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현재 물가상승및 미국 경제 상황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인플레이션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과도한 통화 공급으로 인해 발생하였습니다.과도한 통화 공급은 금리인상으로 줄여나가고 있습니다.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원유과 곡물 가격은 쉽게 잡을 수 없어 올해 말까지는 인플레이션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8월에 FOMC 에서 0.75BP 인상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지만, 우선 7월 CPI지수를 확인하고판단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해 보입니다.금리를 급격하게 인상하게 된다면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악재로 작용하고 주식시장도 외국자본유출로 어려움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4
0
0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언제 조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을 합니다.금통위 일정은 매년 초에 발표하며 1년에 8회 실시합니다.올해 남은 일정은 8월25일, 10월12일, 11월24일 총 3번이 남아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4
0
0
미성년자 계좌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만 17세 부터 은행계좌 개설 가능합니다.미성년자 적금이 따로 있진 않습니다.다만 청년 우대 적금상품이 은행별로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4
0
0
소비자물가지수가 무엇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내 소비자물가지수를 정하는 기준은 통계청에서 정하고 있습니다.CPI의 지수가 중요한 만큼 품목은 보수적으로 변경되고 있습니다.총 품목 및 선정기준을 확인하고 싶으시면 아래의 통계청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https://www.kostat.go.kr/incomeNcpi/cpi/cpi_cp/1/2/index.action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2.08.04
0
0
신용점수 시스템에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SS는 CB사 별로 고유의 데이터 기준을 바탕으로 설정이 되고 있습니다.질문해주신 부분은 경험적인 데이터로 정확한 CSS의 기준이라고는 확정할 수 없습니다.다만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등은 대부분 CSS의 하락을 가져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04
0
0
외환 보유고가 낮아지고 있다는데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항상 미국보다 높게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인 달러와 동일한 금리를 유지한다면 외국자본의 국내유입이 될만한 유인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미국이 물가를 잡기위해서 기준금리를 급상승시키며 급격한 달러유출이 현실화 되었습니다. - 한국도 이에 맞춰 다시 금리를 올린다면 외화유출을 어느정도 막을수 있을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8.03
0
0
국내외 경제 전망, 환율 증가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의 급등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원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안전자산인 달러가 금리까지 올라가게되면 달러수요가 급등하고 자금이 미국으로 향하게됩니다.- 추가적으로 최근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으로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 되었습니다. 당분간 강달러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3
0
0
사람들의 소비가 감소하는데 어떻게 인플레가 유지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강력한 인플레이션은 수요보다 공급충격으로 인한 원인이 더 크기 때문에 수요가 감소한다고해서 물가가 진정되진 않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원유가와 곡물가의 급등이 불러온 인플레이션이기 때문에 전쟁이 종료되어야 물가가 진정될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8.03
0
0
금리가 인상되면 왜 소비자물가가 잡히는지 그원리가 궁금합니다. 금리인상이 서민경제에 악영향을끼쳐서 사회경제가 더 안좋아지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돈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돈의 가치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현물의 가격은 내려가게 되면서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대출이나 투자가 줄어들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물가의 하락이 오게 되는것입니다- 추가적으로 물가와 경제성장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는 힘들어서 주로 중점으로 두는 가치를 위해 정책방향을 설정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8.03
0
0
미국과 우리나라가 금리가 역전되었을때 나타날 수있는 현상이 궁금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외국인들의 투자 자금만 빠져 나간다면 문제가 없겠지만,투자 자금과 채권 등 원화에서 달러로 환전을 해가며 우리나라에 있는외화 보유액이 줄어들게 됩니다.IMF시기 때 외화 보유액이 없어서 경제 위기가 닥쳤던 만큼 우리나라는외화 보유액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싶어합니다.그렇다면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됩니다.여기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을 고려하기 보다 미국의 금리보다 높게 유지해야 하는 것을 제 1목표로 두기 때문에 기간을 갖고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데 급격한 인상을 하다가한국 경기가 투자,소비 감소로 인한 침체에 빠져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08.02
0
0
3268
3269
3270
3271
3272
3273
3274
3275
3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