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은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 입니다.허균의 생전 16세기 후반과 1618년 사이에 지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소설의 길이에 대한 질문입니다. 단편과 장편의 길이차이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편소설은 대략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의 길이로 일반적으로 30분이나 두시간 내외로 읽을 수 있는 길이로 봅니다.장편소설은 200다 원고지 1000매 이상의 분량을 지닌 소설을 장편소설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학문 /
음악
23.02.04
0
0
선경후정법과 수미상관법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경후정은 경치를 먼저 제시하고 경치에서 느낀 감정을 그 뒤에 표현하는 짜임입니다.수미상관은 시의 첫 구절과 마지막 구절을 비슷하거나 같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58년 도덕성 발달이론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도덕성발달을 세가지 수준과 6단계로 설명합니다.수준1은 전 인습적 수준으로 행위에 대한 처벌이나 보상을 주는 권위자의 규칙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하고 이수준은 다시 두단계로 나뉘는데 1단계는 처벌과 복종 지향단계로 행동의 결과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고 처벌이 클수록 더 나쁜것이며 피할수 있는 처벌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2단계는 도구적 상대주의 지향단계로 자신의 이익을 얻기 위해 권위자의 규칙에 따르고 다른 사람의 입장을 받아들인다.수준2는 인습적 수준으로 결과와 상관없이 가족, 사회, 국가 등의 규준이나 규칙을 따르려하며 다른 사람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이해한다.수준2는 3단계인 대인간의 조화 또는 착한 소년-소녀 지향단계와 4단계인 법과 질서 지향단계로 나뉘며 3단계는 행위의 의도성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하며 타인을 기쁘게 하거나 인정받는 것이 옳은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착해지려 하며 사회적 규준을 수용한다. 4단계는 권위자를 존중하고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옳은 행동이므로 사회적 규범이나 질서를 지향한다.수준3은 인습적 수준으로 소속되어있는 사회의 권위자와 무관하게 도덕적 가치와 원리를 규정하는 것이고 5단계인 사회적 계약 및 합법적 지향과 6단계인 보편적인 윤리적 원리 지향으로 나누어진다.5단계는 도덕적 융통성이 발휘되는 단계이며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사회적 약속은 대다수 사람의 보다 나은 이익을 위해 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6단계는 인간의 존엄성, 정의 , 사랑, 공정성에 근거를 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행동지침을 지향하고 자신이 선택한 윤리적 원리와 일치하는 양심에 의해 옳은 행동이 결정된다. 이러한 도덕적 사고는 극히 개인적인 가치이므로 사회적 질서와 갈등을 일으킬수 있으나 사회적 처벌보다는 양심의 가책과 처벌을 더 고통스럽게 생각한다.
학문 /
철학
23.02.04
0
0
태극기에 있는 건곤감이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짝대기 3개- 건. 봄. 동쪽. 하늘짝대기 4개- 이.가을.남쪽.불짝대기6개-감.겨울.북쪽.물짝대기6개-곤.여름.서쪽.땅동서남북 4개의 방향, 봄 여름 가을 겨울 4개의 계절, 하늘 불 물 땅 대자연을 의미하며 자연을 뜻하며 균형을 뜻합니다.즉 건곤감리는 자연과 더불어 살겠다는 한민족의 정신을 표현합니다.
학문 /
미술
23.02.04
0
0
정월대보름의 부럼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월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한 해동안의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이를 튼튼하게 하려는 뜻으로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입니다.
학문 /
미술
23.02.04
0
0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신부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신부는 김대건 입니다.조선후기 병오박해 당시의 신부로, 세례명은 안드레아 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조선시대에서 사용하는 미술 도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붓은 모필붓, 종이는 한지, 물감은 한국화물감, 먹 등으로 그렸습니다.물감으로는 인공석채, 분채, 본채, 편채 등으로 석채, 분채는 가루형 물감으로 아교액과 혼합하여 썼습니다.
학문 /
미술
23.02.04
0
0
대한민국이 왜 Koera 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코리아라는 명칭은 원래 고려의 영어 표기인 Koryo'에서 진화한 것으로 그 확실한 유래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고려의 중국음인 까우리가 유럽에 전해져 취음된것이 아닌가 짐작될뿐입니다.이와 유사한 호칭이 서양의 문헌에 처음 나타난 것은 13세기 중엽으로 당시 교황 인노켄디우스 4세와 프랑스 루이 9세의 친서를 휴대하고 몽골을 다녀갔던 프랑스인 G.뤼브뤼키의 동방여행기 입니다.그는 이 저술에서 중국의 동쪽에 카울레 라는 나라가 있음을 알리고 그 뒤에도 원조에서 벼슬하고 돌아간 이탈리아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는 카울리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 조선시대인 1606년 로마에 갔던 한국 소년 안토니오 코레아의 기록이 있으며, 이것이 20세기에 접어들면서 korea라는 표기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내일은 정월 대보름날인데요 왜 오곡밥을 먹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보름에는 찹쌀, 차수수, 팥, 차도, 콩 등 다섯가지 이상의 곡식을 섞어 지은 밥을 먹는데, 이는 다음해에도 모든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먹는 것입니다.
학문 /
음악
23.02.04
0
0
1828
1829
1830
1831
1832
1833
1834
1835
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