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거란의 고려 침입에 대해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란은 고구려를 계승했다고 스스로 얘기했고 고려는 신라를 계승했으니 고구려의 옛 땅을 내놓으라고 한겁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체첸공화국의 체첸인들 기원과 문화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체첸인은 북캅카스 지방의 체첸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기원은 불확실한 점이 많으나 수천년전부터 캅카스 지역에 거주한 토착 민족으로 추정합니다.캅카스 산맥 중앙에서 동북부의 경사면에 거주하는 체첸인은 이슬람교 수니파를 믿고 캅카스 제어의 일종인 체첸어를 사용하며 체첸, 인구시, 다게스탄에 걸친 이 지역의 언어는 주변 언어들과 크게 다르며 북동캅카스어족이라는 독자적인 언어군을 이룹니다.특히 나흐 제어에 속하는 인구시어를 사용하는 인구시인과 민족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소련 해체 이후 일부 체첸인은 러시아에서 독립을 목표로 하한 분리주의 활동을 벌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주거형태에서 온돌문화는 어느시대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집을 짓기 시작하던 신석기대 움집에 노에서 피운 불로 난방과 취사 및 조명을 했고 청동기시대 난방을 위한 노와 취사를 위한 부뚜막이 분리, 초기 철기시대가 되어서 온돌의 원시형이라고 할수있는 고래식 구들과 굴뚝시설이 나타났습니다.이후 바닥 난방의 주요 구조부인 고래는 ㄱ자형 고래, 쌍줄고래, 세줄고래와 같이 여러 줄의 고래로 진화하다가 고려 후기 방바닥 전체에 고래를 설치해 구들장을 까는 전면온돌 구조의 완성을 보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구품중정제 때문에 문벌 귀족이 형성됐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존 인재선발제도가 체계적이지 않아 위나라 때 진군의 건의로 구품중정제를 도입하며 인재선발제도가 변경됩니다.구품중정제는 인재들의 점수를 매겨 그 점수대로 등용하는 것으로 보면 되며 이는 관리가 점수를 대충 주거나 특정 가문 사람이면 고득점을 주는 등으로 공정성과 거리가 멀었습니다.고평릉 사변 이후 사마씨 정권이 들어서며 기존 지방에서 뽑는 향거리선제와 달리 중앙에서 합법적으로 친한 문벌 가문만 등용시켰고 이는 문벌귀족을 만들게 됩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부처님오신날 명칭은 언제부터 사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17년까지는 공식적으로 석가탄신일로 불렸으며 사찰에서는 부처님 오신날을 사용했습니다.2018년 부처님오신날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요즘 티비를 보면 트로트가 엄청 유행하고 인기가 많던데....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트로트는 보통 한국인들의 가난, 고통, 슬픔, 작은 즐거움을 품고 있는데 이것이 2000년대 들어 많은 오디션 프로와 , 다양한 예능에서 주제로 다루어지면서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5.20
0
0
나폴레옹의 일대기를 영화화한 작품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화 나폴레옹은 2023년 11월 22일 애플 티비에서 방영할 예정인 영화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일생을 그리는 영화입니다.리들리 스콧이 감독, 호아킨 피닉스가 주연으로 출연한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조세핀 역은 바네사 커비 입니다.2023년 4월 3일 발표에 의하면 애플티비 스트리밍 전 당년 11월 22일에 제한상영으로 극장에서 먼저 공개된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차가운 느낌의 추상과 따뜻한 느낌의 추상이라는게 어떠한 차이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차가운 추상화의 경우 자를 대고 그린듯한 정확한 선을 이용해 화면을 반듯하게 분할한 후 분할된 면을 색으로 깔끔하게 채워넣는 것이고 뜨거운 느낌의 추상화는 자유분방한 선과 색을 이용해 그림을 그립니다.
학문 /
미술
23.05.20
0
0
머피의 법칙의 머피는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조셉 머피 박사를 이야기하는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머피의 법칙은 1949년 미국 에드워드 공군기지에 근무하던 에드워드 머피 대위가 주장한 법칙이자 심리학 용어입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신진사대부는 언제부터 생겨나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진사대부는 고려 말기 1388~1392년 집권세력이자 조선의 건국 세력으로 고려후기 권문세족의 횡포를 비판하면서 새롭게 등장하게 됩니다.공민왕 16년 성균관이 중영되고 이색을 중심으로 성리학을 공부하여 과거에 급제한 이들을 신진사대부라 합니다.사대부 계층의 기원은 능문능리 관인층으로 무신정권 시기 무신만으로 국가를 운영하는데 한계가 있어 최우가 만든 서방을 통해 관인층이 등용되어 등용된 관인층은 무신정권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며 대접받았고 무신들보다 더 대접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그러나 권력을 잡은 관인층은 원간섭기 오히려 권문세족으로 발전하였고 성리학과도 전혀 무관한 계층입니다.원 간섭기 충선왕이 대도에 만권당을 세우면서 본격적으로 성리학이 중국에서 주류 유학으로 자리잡기 시작했고 이때 고려의 많은 선비들이 성리학을 받아들이지만 과거를 통해 정계에 진입 후에도 크게 독자세력을 구축하지는 못했습니다. 이들은 고려 왕실이 추진하는 여러 개혁정치에 참가하며 힘을 키웠으나 그 개혁은 대부분 전왕의 측근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권문세족 내부의 권력다툼인 경우가 많았습니다.신진사대부라는 계층이 정치 세력으로써 만들어진 것은 공민왕 시기로 공민왕은 권문세족을 숙청하며 그 반대급부의 세력을 키우기 시작, 노국대장공주 죽음 이후 슬픔에 빠진 공민왕은 신돈에게 전권을 맡기게 되면서 신돈은 개혁의 일환으로 사대부들을 대거 등용합니다.최영과 이성계가 이인임을 몰아낸 무진피화 이후 제2차 요동정벌을 두고 대립했고 이성계가 1388년 위화도 회군을 단행해 최영과 우왕을 몰아내는 것을 계기로 고려의 정계를 장악하나 곧바로 개혁의 방향을 둘러싸고 정몽주를 중심으로 고려 내에서 개혁을 단행하자는 온건 개혁파와 이성계, 정도전을 중심으로 고려의 제도를 부정하고 새롭게 나라를 개창하자는 급진개혁파로 나뉘었고 두 세력은 공양왕 옹립까지 대체적으로 뜻을 같이 하나 세력 다툼 끝에 과전법이 시행되고 정몽주를 이방원이 살해하면서 온건 개혁파는 몰락 고려도 1392년 멸망합니다.
학문 /
역사
23.05.20
0
0
1189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