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거 형태 온돌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대류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으로, 실내에서 신을 벗고 바닥에 앉거나 눕는 좌식의 주생활 문화를 형성한 주요 원인입니다. 중국 북부 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坑]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방식입니다.
집을 짓기 시작하던 신석기시대 움집에는 노(爐)에서 피운 불로 난방과 취사 및 조명을 하였습니다. 청동기시대에는 난방을 위한 노와 취사를 위한 부뚜막이 분리되었으며, 초기 철기시대가 되어서야 온돌의 원시형이라 할 수 있는 고래식 구들과 굴뚝 시설이 나타났습니다.
이후 바닥 난방의 주요 구조부인 고래는 'ㄱ'자형 고래, 쌍줄고래, 세줄고래와 같이 여러 줄의 고래로 진화하다가 고려 후기에 이르러서야 방바닥 전체에 고래를 설치하고 구들장을 까는 전면온돌 구조의 완성을 보았습니다.
전면온돌이 시설되기 시작한 고려 후기 이래로, 온돌 설치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17세기입니다. 현상학적 계기는 임진왜란, 인조반정, 이괄의 난, 병자호란 등으로 파괴된 건축물을 복구하면서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여름 한발(旱魃)과 겨울 추위가 계속되는 이상기후에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