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역사상 김치찌게는 언제 부터 즐겨 먹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찌개는 고추, 배추, 양배추, 소금 , 고추가루를 이용해 만든 김치가 등장했을 시기 동시기에 존재한 것으로 여겨지며 김치가 너무 시어지고 염분도가 높아 생식이 어려워질 경우, 또는 양을 늘리기 위해 물에 넣어 끓여 먹던 방식에서 출발한 것으로 추정합니다.궁주요리에도 소개되었으며 궁중에서는 김치조치라 불렀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하는 사람을 기우라고 하는데, 정확히 어디 문헌에 삽입된 일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우는 열자의 천서편에 실린 고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고대 중국의 기나라에 살던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며 몹시 두려워하자 결국 다른 사람이 하늘은 기운으로 가득 차 있어 해와 달, 별이 떨어지지 않고 땅 역시 기운이 뭉쳐져있어 꺼지지 않는다는 걸 설명해주었고 비로소 안심했다는 이야기 입니다.기우 혹은 기인지우라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잉글랜드의 장궁병은 중갑옷도 뚫을 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잉글랜드의 장궁병대가 직접적으로 프랑스 기사들을 쏴 무력화 시킬수 잇던 시절은 프랑스 기사들이 체인메일이나 사슬 갑옷에 강철판을 대어 사슬갑옷 부위를 노릴수 있던 트랜지셔널 아머를 착용했던 시절 뿐, 그 이후 말을 쏴 낙마시키는데 주력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프랑스 기사들이 마갑을 씌우기 시작하면서 푸아티에 전투에서는 마갑이 취약한 말의 옆구리를 쏘기 위해 측면으로 이동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종합적으로 잉글랜드의 장궁병대가 백년전쟁에서 직접적으로 미친 영향은 과대 평가된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클래식에서 표절시비가 법적분쟁으로 번지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작권 권리보호 기간때문입니다.저작권자의 권리 보호는 사후까지이므로 보호기간은 저작자 생존에 사후 몇 년 형태로 규정됩니다.현재 시점에서 적용되는 보호기간은 창작된 시점부터 저작자가 살아있는 동안과 사망 후 50년 간 존속하도록 규정, 2011년 한미 FTA협정에 따른 개정법에 따라 보호기간이 70년으로 연장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11.06
0
0
일본 시티팝의 유래와 시초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80년대 경제적 번영기를 누리던 일본은 미국의 영향도 겹쳐 선진적이라 할만한 서구권 팝 음악도 대거 수입, 이는 일찍이 핫피엔도의흥행이 입증하듯 자연스럽게 일본 가요 전체의 질을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일본 가요계의 프로듀싱 능력도 진일보하게 되는데 당시 시티 팝 계열 곡들의 마스터링과 프로듀싱 수준은 현대의 것과 비교해도 뒤떨어지지 않는 수준이었습니다.1970년대 제대로 된 개인용 컴퓨터 조차 등장하기 이전이었습니다.이러한 기조가 절정에 달하는 시기 일본 가요계는 AOR 로 대표되는 영미권 대중음악계의 최신 유행 장르들, 재즈, 펑크, 디스코의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차용한 곡들이등장, 이런 퓨전 재즈의 장르적 문법을 기반으로 신디사이저와 전기 악기, 이른 시기의 디지털 음악 등을 기반으로 짜여진 그루브한 진행의 일련의 곡들이 소개되며 이는 도쿄 등지의 대도시권에서 호응을 불러내는데 이것이 시티 팝입니다.아티스트로는 모모코 키쿠치, 안리, 마리야 타케우치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11.06
0
0
사방신 중에 '현무'의 모양새는 어떤 동물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무는 생명의 끝, 죽음을 알린다고 하는 북쪽을 수호하는 신으로 오행 중 물과 겨울, 수성을 관장하며 흑색을 상징합니다.가장많이 알려진 형상은 검은색 수컷 또는 암컷 뱀과 또는 수컷 거북이 서로 한쌍을 이루어져있거나 목과 꼬리가 뱀의 형상을 띤 검은 거북입니다.현무에 대해 현재 대중문화, 대중매체에 가장 널리 알려진 이미지는 거북과 뱀이 합쳐진 형태로, 학계에서는 거북과 뱀 중 어느 쪽이 원형에 가까운지 의견이 분분하며 뱀 혹은 거북 머리가 이무기나 용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거북이 원형이라는 주장에 따르면 사신을 언급한 고전들에서 현무를 자주 거북으로 치환시켰음을 근거로 하며, 한나라때 동경 지역에서는 현무를 두꺼비로 묘사, 그 이유는 거북이를 가리키는 귀 자와 맹꽁이를 가리키는 맹 자가 완전히 분화되지 않았음을 근거로 합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경주의 '동궁과 월지' 이름이 바뀐이유?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중에게 안압지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있으나 안압지는 신라 때 명칭이 아닌 조선 초기 동국여지승람과 동경잡기 등에 기록된 것이며, 조선시대에 이미 폐허가 되어 갈대가 무성한 이곳 호수에 기러기와 오리들이 날아들자 안압지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1980년 안압지에서 발굴된 토기 파편 등으로 신라시대 이 호수를 월지라고 불렀다는 사실을 확인, 월지는 반월성과 가까이 있었기 때문이고, 임해전의 이름도 원래는 월지궁입니다.이런 사실을 반영해 2011년 7월 부터 이곳의 정식 명칭으로 오래 썼던 안압지 대신 동궁과 월지로 변경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3.5%의 법칙이란 정확하게 어떠한 법칙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5%의 법칙은 전체 국민의 3.5가 비폭력 시위를 지속할 경우 정권이 바뀐다는 법칙을 말합니다. 에리카 체노워스 교수는 2013년 20세기 이후의 시민 저항 운동을 분석한 결과 한 국가 인구의 3.5%가 집회나 시위를 지속한 경우 그 정권은 유지하기 힘들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빼빼로데이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빼빼로의 길쭉한 생김새를 아라비아 숫자 11에 끼워 맞춰 퍼뜨린 것이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데 시초는 1993년 부산광역시 황령산 아래 어느 여고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경남 지역 소장이 매년 11월 11일만 되면 빼빼로가 엄청나게 팔린다며 본사에 제보 , 조사해보니 그 지역 여학생들끼리 다이어트에 성공해 빼빼하게 되자, 살 좀 빼라 라고 놀리며 빼빼로를 나눠먹는 날이었다고 합니다.이를 본사에서 마케팅에 사용해 전국적으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크리스마스는 언제 부터 우리나라에 공휴일로 지정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대통령령 제 28394호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이 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데, 1949년 정부 수립 후 최초로 지정된 공휴일 중 하나입니다.미군정 체제에서 공휴일로 지정된 성탄덜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6월 4일 대통령령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당시 인구의 3%였던 기독교 신자들의 기념일로 기독탄신일로 정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11.06
0
0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