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술래잡기의 유래는 무엇입니까.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술래잡기는 누군가를 쫓고 쫓기는 활동으로 원시시대 이후로 생존을 위해 필요한 활동으로 맹수에게 쫓기거나 약한 동물들을 쫓아다니며 비슷한 활동을 하였습니다이것이 점점 놀이로 변화하며 정착된 놀이입니다
학문 /
역사
22.12.23
0
0
역사상 역대급 전염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상 역대급 전염병은 안타깝게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천연두: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치사율이 30% 에 달했습니다18세기 유럽에서는 천연두로 매년 40만명 정도가 사망, 그중1/3은 실명하였으며 20세기에는 천연두로 약 5억명정도가 사망하였습니다-홍역: 천연두와 같이 전염력이 강하며 주로 1~6세 사이에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질병-흑사병: 페스트라 부르며 중세시대 유럽인구의 1/3이 사망하였다-콜레라: 1817년부터 6차례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수백만명의 사망자를 낸 질병-말라리아: 전염병 중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내고 있으며 완전히 퇴치하지 못한 질병-결핵: 공기 중의 감염으로 현재까지도 많은 사망자는 내는 질병-사스: 중증급성호흡기질환으로 신종 바이러스-장티푸스: 살모넬라 타이피균이 원인인 질병
학문 /
역사
22.12.23
0
0
동지날 팥죽먹는 문화는 언제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지에 팥죽을 먹는 이유는 귀신을 쫓는 의미입니다형초세시기에 공공씨라는 사람이 재주없는 아들을 두었는데 그 아들이 죽어 역귀가 되었다그 아들이 생전에 팥을 몹시 두려워하였는데 동지에 팥죽을 쑤어 역질 귀신을 쫓는다 라고 나와있습니다전래의 시기는 알수 없으나 목은집, 익재집 등에 동짓날 팥죽을 먹는 내용의 시가 있는것을 보면 고려시대에 이미 정착되어있음을 짐작할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3
0
0
과거 조선시대에도 우유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에도 우유는 있었습니다조선 순조때 세시풍속서인 동국세시기 내의원에서는 우유를 식품으로 만들어 임금과 신하에게 주기도 했으며 환자들에게 먹이기도 했습니다숙종때는 아무리 지위가 높아도 왕이 특별히 하사한 낙죽 이외에는 먹지 못하도록 하여 낙죽은 보양식으로 왕이나 일부 귀족층만 먹을수 있었습니다그러다 1902년 구한말 농상공부기사로 근무하던 프랑스인 short가 홀스타인 젖소를 도입하면서 대중화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3
0
0
옛날 과거시험의 문제는 뭐가출제됐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시험의 문제는 서술형이었습니다문제 자체가 답을 길게 요하는 문제들이었습니다1. 올바른 신하을 얻기 위한 방법은?2. 호폐 제도의 개선방향은?3. 논밭에서 거둬들일 세금 책정의 기준은?4. 여자들의 옷입는 스타일이 아직도 고려의 풍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그 이유와 대처법은?5. 교학을 갖추고 밝혀서 인재를 배출하는 방법은?대략 이런식으로 출제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2.12.22
0
0
부모는 어떤 심정으로 아이를 낳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상이 살기 힘들고 어려운 현실이죠 지금은..그런데 생각해보면 과거에도 살기는 힘들었고 지금보다 기술도 발전하지 못하였을 때에도 아이를 낳았습니다단순히 현재가 힘들다고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것 보다는제 생각으론 지금 물론 힘들어도 또 찾아보면 장점과 세상의 아름다움도 있고, 희망이라는 것도 있으니 이러한 것을 선물로 주고싶다는 생각도 듭니다사람이 살면서 마냥 좋기만 할순 없으니 부모가 되어 아이에게 등대와 같은 존재가 되어주면 그보다 더 인생에서 뜻깊은 일이 있을까 싶네요
학문 /
역사
22.12.22
0
0
아역 배우나 모델 광고 관해서....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직접가서 얘기를 듣는게 가장 확실합니다만약 돈을 요구한다면 100% 가면 안되는 곳입니다보통 에이전시는 돈을 요구하지 않습니다요즘은 출연을 시켜주는 대신 메이크업, 프로필 사진을 찍는 목적으로 돈을 요구하기도 하며, 에이전시 자체에서 만드는 프로나 잡지에 출연시켜주는것을 빌미로 돈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학문 /
음악
22.12.22
0
0
알고보니 번안곡인 노래로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주의 난 괜찮아 , 엠씨더맥스의 잠시만 안녕, 장나라의 스위트 드림, 박진영이 작사한 그대 날 떠난 후로 , 정재욱의 가만히 눈을 감고, 더 넛츠 의 사랑의 바보, 브이원 의 그런가봐요정도 알고있습니다
학문 /
음악
22.12.22
0
0
자동차 보험의 역사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동차 보험은 일본 미쓰이물산 경성지점이 1924년 도쿄해상 대리점을 시작하면서 자동차보험영업을 시작한것이 우리나라 자동차보험의 효시 입니다
학문 /
역사
22.12.22
0
0
미래 산업에 있어서 인문학이 중요하다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문학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로 인문학은 사람이 가진 창의성을 이끌어 주는것 입니다다양한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상상력을 이끌어낼수 있고 인간으로서 존재하는것, 나를 듈러싼 우리 세계에 질문을 던지고 탐색하는 과정은 창의력이 도움을 줍니다AI로 발달로 주어진 상황에 반응만 하면되는 일이 많아진 요즘 창의성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또 인문학은 인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인공지능의 시대에서 AI가 따라올수없는 인간 고유의 영역인 인성영량은 그래서 더 강조될수밖에 없습니다즉 인문학은 기술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우리를 인간답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학문 입니다
학문 /
철학
22.12.22
0
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