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겨드랑이 접히는거 어떻게 없애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마른 편이십니다. 살이 접힌다고 지방흡입을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외관적으로 글쓴분이 많이 거슬린다면 성형외과(유방외과) 상담을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13시간 전
0
1
헤르페스인지 의심됩니다.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전형적인 헤르페스의 형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해르페스가 없다는 것은 아닙니다. 무증상 감염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해르페스가 많이 걱정되신다면 비뇨기과에서 검사를 해보시는게 제일 확실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13시간 전
0
0
치열?증상이 너무 자주 발생해요. 개선방법좀 알려주세요 ㅠ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해모렉스와 푸레파인 연고 모두 대증 약제이기 때문에 치질의 치료제는 아닙니다. 식이요법과 좌욕 요법을 초기에 해보고 호전이 안되면 수술적 치료를 하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푸레파인을 처방해주신 선생님과 상의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모쪼록 문제 없이 쾌차하시길 기원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13시간 전
0
0
왼쪽 고관절 통증 이 1년이 넘었는데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대퇴골두무혈성괴사의 경우에 x ray로 진단이 되는 질환이나 초기에는 정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 진단하려면 뼈스캔이나 MRI를 촬영해야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13시간 전
0
0
윗배쪽에 덩어리가 만져져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규칙적인 박동을 느낄 수 있다면 혈관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대동맥일 수도 있고 복강동맥처럼 분지되어나올 수 있는 것들일 수 있습니다. 동일 증상으로 5월이 CT를 찍고 이상이 없었다면 그때도 동맥이 느껴진 것일 수 있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13시간 전
0
0
폐에 결절이 있다는데, 결절이 무엇이며 관리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피부라기보다 폐에 결절이 있는것 같습니다. 작은 폐의 결절은 비흡연자에서도 흔하게 발견될 수 있습니다. 금연 지속적으로 잘 해주시고, 그 외로는 미세먼지가 있는 날에 마스크 잘 끼시고, 무언가 타고 있을 떄 연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면 좋겠습니다.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정기적인 CT 검진입니다. 이미 40년 피워온 담배는 엎질러진 물입니다. 앞으로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폐암이 생길 수 있는 상태이니 꾸준히 잘 검사 받으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19시간 전
0
0
해외에서 자궁부정출혈/ 난소낭종/ 피임약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현재 정보로는 명확하게 답변 어렵지만 피임약을 복용하면서도 부정출혈이 지속되면 진료를 보는 것이 맞습니다.난소의 낭종이 부정출혈을 유발한다는 것으로 볼 때 다낭성 난소를 가지고 계신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다낭성 난소가 있을 경우 부정출혈이 지속되면 배란 유도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이전에 진료를 보았던 산부인과에서 다시 초음파 추적을 해보시고 계획을 수립하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산부인과
19시간 전
0
0
경락관리 받을 때 마사지 오일이나 크림을 직접 가져가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만약 오일을 사용하는 경락 마사지라면 가져가셔도 크게 무리는 없겠습니다만 이러한 부분은 경락을 시행하는 시술자에게 확인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습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0시간 전
0
0
피검사 결과가 정상인데 함요부종이있어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으나 피검사에서 특이소견이 없었다면 알부민 저하가 없었다는 것이기 때문에 순환계통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심장의 문제가 있거나 정맥 순환 기능이 문제일 수 있습니다. 장시간 서았는 경우에는 하지 정맥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부을 수 있습니다. 혈관외과나 하지정맥류를 보는 흉부외과 진료를 한 번 보시는게 좋지 싶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1일 전
0
0
건강검진에서 갑상선 초음파는 꼭 받아야 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건강검진은 조기 암발견과 여타 질환의 예방적 목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몇몇 암을 제외하면 필수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 갑상선암의 감진에 대해서는 몇살부터 꼭 해야한다는 가이드라인은 없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는 갑상선암은 워낙에 많기도 하고, 대부분 40~50대 여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중년 여성이면 한 번쯤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가이드라인이 있는게 아니라서 순전히 수검자 개개인의 요청으로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1일 전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