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경제용어 중에서 크라우드 펀딩이라는 것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대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 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용어로,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초기에는 트위터,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적극 활용해 '소셜 펀딩'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3.22
0
0
주식 지표 볼린저 밴드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볼린저 밴드 란주가의 변동에 따라 상하밴드의 폭이 같이 움직이게하여 주가의 움직임을 밴드 내에서 판단하고자 고안된 주가지표를 말합니다.볼린저밴드는 기존 지표들이 적절한 매매시기를 알려주지 못한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격변동띠를 탄력적으로 변화시켜 만든 지표입니다.볼린저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합니다.이 지표는 대부분의 유가증권가격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밴드 그리고 하단밴드의 세 개의 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이동평균선을 추세중심선으로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계산합니다.표준편차는 일정 기간의 가격에 대한 변동성 측정치이므로 가격변동이 심할 때에는 변동폭이 좁아지는 자기조정 기능을 발휘합니다.가격변동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 밴드를 과매도·과매수의 지표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유가증권은 일정 기간 과매수·과매도 상태가 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거나 낮은지의 여부를 알면 다른 지표의 해석능력을 높여줘 거래타이밍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의 확인 외에도 가격 움직임이나 기타 지표들과 결합해 시그널을 만들고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적인 신뢰는 금물이고 자기자신의 혹은 전문가와의 상의가 필요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3.22
0
0
예금과 적금 중 어느 쪽이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적금은 매달 들어가는 돈이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율도 시간에 따라 많은 돈으로 붙게 되지요.하지만 예금은 한번에 목돈을 맡기기 때문에 이율이 조금 낮아도 이자가 커지게 됩니다. 상황에 따라서 제가 만약 현재 돈을 많이 가지고있다면 예금을 선택 할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2
0
0
은행이 망하면 자본주의는 붕괴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은행이 도미노처럼 연쇄적으로 망하기 시작하면 금융위기, 더 심해지면 경제대공황이 올수도있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도미노 맨 앞 블럭을 치워버리려고 공적자금을 신속하게 투입하는 것입니다. 말씀 하신바와 같이은행이 연쇄적으로 망하면 기업이 부도가 나고 그러면 개인도 파산하고 국가도 어려워 지게 되는 것이 경제 원리입니다. 모든 은행과기업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2
0
0
경제 용어 중에 어음관리계좌(CMA)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고객이 맡긴 예금을 투자금융회사가 단기국공채나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등에 투자해서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는상품으로 투자신탁회사의 수익증권과는 달리 서울에서는 400만원, 지방에서는 200만원으로 최저예탁한도가 있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2
0
0
일본 버블경제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일본은2차 세계대전 이후에 경제기반이 무너지게 되지요.하지만 한국전쟁 등을 거치고 미국의 경제지원으로다시 태동하게 됩니다. 그리고 70년대에는 미국이 경계할 정도로 치고 올라오게 됩니다. 그러나 그러한오만이 거품경제를 만들게 됩니다. 나라에서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저금리를 유지했는데 그 돈으로 기업들이 연구개발, 생산라인 확대 등 산업발전 기술발전에 신경을 쓴것이 아니라 부동산 투자, 일반 국민들의 주식열풍으로 부동산 및 주식이 폭등하게 됩니다. 부동산 및 주식이 폭등하게 되니 기업 및 국민들은 더 많은 돈을 은행에서 싸게 빌려서 다시 투자하고 돈이 늘어나니 흥청망천 소비를 하고 기순개발은 소홀히하고 하다보니 어느순간 펑하고 경제가 무너져 버린 것이지요 이것을 거품경제의 붕괴라고 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3.21
0
0
증권 회사나 은행은 일반회사보다 점포문을 빨리 닫는데 퇴근도 빠른 가요?
안녕하세요. 그 시간에 내부에서 밀린 공문그날 입금현황 맞추고 은행, 증권사 등 금융권에계신분들도 힘듭니다. 마치 오리가 호수에서 평온해보이지만 호수 안에서는 발을 계속 구르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3.21
0
0
3월 23일 미 fomc 금리를 0.25p로 예상 하는데 악재 인가요? 호재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그정도는시장이 예상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큰 동요는 없을것입니다. 앞으로 금리 상승의 향배가 더 중요할것같습니다. 이번이 마지막 금리 상승이기를바래 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1
0
0
경제관련 용어 중 "PF"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차재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PF(project financing)특정사업의 사업성과 장래의 현금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법사업주로부터 분리된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것. 자금조달에 있어서 자금 제공자들은 프로젝트의 현금흐름을 우선 고려해 대출을 결정하고, 프로젝트에 투자한 원금과 그에 대한 수익을 돌려받는 것으로서 일부 순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실리톤 밸리 은행 같은 경우는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자금을 지원해 주고 돈을 버는 사업을 많이 했는데 그래서 PF란 말이 자주 나오는 것입니다. 경기가 좋을 때는 수익률이 좋겠지만 스타트업 기업들은 자금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아 실패 확률도 크기 때문에 위험성도 크게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3.21
0
0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자국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에서 생산·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부과하는 관세로,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와 유럽연합(EU)이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관세 형태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03.21
0
0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