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행복을 찾아요
행복을 찾아요22.12.21

옛날 과거시험의 문제는 뭐가출제됐을까요?

오래전 과거시대에는 과거시험을보고 관직에오르고 했다던데

그당시 과거시험의 문제는 과연 어떤 문제들이 출제되었고

어떤방식으로 답을 써냈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시험의 문제는 서술형이었습니다

    문제 자체가 답을 길게 요하는 문제들이었습니다

    1. 올바른 신하을 얻기 위한 방법은?

    2. 호폐 제도의 개선방향은?

    3. 논밭에서 거둬들일 세금 책정의 기준은?

    4. 여자들의 옷입는 스타일이 아직도 고려의 풍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그 이유와 대처법은?

    5. 교학을 갖추고 밝혀서 인재를 배출하는 방법은?


    대략 이런식으로 출제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선 중종 10년(1515년) 8월 한양 성균관에서 치러진 과거시험의 문제는 ‘이 시대에 요순시대 같은 이상적인 정치를 하려면 먼저 무엇에 힘써야 하는가’라는 문제였다고 합니다. 문과의 생원·진사시험에 합격한 유생들을 대상으로 치르는 이 시험은 중종이 직접 문제를 냈습니다.

    중종은 “공자는 ‘만일 누가 나에게 나라를 맡아 다스리게 한다면, 1년이면 그런대로 실적을 낼 것이고, 3년이면 정치적 이상을 성취할 것이다.’ 나는 부족한 덕으로 다스린 지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나라의 기강과 법도가 세워지지 않았다”며 다음과 같이 물었습니다. “그대가 공자라면 어떻게 나라를 다스리겠느냐.”

    당시 33세의 조광조는 “전하께서는 도(道)의 실현을 정치의 목표로 삼고, 마음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으십시오. 하늘의 이치로 백성을 인도해야 합니다. 임금이 하늘의 이치를 잘 관찰해 그 도리에 따라 성실하게 일을 행한다면, 나라를 다스리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라고 답을 적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는 문과, 무과, 잡과로 나누어서 치뤄지는데 그중에 대표적인 문과 시험 문제를 예로 들어 보면 새종 대왕께서 내셨던 문제라고 합니다.


    예시문제 1. 우리나라에서는 백성을 호적하여 군사를 삼으니 예전 제도에 거의 가까우나, 만일 급한일이 있어 임시로 조발하면 진퇴의 술법을 막지 못하고 온 집안이 군사로 나가면 농상의 업을 폐지하게 되니, 어떻게 하면 병농이 잘 이루어지고 사졸이 정련 할수 있는가?

    예시문제 2. 땅이 있고 백성이 있으면 염치를 기르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노비 제도는 어느 시대에 시작하였는가?노비 또한 하늘이 내린 백성인데 그처럼 대대로 천한일을 해서 되겠는가? 어느 집안은 노비가 많은 경우 수천, 수백명인데 한계를 둘 수 없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