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슈룹 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슈룹은 우산 또는 우비의 옛말입니다.드라마 제목이 슈룹인 것은우산을 쓰거나 우비를 입으면 비에 젖지 않을 수 있는 것처럼 여러가지 역경으로 부터 자식을 보호하려는 어머니의 자식 사랑을 표현하기 위함이 아닐까 라는 생각입니다.이 슈룹 드라마는 조선시대 왕실 골칫거리인 사고뭉치 왕자들을 왕세자로 만들어야 하는 극한 중전의 분투기를 드라마로 만든 것이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2.11.27
0
0
인형의 역사가 궁금해요! 최초의 인형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은 도구적 존재로 끊임없이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어 왔습니다.아마도 자신과 비슷한 무언가도 만들었을 것이고 이것이 인형으로 발전된 것이 아닐까 합니다.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인형은 고대 이집트에서 발견된 주걱모양의 인형으로,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 300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고 합니다.이 인형은 납작한 나무에 조각된 것으로, 기하학적인 무늬가 채색되어 있고, 점토로 된 머리카락과 나무 구슬이 달려 있었다고 합니다.처음에 인형은 종교적 의미로 죽은 사람과 함께 매장되었다고 합니다.그러다가 그 인형들이 장난감이나 노리개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 과정에서 인형의 집도 만들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7
0
0
욱일기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명칭인가요?
안녕하세요. 욱일기는 일본의 국기인 일장기의 붉은 태양 주위에 욱광(旭光, 아침 햇살)이 퍼져나가는 모양을 덧붙여 형상화한 일본의 군기(軍旗)입니다.태양 주위로 16개의 햇살이 퍼지는 문양이 일반적인 형태이지만, 햇살의 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욱일기는 일본 국국주의의 상징으로 제2차 세계대전까지 일본의 육군과 해군에서 군기로 사용되었습니다.독일이 나치의 상징을 사용을 못하도록 하는 것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1954년 이후 다시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의 군기에서 다시 욱일기의 문양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고 요즘 스포츠 경기 등에서 등장하여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문학
22.11.27
0
0
실미도영화에서의 시대적상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화 '실미도'는 실제 있었던 일을 영화화 것입니다.실미도 부대는 1968년 북이 청와대 습격을 위해 무장 게릴라를 남파한 ‘1·21사태’에 대한 대응으로 1968년 북한침투작전을 위해 창설된 부대입니다.이 부대에서 3년 4개월 동안 혹독한 훈련을 받아 오던 공작원 24명이 1971년 8월 23일 기간병들을 살해하고 실미도를 탈출하여 서울로 진입했습니다.이 과정에서 군인 경찰과 교전이 벌였고 경찰, 민간인, 공작원 등 28명이 사망하고, 이후 생존 공작원 4명이 사형 집행되었다고 합니다.1971년은 남북접십자 예비회담으로 남북한이 서로 적대적인 분위기에서 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서로 교류를 위해 힘썼던 해라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7
0
0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 많이 차이 나나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쓰고 있는 영어는 미국식 영어입니다.영국과 미국은 같은 영어를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지역에서 오랫동안 영어를 사용하면서 그들의 영어는 조금씩 변하게 되었다고 하네요.영국 영어는 영국에서 쓰이는 영어의 관념적인 표준 발음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용인발음 또는 RP발음 이라고 불립니다.하지만, 용인발음은 영국 발음 중의 일부일 뿐이므로 용인발음 자체가 영국식 발음 그 자체는 아니라고 합니다.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차이로누 우선 발음의 차이를 들 수 있습니다.철자 상으로 모음 뒤에 'r'이 오는 경우, 그리고 철자 'o' 발음이 다르다고 합니다.또 같은 뜻이지만 다른 어휘도 많다고 합니다.택시를 미국은 taxi 영국은 cab로 하는 것처럼 다르게 쓰이는 단어가 많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2.11.27
0
0
만리장성은 정말 만리인가요?.
