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1.22

'빨갱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어떻게 됩니까?

흔히 공산주의자들을 빨갱이라고 비하하는데,

발깽이라는 단어의 어원은 어떻게 됩니까?

단순히 붉은색을 지칭하는 단어에서 파생된 것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빨치산의 어원이 궁금하군요 . 빨치산의 어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빨갱이는 북한의 붉은 기나 공산혁명을 상징하는 색깔 빨강 혹은 적화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빨갱이’는 항일 유격대원을 지칭하는 빨치산에서 나왔다.
    당시 항일 유격대원 가운데 공산주의 신봉자들이 많았고, 거기서 이어져 한국전쟁 때 공산당 유격대원도 빨치산으로 부르게 됐다.

    실제 상징 언어로 ‘빨갱이’가 대두한 것은 해방정국, 이승만의 등장부터다.
    ‘빨갱이’는 단순히 공산주의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미 군정과 친일파 반대,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에 씌우는 주술로 쓰였다.
    친일파 청산을 거론해도, 외세 배격을 주장해도 ‘빨갱이’라는 굴레가 씌워져 탄압받고 죽임을 당했다. “중간파나 자유주의자까지도 극우가 아니면 ‘빨갱이’라고 규정짓는 그 자들이 빨갱이 아닌 빨갱이인 것이다.

    (출처: 청주일보)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빨갱이의 어원은 두가지입니다.

    공산주의 게릴라 유격대를 부르는 말인 파르티잔에서 유래했다는 설로, 파르티잔은 러시아어인데 한글표기법상 파르티잔이라 부르지만 실제 러시아어 발음상 빠르찌잔에 가까우리, 이를 조선의 공산주의자들이 빨치산이라 부르기 시작했고, 해방 후 북한이 남한테 침투시킨 유격대원들을 빨치산이라 부릅니다.

    빨치산이 해방 초부터 한국전쟁까지 한국 사회에 큰 문제를 일으켜 한국인들에게 큰 반감을 가졌는데, 이 빨치산이라는 단어가 후에 빨갱이로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또, 1917년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에 레닌이 혁명군을 상징하는 깃발을 붉은색으로 혁명군을 붉은 군대라 부르면서 1918년 이후 빨간색은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색이 됩니다.

    조선이 해방되던 1945년 이미 붉은 색을 공산주의색으로 인식되고, 반공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빨강과 쟁이를 합쳐 빨갱이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빨갱이란 단어의 어원은 일본강점기 시절 항일무장유격대를 지칭한 '파르티잔(빨치산)'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0134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