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시험관 구매 할 수 있는 곳 이나 주문 제작 가능한 곳 알려 주시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종로쪽에 가면 과학사가 있어요골목으로 잘 들어가서보면 유리세공하시는 분도 계세요종로로 가서 물어보세요시중에 나와있는 것도 있고요 주문제작ㅎ할수도 있어요서울 종로 3가에 많은 과학사가 있어요
학문 /
기계공학
22.01.23
0
0
인천대교 같은 다리 어떻게 설치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다리를 건축하기 전에수많은 하중견디기 실험을 합니다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공법으로다리가 물살의 압력에 견딜수 있도록 하는거지요우리나라 토목기술을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1.23
0
0
뭐하고 불이 합쳐져야 빨간색이 되죠??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불꽃반응입니다원소를 불꽃에 가져가면 불꽃색이 변화는 반응입니다구리-청색스트론튬-빨강색나트륨-노랑색칼슘-주황색불꽃반응을 하면 원소를 찾을수 있어요
학문 /
화학
22.01.22
0
0
소화가 잘안돼요 변비인것 같기도하고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스트레스로 인해 변비와 위장장애 생길수 있어요변비까지 생기면 생활의 활력이 떨어집니다운동을 좀 해보세요걷기 자전거타기 등산 수영들그래도 발안되면 의사선생님의 상담을 받으시오기분이 좋아지고요. 약 오랫동안 안목이다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고칠수 있어요
학문 /
화학
22.01.22
0
0
거대한 컨테이너선은 어떻게 가라앉지 않고 뜰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배가 물에 떠있는 이유와 같습니다배는 수면이래 가라앉은 물의 무게만큼의 부력을 받습니다컨테이너가 물속에 잠긴부분의 부피만큼의 물의 무게 만큼 가벼워져서 컨테이너가 뜨는겁니다너무 가벼운 컨테이너는 물에 못떠요그래서 물에 가라앉는 부분을 크게 하기 위해 평형수. 평형석을 배 밑에 넣어 배가 물속에 어느정도 가라앉게 합니다배밑바닥은 돌이나 물이 들어 있어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1.22
0
0
지열발전소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포항시 북구 홍해읍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심부지열발전방식의 지열발전소가 있습니다지하 45km지점에 물을 주입하여 인공적으로 대규모의 저수조를 만들고 그곳에서 150도170도정도의 뜨거운물을 뽑아내야 터빈을 돌리는 방식입니다 땅속같이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지각이 뜨거워진다는것을 이용한 발전형식입니다참고 namu.wiki.포항지열발전소.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1.21
0
0
수소(H)가 우주의 탄생과 무슨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탄생이 대폭발에서 시작되었다는 빅뱅이론이 있습니다.우주가 어느 한점에서 폭발하여 지금까지 계속 팽창하는 현대 우주론이 가장 유력합니다우주의 시작은 매우 뜨거웠고 이시기에 형성된 쿼크 전자 다양한 렙톤들은 서로 결합하지 못하고 표류해 다니다가 팽창이 진행되는 동안 우주는 계속해서 식어 갔고 쿼크들은 서로 짝을 맞추어 결합하기 시작합니다. 이들은 최초의 양성자와 중성자를 만들게 됩니다 이 양성자와 중성자의 결합에 의해 수소차가 만들어 집니다전자가 수소원자핵과 만나게 되면서 최초의 수도원자도 생기기 시작하고 최초의 헬륨원자들도 생깁니다수소가 가장 가벼운 원자이니 때문에 최초에 생긴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1.21
0
0
촛불을 불면 꺼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이 탈 조건은 가연성물질 산소 점화원이 있어야 합니다그런데 촛불을 불면 탈수 있는 심지가 없는 곳으로. 불꽃이 날아가서 가연성 물질이 없게 됩니다그래서 불이 꺼집니다
학문 /
화학
22.01.21
0
0
낙하산 대신 우산을 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우산이 절대로 안된다고 별수없지만 낙하산은 사람의 생명에 견달수 있도록 줄과 천이 튼튼합니다우산의용도는 비를 각하라는 것이 용도라서우산으로 낙하산을 대신하는것은 위험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1.21
0
0
달과 해가 같이 보이는 현상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뜨는시간은 매일 50분씩 늦게뜹니다. 그믐달의 경우 새벽에 동쪽하늘에서 떠서 낮에 서쪽하늘에서 집니다그래서 낮에도 달이 보입니다낮에 보이는 달은 햇빛 때문에 흐리게 보여요 달이 해보다 무척작은데 달까지의 거리보다 해까지는 거리가 멀어 우리가 보기에 비슷한 크기로 보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1.21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