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옛날에는 다 일일이 왕옆에서 궁녀들이 수발을 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옛날 왕 옆에는 왕의 모든 것을 수발 들어주는 내관과 궁녀가 있었습니다.왕이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었는대요.그렇다고 왕이 모든 것을 다 맘대로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왕이 하고자 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면 '상소문'을 올려 이를 반대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노란색 유치원생 유니폼은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와 관련된 색은 모두 노란색입니다.노란색은 주변 다른 색상보다 더 크고 더 빠르게 집중시키는 색이며 가장 눈에 잘 띄는 색입니다.노란 버스, 중앙선 등이 노란색인 것은 어둡고 잘 안보이는 곳에서도 다른 색보다 사람의 주의를 끌기 쉽기 때문입니다.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 제 18항에 따르면 '어린이 차량은 황색 이어야 한다'고 정해졌다고 합니다.1939년에 노란색은 어린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색상으로 지정되었고 우리나라는 1997년 부터 시행되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5
0
0
눈이 오면 강아지들은 왜 좋아서 뛰어 다닐까요
안녕하세요. 강아지나 아이나 눈이 오는 날이면 좋아서 막 뛰어 다닙니다.사실 강아지가 눈이 오는 날 뛰어 다니는 것은 발바닥이 차가워서라고 알고 있었는데 개의 발바닥은 두꺼운 지방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추위를 느끼지 않는다고 합니다. 강아지가 눈이 오는 날 뛰는 이유는 강아지 눈은 근시이고 흑백처럼 보이는데 세상에 내리는 눈이 어두운 배경에 하얀색 눈이 날리는 것이 신기해서 뛰는 것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5
0
0
함박눈이 펑펑 온다고 할 적에 함박의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겨울에는 뭐니뭐니해도 함박눈이 내려야 겨울 맛이 나는 것 같습니다.함박눈의 '함박'은 함지박을 이야기 한다는 말도 있고 함박꽃을 의미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함지박의 경우는 바가지 모양의 큰 나무 그릇을 의미하는 것이고 함박꽃을 꽃 중에 보통 꽃보다는 큰 꽃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따라서 '함박'은 '크다'는 의미일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함박눈은 눈송이가 큰 눈을 의미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5
0
0
노란색은 어떻게 추모의 상징이 되었나요? 역사적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노란색은 일반적으로 희망과 행복, 즐거움을 상징합니다.우리나라에 태진아의 노란손수건이란 노래가 있는데 팝송에도 있다고 합니다.미국에서 실제 있었던 일인데 예전에 감옥에서 출소하던 한 남성이 아내에게 자신을 받아들여줄 수 있다면 마을 어귀에 있는 나무에 노란 손수건을 묶어달라는 편지를 보냈다고 합니다. 그는 버스를 타고 가다가 노랜 손수건이 없으면 버스에서 내리지 않고 그대로 떠나려고 했습니다. 버스가 마을 입구에 다가가자 그의 눈에 보인 것은 나무 전체를 노랗게 물들인 손수건들이었다고 합니다. 1979년 이란에서 미국 외교관들이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도 미국에 남아있던 한 외교관의 아내가 노란 리본을 집 앞 떡갈나무에 달아 놓은 장면이 언론에 보도되었다고 합니다. 다행히 남편은 2년 뒤 억류에서 풀려났고, 부부는 함께 나무에 묶여있던 노란 리본을 푼 것이 화제가 됐었던 적도 있다고 합니다. 이 노란 리본은 걸프 전쟁이나 이라크 전쟁에서 귀환 장병들을 환영하는 표시로 사용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우리에게 노란색이 추모의 의미로 각인된 것은 2016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때 '노란색 리본'이 사용되면서입니다.현재 세계의 많은 문화권에서는 노란 리본을 '자살 방지 캠페인' 상징으로 쓰고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우리나라의 예술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는 지금과 달랐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는 1919년 10월 27일 단성사에서 상영된 연쇄극 '의리적 구토'입니다. 이 날을 ‘영화의 날’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영화와는 조금 다른 개념인 연쇄극은 연극처럼 무대에서 연기하는 배우와 스크린 속 영화를 결합한 공연 양식을 말합니다. 보고 듣는 지금의 형태의 영화는 그로부터 한참 뒤인 1935년 개봉한 '춘향전'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왜 세종과 광개토만 "대왕"자를 붙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세종대왕과 광개토대왕만이 대왕이라고 부르는 것은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겼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세종대왕은 우리글인 한글을 창제했고 백성들의 평안한 삶을 위해 지대한 공을 세웠기 때문이고 광개토대왕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토사구팽이란 말이 있는데 이용당하지 않으려면. 어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남들에게 토사구팽 즉, 이용 당하지 않으려면 물러터진 사람으로 보여서는 안 됩니다. 당신의 경계를 확실하게 정하고, 자기만의 원칙을 세우며 진짜 자신의 의견을 과감히 표현하세요. 또 때로는 싫은 소리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상대의 기분을 신경 쓰고 남을 배려하는 것은 좋지만 진짜 내 생각을 밝히기가 두려워 무조건 남에게 맞추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강해야 할 때는 강하게 나가야 합니다. 강해야 할 때는 강하게, 부드러워야 할 때는 부드럽게 변할 줄 아는 사람만이 다른 사람에게 이용당하지 않습니다.거절해야 할 때는 단호하게 거절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또 다른 사람의 생각에 휘둘리시지 말고 타인의 평가에 너무 좌우되지 마세요.그러면 적어도 남에게 이용 당하지 않으실겁니다.
학문 /
역사
22.12.15
0
0
과거 일본은 왜 우리나라를 자꾸 침략했나요?
안녕하세요. 일본은 섬나라로 옛날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주로 남해를 약탈하려고 침략했고 임진왜란이나 일제 강점기의 경우는 대륙 즉 중국을 침략하기 위한 교두보로 우리나라를 침략했습니다.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대륙과 해양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기에 중국에 있었던 나라들은 바다로 진출하고자 우리나라를 침략했고 일본은 대륙을 침략하고자 우리나라를 침략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학문 /
역사
22.12.14
0
1
눈이 오네요 눈내리는 표현중 싸래기눈 이라는건. 어떤표현인가요?
안녕하세요. 싸래기는 방언이라고 합니다 표준말은' 싸라기'로 싸라기눈이 맞는 표현이라고 합니다.싸래기는 쌀의 부스러진 조각 또는 쌀의 부스러기를 말합니다. 싸라기눈은 빗방울이 갑자기 내려간 기온으로 얼어서 작은 알갱이의 눈이된 것을 말하는데 마치 싸라기처럼 생긴 모양을 비유한 말입니다.기왕에 내리는 눈 싸라기눈이 아니라 함박눈이 내렸으면 좋겠네요.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2.12.14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