크게 문제가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단지 원하시는 정도가 흉터도 잘 치료되시는 것을 원하신다면화상병원 가시는 것이 좋겠지요
의료상담 /
피부과
25.11.02
0
0
라면을 1주에 1~2회 먹는것과 건강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라면을 드시는 것은 건강에 좋지는 않습니다이유는 잘 아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단지 1주일 1-2회 1봉지 정도라면 크게 문제 되지는 않습니다반드시 채소와 계란을 같이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원하시는대로 하세요국물을 드시지 않는 것은 잘 하고 계십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5.11.02
4.0
1명 평가
0
0
수면내시경 후 단기기억상실 증상 자연스러운가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수면약제의 경우 일부 전향성 기억상실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빈도 강도 정도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것이 아니라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1.02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