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
22.08.01

미국과 우리나라가 금리가 역전되었을때 나타날 수있는 현상이 궁금

먼저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 보다 낮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생기면 한국에서 유에스 달러 투자자금이 빠져 나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겠는데요 그러면 주식 값도 땔어 질테지만 그외 나타날수 있는 구체적이고 심각한 경제적인 현상들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외국인들의 투자 자금만 빠져 나간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투자 자금과 채권 등 원화에서 달러로 환전을 해가며 우리나라에 있는

      외화 보유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 IMF시기 때 외화 보유액이 없어서 경제 위기가 닥쳤던 만큼 우리나라는

      외화 보유액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싶어합니다.

    •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됩니다.

      여기서 우리나라 경제상황을 고려하기 보다 미국의 금리보다 높게 유지해야 하는 것을

      제 1목표로 두기 때문에 기간을 갖고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데 급격한 인상을 하다가

      한국 경기가 투자,소비 감소로 인한 침체에 빠져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한미 금리역전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이 빠져나가면 환율은 급등하게되고 국내 외환보유액도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환율 상승은 수입기업의 가격경쟁력에 불리하게 작용해 국내 물가상승을 유발하게 되면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인플레이션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번에 미국의 기준금리 0.75포이트 인상을 하면서 우리나라 기준금리보다 0.25포인트 앞서가는데 달러가치에 따른 외인자본유출 및 수입수출에 따른 가격등에 문제가 생길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외인들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0%에 이릅니다.

    이러한 자본들이 금리역전이 장기간 되어 빠져나간다고 하면 우리나라 기업들에 대한

    투자자금이 회수가 되는 것이며 우리나라 기업 및 가계들은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어려움이 커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경우 보통 강달러가 계속되어 우리나라 원자재 수입 등 단가가 올라가 경기가 어려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