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경제
알바해서 시급을 월급날에 받는건데 늦게 받았고 명세서 요청한게 잘못된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우선,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는 급여를 지급받을 때에 급여명세서를 받아야 합니다.만약 회사에서 주지 않은 경우 정당하게 요구할 권리가 있고회사가 주지 않는다면,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18
5.0
1명 평가
0
0
4대보험 전액 환급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노무사 컨설팅을 통해 4대보험 환급 신청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실제 가입 경위 등에 따라 가능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16
0
0
관뒀던 회사 급여 지급일을 미루는게 문제가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직한 근로자에게는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급여가 전부 지급되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16
0
0
십자인대파열 의심 진단을 받고 병가 낸 와중 두가지 제안을 받았어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산재처리를 하셔야 선생님께서 입은 재해에 대하여 앞으로 계속 근로복지공단의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기타 노무상담
25.06.16
0
0
선택적 근로시간제 운영 방법 관련하여 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본인의 동의를 얻어 연차로 대체 처리할 수 있습니다.또한 월 소정근로시간 수를 채우지 못한 경우 기본급 공제도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16
1
0
정말 감사해요
100
공공기관 근로자 시간선택제 변경 가능여부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일반적으로 시간선택제 근무자라고 한다면, 단시간으로 계약을 변경하며급여 등 근무조건은 시간 비례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16
0
0
주휴수당 법정공휴일 지급 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대선은 공휴일로 유급휴일 보장되어야 합니다.그리고 주중에 공휴일로 5일 모두를 근무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2일 공휴일, 3일 근무하였다면 주휴수당을 정상 전액 지급해야 합니다.마지막으로 6월 2일 입사하였다면, 6월 1일에 대한 급여는 공제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5.06.16
0
0
연장근로시간 인정여부 문의 문의 문의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우선, 해당 사업장이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근로기준법 제50조, 제53조에 따라 하루 8시간을 넘는 시간은 연장근로가 됩니다.이는 주 단위로 40시간으로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결국 주 40시간만으로 연장 근로 여부를 판단하는게 아니라하루 8시간을 초과할 때에도 연장근로로 판단하므로 연장근로임은 확실합니다.따라서 목요일에 10시간 근로 중 8시간을 초과한 2시간에 대하여는 1.5배를 곱하여3시간분의 급여를 지급하셔야 합니다.만약, 이것이 인건비 부담이 되신다면, 근로기준법 제51조에 따른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셔서 운영하시면주 근무시간을 평균하여 주 40시간이라면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5.15
0
0
일본에서 워홀 기간 동안 취업하게 되면 그 경험을 경력으로 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경력 인정에 관하여는 공무원의 규정을 제외하고는 법령에 규정하고 있는 바가 없습니다.따라서 일반 사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근무경력을 입사 시에 유효한 경력으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는전적으로 회사의 재량에 달려 있습니다.따라서 이는 질문자 분께서 회사 입사 시에 최대한 어필하여경력 산정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이를 위해서는 일본 회사에서 퇴직 전에 날인된 경력증명서를 발급받으실 필요가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5.15
0
0
회사에서 당일퇴사하고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맞습니다.말씀주신 것처럼 근로기준법 제36조에서는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모든 금품(월급, 퇴직금 등)을 지급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14일을 넘겨, 근로자의 동의 없이 지급하는 경우에는 근로자는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또한 이 경우에는 연 이율 20%를 기준으로 지연이자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5.15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