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형태에서 온돌문화는 어느시대부터였나요?
우리나리 주거문화 형태는 좌식문화였다고 합니다. 유럽이나 서구에서는 입식 침대문화가 주를 이루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온돌문화는 어느시대부터 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집을 짓기 시작하던 신석기대 움집에 노에서 피운 불로 난방과 취사 및 조명을 했고 청동기시대 난방을 위한 노와 취사를 위한 부뚜막이 분리, 초기 철기시대가 되어서 온돌의 원시형이라고 할수있는 고래식 구들과 굴뚝시설이 나타났습니다.
이후 바닥 난방의 주요 구조부인 고래는 ㄱ자형 고래, 쌍줄고래, 세줄고래와 같이 여러 줄의 고래로 진화하다가 고려 후기 방바닥 전체에 고래를 설치해 구들장을 까는 전면온돌 구조의 완성을 보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온돌이 부분적으로 이용된 것은 이미 삼국 시대 이전 부터이지만 전면 온돌이 시설되기 시작한 고려 후기 이래로, 온돌 설치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17세기 입니다. .17세기 온돌의 설치가 지역과 계층 구별 없이 급증하자, 땔감 수급으로 인해 경제적 · 자연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였고, 온돌에 대해서는 긍정적 · 부정적 견해가 병존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온돌은 병증 치료나 인간적인 배려 측면에서 효과를 발휘하여 점점 더 사회에 확대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온돌은 우리 민족 만의 고유문화 입니다.
고구려 유적을 보면 온돌이 나오죠. 같은 북방 계통이라도 다른 민족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기에 발해의 유적에서 온돌이 발견 됨으로 해서 발해가 우리 민족이 세운 국가라는 강력한 근거를 제시해 주기도 합니다.
온돌은 바닥을 데우는 것이기에 벽난로보다 열효율도 좋고, 집안에서 불을 때는 것이 아니기에 집안이 그을음으로 더러워 지지도 않습니다.
또 바닥이 따듯하여 집안에서 맨발로 활동하게 되므로, 신발을 신고 들어가서 집안에 흙먼지가 돌아다니게 되는 서양보다 건강에도 이롭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원전 4세기 옥저 시대부터 온돌이 발명되었다고 추정합니다.
13세기 전기에 개경을 중심으로 중상류층의 기거처에 온돌 사용이 보편화되었다고 봅니다.
고려 말기에 비로소 한반도 남부지방에 온돌이 확산되었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조선 중기까지 온돌은 하층민 문화였으며 화덕을 이용하는 상류층은 잘 채용하지 않았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거 형태 온돌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대류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으로, 실내에서 신을 벗고 바닥에 앉거나 눕는 좌식의 주생활 문화를 형성한 주요 원인입니다. 중국 북부 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坑]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방식입니다.
집을 짓기 시작하던 신석기시대 움집에는 노(爐)에서 피운 불로 난방과 취사 및 조명을 하였습니다. 청동기시대에는 난방을 위한 노와 취사를 위한 부뚜막이 분리되었으며, 초기 철기시대가 되어서야 온돌의 원시형이라 할 수 있는 고래식 구들과 굴뚝 시설이 나타났습니다.
이후 바닥 난방의 주요 구조부인 고래는 'ㄱ'자형 고래, 쌍줄고래, 세줄고래와 같이 여러 줄의 고래로 진화하다가 고려 후기에 이르러서야 방바닥 전체에 고래를 설치하고 구들장을 까는 전면온돌 구조의 완성을 보았습니다.
전면온돌이 시설되기 시작한 고려 후기 이래로, 온돌 설치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17세기입니다. 현상학적 계기는 임진왜란, 인조반정, 이괄의 난, 병자호란 등으로 파괴된 건축물을 복구하면서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여름 한발(旱魃)과 겨울 추위가 계속되는 이상기후에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