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서신은 어떻게 보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식적인 문서는 파발마를 통해 전달되었습니다.선전관이나 내관을 이용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우리나라 세대별로 칭하는 명칭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0년~1951년 윗세대1952~1963년 베이비부머세대1964~1975 X세대1976~1987년 M세대(밀레니얼세대)1988~1999년 Z세대 (제네레이션Z세대)
학문 /
역사
23.02.01
0
0
세종대왕은 정말 뚱뚱했나요? 실제 사진이나 그림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종대왕은 잘 먹기도하였고, 육식을 즐겨하며 공부만 했던 지라 몸은 비만이었고, 일생을 병마와 시달렸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고구마와 감자는 언제 들어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반도에 고구마가 들어온 때는 조선시대 후기 (18세기 후반) 감자는 19세기 초반입니다.고구마가 조선에 전래된 경위는 조선 영조 39년 조선 통신사 조엄이 일본 쓰시마 섬에서 고구마를 목격하고 이듬해 제주도와 동래부영도에서 이를 기르기 시작했다는 설이 정설이며, 조선 통신사들이 사신으로서 일본으로 길을 향하던 가운데 군고구마 가게를 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영조가 이를 보고 받자, 그럼 그 종자를 가져와서 심어보라 하고 명하여 심었다는게 시초입니다.감자는 정확한 전래 시기가 적혀있는 것이 없고 오주연문장전산고에 따르면 1824~5년쯤 청나라를 통해 전래되었다고 하며 청나라와 교류하며 조선에 전해졌다는 설, 청나라 사람들이 조선에 인삼을 도둑질하러 넘어왔을때 먹고 버티려고 감자를 심어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떡은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떡은 곡류를 주재료로 하기때문에 한국, 일본, 베트남, 필리핀 , 중국 등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에서 볼수있는 음식이기에 한국 고유의 음식으로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삼국사기, 삼국유사에 유리 이사금과 석탈해가 떡을 깨물어 이가 많은 사람이 왕이 되기로 했다는 기록이 있고, 고구려 동천왕의 어머니 후녀가 주퉁촌까지 달아난 돼지를 떡으로 꾀어 잡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때에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차를 마시는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차가 들어온것은 신라 흥덕왕 3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에 의해서라고 알려져있지만 실제는 훨씬 오래전 기록들이 있습니다.신라 경덕왕 ~765때 충담사 스님의 이야기, 원효, 설총의 이야기에 차 이야기가 나오며, 가락국 수로왕의 아들 거등왕이 수로왕 무덤에 제사를 지낼때 떡과 차를 올렸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터키가 한국과 형제의 나라가 된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오래된 기원으로는 돌궐 이라 부르는 민족에서 찾아볼수 있습니다.돌궐이라 부르는 이 민족을 터키에서는 투르크 족이라 부르는데 과거 돌궐이 흥하던 시기 우리나라에는 고구려가 있었고, 고구려-돌궐 연합으로 당나라와 싸웠던 기록이 있습니다.이 돌궐인들이 향후 여러 곳으로 이주하여 여러 투르크계 국가를 건설하는데 대표적인 국가가 튀르키예 입니다.튀르키예는 돌궐을 자신들의 조상이라 생각하고 있고, 그들의 뿌리와 기원에 자긍심을 갖고 있다고합니다.또, 6.25전쟁 참전의 영향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고구려에 불교를 최초로 전파한 스님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구려는 순도, 백제는 마라난티, 신라는 묵호자가 불교 전래자들로 순도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불교를 최초로 전한 스님입니다.
학문 /
철학
23.02.01
0
0
나폴레옹을 비판하다가 투옥된 사람 실존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폴레옹을 비판한 이유로 투옥되었다가 석방된 사람은 프랑스 정치인 베자민 콘스탄트 입니다. 베자민 콘스탄트는 나폴레옹과 그의 정권을 비판하고 정치적 견해로 1803년 투옥되었습니다.나폴레옹이 패배하고 퇴위 후 베자민 콘스탄트는 감옥에서 풀려나 프랑스에서 7월 군주제를 수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7월 군주제 기간동안 주요 정치인이 되며, 프랑스 정치 사상과 헌법 이론에 대한 그의 공헌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2.01
0
0
소크라테스의 부인이 진짜 악처였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크라테스의 아내 크산티페는 말이 많고 성미가 고약했다고 합니다.소크라테스가 BC399년 형사하였을때, 두 아들 소프로니스코스와 메네크세노스가 어렸던 것으로 미루어, 만년의 소크라테스와 결혼 한듯 하며, 후처였다고도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으며 아내로서 남편의 언동을 전혀 이해하지 않고 항상 상스러운 말로 욕하는 등 남편을 경멸하여 악처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학문 /
철학
23.02.01
0
0
1846
1847
1848
1849
1850
1851
1852
1853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