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MZ세대라는 말은 언제부터 사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18년 11월 주간지 대학내일의 그룹사인 대학내일 20대 연구소에서 발간한 책 트렌드 MZ2019에서 마케팅을 위한 목적으로 MZ세대하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현재, 대한민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동물원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전국 지자체에 등록된 동물원의 갯수는 총 110개 입니다.2022년 기준입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사보타지의 정확한 뜻과 사용 용도는 어떻게 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보타지는 비밀 파괴 공작 이라는 뜻으로 비밀리에 적의 산업시설이나 직장에 대한 직접적인 시설 파괴를 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미술
23.06.05
0
0
신채호가 묘청의 난을 높게 평가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채호는 묘청이 진취적이고 독립적이었는데 묘청이 졌기 때문에 우리 역사가 사대적이고 보수적으로 흘러왔다 평가하며 묘청이 진 것을 안타까워했습니다.즉 실패를 안타까워해 높게 평가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고종의 연무공원이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학생들이 양반 신분에 속해 엄격한 군대 훈련을 받지 않으려했고, 연무공원을 졸업한 뒤 과거에 합격해야만 무관이 될수있다는 제도상의 불합리와 무인을 천시하던 당시 의식구조때문입니다.또 한국 정부의 재정난으로 교관들에게 약속된 봉급을 제때 주지 못함으로 사기가 저하, 교관 상호 간의 시기와 불신, 교관을 파견하고자 하는 결강의 획책 등도 작용했으며 교관들은 당초 계획과 달리 사관뿐 아니라 시위대를 포함한 궁성수비대의 일반군인들까지 훈련시켜야 하는 등 업무가 과중해 효과적 교육을 할수 없었습니다.1894년 7월 23일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 점령으로 무장해제 당하고, 보유하던 신식무기도 빼앗긴채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다 12월 17일 칙령으로 재래의 군사기관이 모두 군무아문에 흡수되며 사라지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억울한 사람이 생기지 않기위해서 삼심제도라는게 있는데 조선시대에도 이와 비슷한 사법제도가 존재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3심을 원칙으로 하는 사형죄처결법은 1421년 최초로 제정되었으며 이를 정리해 경국대전에 법제화했는데 그 형전 추단초에 사형죄는 세번 복심하여 왕에게 아뢴다 고 규정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미식축구는 축구에서 갈라져 나온 스포츠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식축구는 영국의 럭비가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 오면서 미국인 취향에 맞게 변형된 것으로 적극적이고 다양한 상황에 맞는 스포츠를 좋아하고 마초적이고 호전적인 개척 정신이 충만한 미국인들답게 영국에서 온 럭비에 드릴 이라는 반복훈련을 접목시켜 미식축구란 럭비와 다른 새로운 종목이 탄생하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한명회는 왜 부관참시를당했는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산군은 아버지 성종이 윤비를 폐비 할때 찬성했던 신하들, 폐비된 윤비에게 사약을 배달한 벼슬아치까지 모조리 찾아내 사형시키거나 부관참시했습니다.이때 한명회 역시 갑자사회 때 죄인으로 지목되어 부관참시 당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오래전 조선시대에는 레이더나 인공위성과 같은 첨단장비들이 없었는데 어떻게 적들이 침략했음을 주변지역들에게 알렸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봉수대가 신호역할을 했습니다.산꼭대기에 세워 평시 연기나 불빛으로 알아볼수 있는 거리를 두고 봉수대를 세웠으며 이러한 봉수대는 전국에 600개 이상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고조선 건국 단군할아버지라고 하는분의 이름이 단군인건가요? 아니면 따로 이름이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확한 명칭은 단군왕검이며, 단군은 이름이며 왕명은 왕검인데 김영하 교수에 의하면 단군은 몽골 신화의 탱그리와 같은 의미이며 왕검은 일본에서 군주를 뜻하는 오오키미와 비슷한 것이라 합니다.
학문 /
역사
23.06.05
0
0
1117
1118
1119
1120
1121
1122
1123
1124
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