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는 설날에 떡국을 왜 먹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날로,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종교적 사상에서 깨끗한 흰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되었다고 합니다.떡국은 순백의 떡과 국물로 지난 해 안좋았던 일을 모두 잊고 새해를 새롭게 시작한다 라는 의미가있으며, 길고 흰 가래떡은 장수를 기원하고, 동그랗게 썬 떡은 엽전과 같아 재화와 좋은 운세가 풍성하길 바란다는 의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4년주기로 올림픽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는 고대 그리스의 태양력과 태음력이 관련이있습니다.고대 그리스에서 태양의 신 아폴론과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8년 주기로 만난다고 여겼습니다.그래서 당시 그리스에서 8이란 숫자를 완결무결한 숫자고 여겼으며 그리스 공용달력은 태양력과 태음력을 썼는데, 8년 주기로 두 달력을 사용하는데 대한 문제점이 해결되었다고 합니다.이런 이유로 8년 주기로올림픽을 개최했는데 기간이 너무 길어 , 이피테스 라는 사람이 태양력과 태음력의 주기를 억지로 4년에 맞추어 주장하면서 4년으로 정착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2
0
0
장애를 극복하고 성공한 예술가는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앤디워홀은 8세에 세번의 신경쇠약에 걸려 후유증으로 시데남 무도병에 걸렸습니다.시데남무도병은 얼굴, 손, 발 등이 특이한 동작으로 계속적으로 팔과 다리, 목을 흔드는 질병입니다.이게 학교를 다니지 못한채 집에서 보냈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3.01.22
0
0
거북이 등에 타고 바다를 헤엄피는 꿈 해몽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북이 등에 올라타는 꿈은 회사나 사회단체의 지도자나 우두머리가 될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빨갱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어떻게 됩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빨갱이의 어원은 두가지입니다.공산주의 게릴라 유격대를 부르는 말인 파르티잔에서 유래했다는 설로, 파르티잔은 러시아어인데 한글표기법상 파르티잔이라 부르지만 실제 러시아어 발음상 빠르찌잔에 가까우리, 이를 조선의 공산주의자들이 빨치산이라 부르기 시작했고, 해방 후 북한이 남한테 침투시킨 유격대원들을 빨치산이라 부릅니다.빨치산이 해방 초부터 한국전쟁까지 한국 사회에 큰 문제를 일으켜 한국인들에게 큰 반감을 가졌는데, 이 빨치산이라는 단어가 후에 빨갱이로 바뀌었다는 것입니다.또, 1917년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에 레닌이 혁명군을 상징하는 깃발을 붉은색으로 혁명군을 붉은 군대라 부르면서 1918년 이후 빨간색은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색이 됩니다.조선이 해방되던 1945년 이미 붉은 색을 공산주의색으로 인식되고, 반공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빨강과 쟁이를 합쳐 빨갱이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교복을 입기 시작한 시기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교복의 개념은 영국의 헨리8세때부터였으며, 이후 대부분의 사랍학교에서 교복을 채택하였습니다.한국에서는 성균관의 청금복이 교복의 원조이며, 청금복은 태종11년 6월 처음 재정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과거 죽은사람 입에 왜 쌀을 넣어줬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죽은 사람 입에 쌀을 넣어주는 것은 반함이라고 합니다.이는 저승에 가서 먹으라는 의미와, 시신의 빈곳을 채운다는 의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사투리는 어떻게 생겨난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통신과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사건, 사고, 풍수에 의해 사회적 약속이 조금씩 바뀌고 그로 인해 방언이나 특유의 억양이 발생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2
0
0
웃음치료사가 있던데 요 교육 을?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웃음치료사 자격증은 민간자격증입니다.2004년 등장한 자격증으로 온라인 강의를 통하여 짧게는 1박2일 과정부터 길게는 30주이상까지의 커리큘럼이 있습니다.시험도 온라인 응시가 가능하며, 출석률과 상관없이 종강 2주전부터 14일간 1급과 2급 시험 각각 60점 이상을 획득하면 합격입니다.
학문 /
미술
23.01.22
0
0
돈 아끼는 사람을 왜 구두쇠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구두쇠는 구두가 닳을 것을 걱정해 쇠를 덧대 신은 사람에서 나온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혹은 굉장히 인색했던 누군가의 이름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1.22
0
0
1900
1901
1902
1903
1904
1905
1906
1907
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