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천부경 정확한 뜻이 밝혀졌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부경은 대종교의 기본 경전으로 환웅이 사람을 널리 이롭게 하려고 천부인 세 개를 가지고와서 교화할때, 우주창조의 이치를 풀이한 81자로 된 참결로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철학
23.02.08
0
0
미국이 베트남전에서 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이 전쟁에 패배한 이유는 여러가지이지만 우선 베트남의 습하고 더운 날씨가 있고, 정글에서 땅굴을 파고 지하도시를 만드는 게릴라전투는미국의 사기를 꺾었으며 미국의 지원을 받은 남베트남은 전쟁의지가 없고 부패하고 북베트남을 지원하는 베트공은 수시로 계속해서 나타나 미군을 괴롭히고 남베트남은 미국도 침략군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국내의 가장 큰절이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의 소백산 기슭에 있는 사찰 구인사 입니다.한국 천태종의 중창조인 상월원각대조사는 1930년 중국과 티베트에서 곤륜산, 오대산의 문수도량과 아미산의 보현성지를 순례한 뒤 1936년에 귀국하여 1945년 초 소백산에 초가집을 지었는데 이것이 구인사의 시작이며 1966년 현대식 콘크리트 건물로 개축하여 큰 절로 발전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구석기 시절에는 주로 어떤 음식을 먹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짐승, 물고기를 잡아먹었고 식물의 열매나 뿌리도 채취하여 먹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이코패스는 충동적이고 두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기질을 타고 났으며, 소시오패스는 정상적인 기질을 가지고도 유년시절의 환경적 요인으로 다른 사람의 고통을 즐기게 된 것 차이 입니다.
학문 /
철학
23.02.08
0
0
신라의 귀족에서 성골과 진골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골은 신라 골품제도 중 최고의 신분층으로 부모가 모두 순수한 왕족을 말합니다.진골은 부모 중 한쪽이 왕족이 아닌 것으로 성골 다음 높은 등급에 속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8
0
0
제사때 향을 피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에서 향을 피우는 것은 신이 위에서 내려오라는 것으로 양을 뜻하고 술을 북는 것은 땅의 신이 올라오라는 것으로 음을 뜻합니다.즉 음양신을 부르기 위한 강신을 위한 의식입니다.향을 피워 조상님을 모셔들이고, 안개와 유사한 향의 연기를 피워 조상신을 모시는 것입니다.그런데 이 향을 입으로 불거나 꺼버리면 조상신이 오지 못하고 예에 어긋나니 입으로 불어 끄면 안됩니다.
학문 /
음악
23.02.07
0
0
고조선에 대한 기록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조선이 문헌에 최초로 등장한 것은 기원전 7세기 관중의 언행을 기록한 관자라는 책입니다.유물로는 고조선의 유적지인 요녕성의 고도 조양시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 동경 등이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탈레반은 왜 여성들에게 교육을 안시킬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탈레반은 1994년 아프가니스탄에서 결성된 수니파 정치조직으로 96년부터 200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했습니다.처음부터 이슬람 이상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로 탄생한 조직으로 샤리아 율법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해석하기때문에 여성과 아동에 대한 인권침해를 당연하게 여깁니다.
학문 /
역사
23.02.07
0
0
표절과 오마주, 패러디의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마주와 표절은 유명한 작가나 작품을 따라했으면 오마주, 대중에게 생소한 작품 또는 무명의 예술인을 따라하면 표절이라고 봅니다.오마주는 특히 희극적인 요소를 포함하나 재미를 위해 만든것이 아니라 작가나 작품에 대한 존경심을 담아 표현하는 것이 목적이기때문에 의미상 차이가 있습니다.패러디는 작품의 특정 장면이나 대사 등을 활용해 재미의 요소로 삼은 것입니다.
학문 /
미술
23.02.07
0
0
1810
1811
1812
1813
1814
1815
1816
1817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