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모기지론은 들어봤는데 역모기진론이란?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역모기지론은 말그대로 모기지론을 거꾸로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부동산을 담보로 매달 연금형식으로 돈을 지급받고, 사망하거나 약정된 기간이 끝나면담보인 부동산을 은행에 넘기는 구조 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7.23
0
0
뉴스나 사람들이 갭투자를 이야기하는데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부동산 갭투자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갭투자란 전세를 끼고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을 말합니다.예를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매매가 5억원인 부동산을 구매할 때 보유자산 2억원과 전세 3억을 끼고 구매하여적은 자본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깡통전세가 나오고 있는 요즘은 더 적은 자본으로 여러 부동산을 투자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습니다.갭투자의 장점은 부동산 상승기에 적은 자본으로도 부동산에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단점은 부동산 침체기에 전세자금을 세입자에게 돌려줄 때 자금의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7.23
0
0
DSR은 어떻게 계산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DSR은 소득대비 연간상환 부채비율을 뜻합니다.예를들어 DSR 비율이 50%, 연봉이 5,000만원이라고 가정하면1년에 상환하는 원리금 금액이 2,500만원을 넘어서면 안됩니다.현재는 강화된 DSR로 총부채가 1억원이 넘는다면 DSR 40% 규제가 적용되고 있습니다.DSR 계산은 개인이 계산하지 않더라도 대출시에 은행에서 자동으로 계산이 됩니다.적부를 따지는 지표이기 때문에 자산계획을 세울시에 대략적으로 계산해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7.23
0
0
미국이 금리인상하는데 왜 한국도 금리인상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하면 우리나라도 통상적으로 금리를 올리게 됩니다.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야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을 가져다줍니다.그 이유는 외국자본 입장에서 동일한 금리라고 한다면 좀 더 안정적인 미국에 돈을 맡기려고 할 것입니다.예를들어 우리나라에 1금융권과 2금융권을 보면 보통 2금융권이 1금융권 보다 수신금리를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1금융권에 수신잔액이 더 많습니다. 보다 안정적인 투자처를 찾아가는 것이지요.따라서, 우리나라의 금리가 미국보다 높아야 균형이 유지되고 동일해지거나 역전되면 외국자본의 유출이 발생하게 되어외환시장의 불안정함을 가져오게 됩니다.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올리거나 올릴것으로 예상되어도 우리나라도 함께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7.23
0
0
연준이나 한국은행은 1년에 몇번 금리결정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의 금통위와 미국의 FOMC회의는1년에 8번으로 정해져 있습니다.해당 일정은 법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자율적으로 변동이 어렵습니다.다만 해당월의 날짜를 미루거나 앞당기는 경우는종종 발생합니다.미국의 금리추이를 지켜보고 변동해야 할경우나이에 준하는 경제 이슈가 있으면 일정이 바뀔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7.23
0
0
은행 적금금리가 계속되는 상승으로인한 기존적금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존에 가입하신 적금의 금리조건에 따라 다릅니다.1. 6개월,1년 단위로 금리를 챙겨주는 조건의 적금을 가입하셨다면 최대한 해당 기간까지 맞추는것이 좋습니다.2. 무조건 약정된 기간까지 적금을 유지해야 보장해주는 경우이며 그 기간이 6개월 이상이 남은 경우 현재까지 저축했던 기간이 아쉽겠지만 갈아타는 것이 유리합니다. 추가적으로 현재와같이 금리상승기에 있는경우 6개월단위로 금리를 보전해주는 상품을 추천드립니다.저축은행중앙회의 SB톡톡 어플을 다운받으시면 한눈에 저축은행 예적금 금리비교 및 가입이 가능하십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7.23
0
0
적금 가입기간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장기간 적금이라 하면 보통 3년짜리 적금이 있습니다.하지만 개인적으로 현재와 같은 금리 인상시기에 장기적금 비추천입니다.예를 들어서 현재 3% 적금을 들었는데 3개월 이후 금리가 3.5%짜리 적금이 나온다고 하면3년동안 0.5%의 금리 손실을 보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금리인상 시기에는최대한 기간이 짧고 금리가 높은 1년만기 적금을 드는 것이 유리합니다.* 저축은행중에 6개월만기 3%짜리 적금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07.22
0
0
금리가 2.25인데 더올린다는데 정말일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결론 먼저 말씀드리면 금리는 약 3%까지 추가 상승이 예상됩니다.미국이 기준금리를 올해안에 3%까지 상승한다고 예상되어우리나라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시킬 것입니다.우선 다음주에 미국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1% 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그렇게 되면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게 되고 우리나라도 다음 금리 인상시빅스텝을 연속으로 가져갈 가능성이 높습니다.금리가 다시 하락 반전하려면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7.22
0
0
앞으로 미국 금리인상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올해 기준금리가 3%대 까지 예상되는 상황에서,우리나라도 그에 준하는 금리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대출금리도 상승하게 됩니다.현재 한국의 가계부채가 GDP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온 상황에서금리가 상승하게 된다면 부실채권의 발생, 대출의 감소로 인해경기침체가 오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부실채권이 발생하게 되면 저신용자 대출이 높은 저축은행과 대부업의 부실율이 올라가건정성이 악화되어 운영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금리상승에 따른 플로우 정리해드립니다.기준금리상승 -> 대출금리 상승 -> 가계대출 감소, 대출채권 부실발생 -> 경기침체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2.07.22
0
0
앞으로 금리 인상과 경제와의 관계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는 돈의 가격이기도 합니다.금리가 인상되면 돈의 가치가 상승된다는 뜻과 같습니다따라서 현물가격은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되고 현물인 부동산은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또한 시장은 이론과 사람들의 심리로 움직이는데,올해말까지 기준금리가 3%까지 상승하게 된다고 언급한 상황에서앞으로 돈의 가치가 더욱 올라간다는 기대가 있다면 수요자는 부동산 하락을 기대하게 되고 거래절벽과 부동산 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습니다.두번째로 예금금리가 평균 3%를 넘어선 상황에서 주식시장의 기대수익률은 그이상이 되어야자금이 유입이 되는데 현재로써는 코로나 시기에 저금리로 유입된 자금이다시 은행권으로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여서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마지막으로 금리가 피크아웃을 하여 바닥을 찍고 자산시장의 호황이 올 가능성은내년 상반기 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올해 3%를 넘어서고내년에 3%중반까지 상승한다고 가정한다면 자산은 지속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빠져나갈 것이고,부동산, 주식시장은 횡보하거나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것으로 예상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07.22
0
0
3277
3278
3279
3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