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옛날시대에도 현재 기상청처럼 날씨예측을 했던 기관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해, 달, 바람, 구름의 상태를 살피거나 동물의 특이한 행동을 보고 날씨를 예측했다고 합니다.백제에는 날씨를 살피고 천문을 관측하는 일관부 라는 관청, 신라에는 천문박사라는 관직을 두었으며, 고려때에는 서운관이라는 관청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폐백할 때 밤과 대추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추는 아들, 밤은 딸을 의미합니다.대추나무 꽃은 볼품이 없지만 피어있으면 그냐야 지는 경우가 없으며 비바람이 불어도 꽃이 떨어져버리지 않는다고 합니다.또 꽃이피면 반드시 꽃 하나에 하나의 열매를 맺으며, 다른 과일들과 달리 열매하나에 씨가 반드시 한개만 들어있고, 익은 대추는 붉은 색으로 陽에 해당되며 양은 곧 남자 입니다.여러 과일중 양반급에 속하는 대추는 자손을 번창하게 해달라는 상징입니다.밤은 싹이 나와 큰 밤나무가 되어도 원래의 씨앗 밤이 그대로 뿌리에 붙어있다고 합니다.조상인 밤의 열매는 자손인 밤나무가 자라 다시 열매를 맺기까지 자손과 연결되어 조상과 자손의 연결고리가 끊어지지 않고 지속된다는 의미로 조상을 섬긴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달력은 누가 최초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달력은 로마의 국가통치자인 카이사르(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만든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언제부터 김치를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라는 음식 자체의 직접적인 유래는 추적하기 애매합니다. 농경 민족들에게 나타나던 채소를 소금에 절여 장시보관한 형태의 음식을 유래로 할수 있으나, 이를 지금의 김치라 부를수 있는지가 애매하기 때문입니다.염장음식은 대한민국의 상고시대부터라고 할수 있으며 삼국지 위지동이전에는 고구려에서는 발효식품을 만들어 먹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해외에는 왜 팁문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의 경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팁문화가 없다면 친절할 이유가 없습니다.팁문화는 미국의 자본주의와 개인주의에 맞춰 생긴 문화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안녕하세요' 라는 말이 인사말이 생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안녕은 아무 탈 없이 편안한 상태를 의미합니다.어원 자체는 불분명하지만 한자문화권 국가 중 우리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인사말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선진국으로 나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진국을 판단하는 기준이 딱 정해진건 없습니다.일반적으로 선진국을 판단하는 기준은 1.1인당 GDP, HDI 0.8이상IMF에서 정하는 경제 선진국세계 은행에서 정의하는 고소득 OECD국가군개발원조위원회 멤버파리클럽 멤버 등을 기준으로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교회에서 말하는 십일조의 정확한 의미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십일조는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자신의 수입의 10%를 헌금 등으로 납부하는 것입니다.십일조는 지금도 지켜야할 성도의 의무입니다. 우리가 받은 모든 것들은 다 주님께서 주신것이고 주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십일조는 율법 이전에도 지켜졌고 율법시대에서도 드렸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5
0
0
귀주대첩은 어떠한 전쟁 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귀주대첩은 고려시대 현종 때 거란 침략군을 귀주에서 물리쳐 승리한 싸움입니다.고려는 태조때부터 발해를 멸망시키고 압력을 가해오는 거란에 대해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북진정책을 시행합니다.이것이 원인이 되러 993년 소손녕이 이끄는 제1차 침입이 있었으나 서희의 담판으로 압록강 동쪽의 땅을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하지만 강동6주가 군사적 거점이 되자 이를 차지할 목적으로 거란은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1010년 성종이 제2차 침략을 시도하여 개경까지 함락했으나 별다른 소득없이 철수, 이에 국왕의 친조와 강동6주의 반환을 요구하면서 1018년 소배압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3차 침략을 감행합니다.이때 고려는 강감찬을 상원수, 강민첨을 부원수로 삼아 20만 8천의 대군으로 맞서 싸우게 하였고 거란군은 흥화진을 통해 내려오다 그곳에서 패배했지만, 자주에서 강민첨의 공격을 받았음에도 서경을 거쳐 개경부근까지 내려왔습니다.그러나, 병력의 손실이 크자 소배압은 정벌을 포기하고 황해 신은에서 회군하여 가다 청천강 유역의 연주, 위주에서 강감찬의 공격을 받아 대패했으며 귀주에서 기다리고있던 병마판관 김종현의 공격을 받아 큰 패배를 합니다.이때 살아남은 병력이 수천명에 불과할 정도로 거란희 패배는 심각했고, 그 결과 거란은 국왕의 친조와 강동6주의 반환을 다시는 요구할수 없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정묘호란은 어떠한 전쟁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묘호란은 1627년 만주에 본거를 둔 후금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싸움입니다.1616년 여진족이 만주에서 건국한 후금은 광해군의 적절한 외교정책으로 큰 마찰이 없이 지냈으나 광해군의 뒤를 이른 인조가 금나라를 배척하는 향명배금 정책을 표방하고 랴오둥을 수복하려는 모문룡휘하의 명나라 군대를 평북철산의 가도에 주둔하는 것을 허락하고 군사원조까지 하고 나서자, 명나라를 치기 위해 중국 본토로 진입하려던 후금은 배후를 위협하는 조선을 먼저 정복하여 후환을 없앨 필요가 있었습니다.또 후금은 명나라와의 싸움으로 경제교류의 길이 끊겨 심한 물자부족에 시달려 이를 조선과의 통교로 타개해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때마침 반란을 일으켰다가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의 잔당들이 광해준은 부당하게 폐위되었다고 호소하고, 조선의 군세가 약하니 속히 조선을 칠 것을 종요하여 후금 태종은 더욱 결전의 뜻을 굳힙니다.
학문 /
역사
23.01.25
0
0
1882
1883
1884
1885
1886
1887
1888
1889
1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