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이 반납한 영토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패전국인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협상국과 신생 독립국에 일부 영토를 할양, 가지고있던 식민지도 토해냈습니다.프랑스의 알자스 -로렌, 자를란트, 오이펜-말메디, 포젠, 서프로이센, 카토비체, 북부 슐레스비히, 메멜, 자올지에 등 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세계 역사상 가장 인구가 많았던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지 지배 국가를 포함하면 1913년까지 대영제국은 당시 세계 인구의 23% 4억 1,200만명을 지배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팔만대장경은 왜 2번 제작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가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조성한 초조대장경의 경판은 1232년 몽골의 2차 침입 때 몽골군에 의해 불태워졌고, 나라의 보물을 잃은 고려는 불타버린 대장경판을 다시 새기기로 결정, 다시 새긴 재당경이라는 뜻의 재조대장경이라 부르며, 그 경판의 수가 81,258매에 달해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부릅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고대 부두교는 어떤 종교 의식을 치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두교는 배냉, 아이티, 브라질, 미국 뉴올리언스 를 중심으로 크리올 배경을 지닌 흑인들 사이에 행해지는 종교입니다.서아프리카에서 서인도 제도의 아이티로 16세기에서 19세기 팔려 온 흑인 노예들이 믿던 종교입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조선시대 평균 수명과 사망 주요 원인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평균 수명은 30년 안팎이었습니다.의식주 생활이 균형되지 않았고 의료에 대한 부분도 발달하지 못했으며, 신체적 노동과 경제적인 어려움 등이 이유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과거 서양에서 미이라의 붕대를 갈아서 먹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이집트인들은 미이라의 부패를 막기 위해 미이라를 싼 붕대에 특수한 몰약을 뿌렸고 이 소식이 유럽에 전해지자 몰약이 스며든 붕대는 물론 미이라의 시신을 갈아 약으로 복용했습니다.이 약은 정신을 잃고 쓰러진 사람도 먹기만 하면 단번에 일어나고 뼈가 부러진 사람에게 바르면 낫고, 신비의 정력제라 불리며 중세 유럽 최고의 명약으로 손꼽혔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조선시대 왕족들도 과거를 보고 관직에 나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고려 -조선 초까지 왕족들도 다른 신하들처럼 일반관직에 나갔으나 조선 성종 때의 구성군 사건 이후 종친사환금지법이 생기며 왕으로부터 5촌까지는 명예직 외에 관직은 하지 못했습니다.조선의 경우 중기 이후 경국대전의 종친사환금지법에 따라 왕족은 과거를 볼수 없고, 실권직도 받지 못했으므로 벼슬길에 오르더라도 명예직이나 한직으로, 청요직이나 당상관, 정승에 오를수 없으며 5대 이상 지나야 종친에서 벗어나 과거를 볼수 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AI가만든 콘텐츠도 저작권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저작권청의 저작권 등록 실무개요에서는 저작권 등록대상으로 인간 저작자 요건을 규정하며 이 조항에서 저작자에 대해 인간에 의해 창작된 독창적인 작품을 등록한다 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문제는 이런 판단이 국가마다 다른데, 2021년 12월 캐나다 지식재산청은 AI앱을 미술 작품의 공동저작자로 인정 그보다 빠른 2017년 프랑스 저작권협회인 SACEM에서는 AI작곡 프로그램을 저작권자로 인정하기도 했습니다.
학문 /
음악
23.11.25
0
0
뉴질랜드에서 가장큰 화산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뉴질랜드에서 가장 유명하고 활동적인 화산 중 하나는 루아페후 산으로 북섬 중부에 위치한 후아페후산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활화산으로 지난 세기동안 여러 차례 분화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고대 이집트인들이 최초로 빵을 먹은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 2000년 고대 이집트에서 발효빵이 처음 탄생했습니다. 기후가 따뜻하고 나일강이 흘러 밀과 보리가 잘 자라는 곳으로 그 전에 발효되지 않은 밀가루를 그대로 구운 납짝한 빵을 먹었는데, 어떤 요리사가 하루를 묵힌 밀가루반죽이 빵빵하게 부풀어 오른 것을 보았고 버리기 아까워 화덕에 넣은 반죽이 훨씬 부드럽고 향기로운 빵이 됨을 발견한 것이 발효빵의 기원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25
0
0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