안녕하세요.만리장성은 중국 춘추 시대부터 짓기 시작하여 진시황 때 완성된 것으로 주변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합니다.중국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만리장성의 길이는 지도상 길이는 2,700km이지만, 중간에 갈라져 나온 성벽까지 모두 합치면 6,400km가 된다고 합니다.이것은 지구의 반지름과 거의 같은 길이라고 합니다.1리는 약 0.393km이니 만리면 3,930km가 됩니다.지도상의 길이만 따지면 만리가 안되지만 중간에 갈라져 나온 성벽을 합치면 만리가 훨씬 넘는 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7
0
0
이번 월드컵 승점 같으면 골득실 승자승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월드컵의 경우 조별리그는 32강에 해당합니다.. 16강부터는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지만 32강조별 리그는 같은 조에 속하는 팀들간 경기를 진행하게 됩니다. 한팀 당 3차례 경기를 진행합니다.이기면 승점 3점, 무승부는 1점, 지면 0점으로 이 승점으로 순위를 매겨 각 조의 1위, 2위가 16강에 진출하게 됩니다.만일 승점이 같은 팀이 생기면 두번째는 골득실로, 그 다음은 다득점, 그 다음은 승자승, 그 다음은 페어플레이 점수로, 여기까지 같은 점수면 마지막엔 추점으로 결정된다고 합니다.우리나라 축구팀이 꼭 16강에 진출했으면 좋겠습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7
0
0
을지문덕의 을지라는 성은 한국에서 없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살수대첩하면 떠오르는 사람, 바로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乙支文德)입니다.고구려와 수(隋)나라와의 전쟁에서 그 이름을 떨쳤는대요. 을지문덕은 침착하고 굳센 성격에다 글 짓는 솜씨도 비범하였다고 합니다.을지(乙支)씨는 고구려 후기에 나타나는 성씨들입니다.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신라에서 생긴 성씨들은 지금까지 그대로 남아 있으나 백제나 고구려 성씨들은 나라가 망함과 함께 사려진 것으로 보입니다.고구려 성씨들은 일부는 지금도 중국 만주 지방에 남아 있다고 합니다.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7
0
0
운동 선수 처럼 문화예술계도 병역면제가 되는지요?
안녕하세요.'군면제'제도의 정식 명칭은 '예술체육요원제도' 입니다국익 선양 및 문화 창달에 기여한 예술 및 체육특기자들에 대해서 군면제 혜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완전히 군 면제는 아니고 4~5주간 기초군사훈련만 마치고 추후에 예술, 체육 요원으로 복무하게 되면 병역이 인정됩니다.예술 요원의 경우, 국방부에서 지정한 국제 대회에서 2위 안에 든 수상자 또는 입상자 중 성적 순으로 2명 이내 해당하는 사람들로 국내 예술경연 대회에서 1위 입상자 중 성적이 가장 높은 사람과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 이수자라면 군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구체적으로 1973년에 처음 도입될 당시는 국제 규모 음악경연대회 2회 이상 우승 또는 준우승이었고1984년 국제예술 경연대회 2위 이상, 국내예술경연대회 1위 입상자, 5년 이상 중요무형문화제 전수교육 받은자였던 것을2008년 편입인정 대회 정비하여음악은 유네스코 국제음악대회 가입되어 있는 123대회무용은 17개 대회(유네스코 국제무용대회 가입 11개, 5회 이상 개최 및 9개국 이상 참가대회 6개)국제대회가 없는 분야는 국내 대회 8개 대회(국악, 한국무용, 미술 등)으로 지정하여 운영하다가매년 편입 인정대회를 줄여서 축소 정비하여2020년 편입 인정대회 축소 정비하여 46개 대회 42개 대회로 축소(119개 부문)하였다고 합니다.
학문 /
음악
22.11.27
0
0
화나면 왜 '잘먹고 잘 살아라'라고 칭찬하나요?
안녕하세요. 노인옥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잘 먹고 잘살아라는 말은 말 그대로 해석하면 너무 좋은 말로 보입니다.하지만 이말은 반어적 표현으로 욕 대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보통은 자기만 알고 욕심을 많이 부리는 사람에게 그래 잘 먹고 잘 살라는 말을 합니다.남도 도와주지 않고 욕심만 부리니 그런 사람에게는 기댈 것 없다는 마음도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2.11.27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