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종 시대 예송 문제가 있었는데, 기해예송과 갑인예송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송논쟁은 정치적, 철학적, 윤리적 상징성이 엄청났던 사건이었다. 표면적인 이유는 단순한 복식 정도였지만, 배경적으로는 서인과 남인(더 정확하게는 동인) 시절부터 있었던 이기일원론과 이기이원론의 문제, 더 나아가서는 조선 초기부터 존재하였던 조선의 통치 체제 문제까지 걸려 있던 일대 격전이었다. 그리고 이런 문제가 효종의 정통성과 맞물려 대폭발로 이어진 것이 바로 예송논쟁이다. 실제 송시열이 체이부정 이야기를 꺼낸 순간 정태화가 기겁하고 막아서며 경안군 이석견을 이유로 송시열을 막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예송은 시작부터 왕의 정통성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문제였다. 다만 정통성 논쟁은 말을 꺼낸 순간부터 역모로 처벌될 수 있는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며, 그래서 그나마 곁다리로 낀 상복으로 논쟁을 벌인 것이다. 그리고 논쟁 당사자들도 상복은 그저 꼼수라는 것을 시작부터 알고 있어서, 정태화가 이석견(소현세자의 막내아들)을 이야기하거나, 윤선도가 상소에서 왕의 적통과 종통을 이야기한 것이다.1차 기해예송1659년 5월 효종이 승하한 후 인조의 계비인 장렬왕후가 효종을 위해 입어야 할 상복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에 관해 모두가 머뭇거릴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효종이 적자이긴 했지만 형 소현세자에 대해 이미 어머니가 큰아들에 대한 장례를 마쳤었다. 왕위를 계승받은 국왕이었으므로, 종법상 모후인 장렬왕후가 효종을 위해 1년짜리 상복인 기년복(朞年服)을 입어야 하는가 3년짜리 참최복(斬衰服)을 입어야 하는가가 문제된 것이다. 이에 관해 조정 신료들이 물밑에서 조심스럽게 논의를 시작하였다.2차 갑인예송현종 15년(1674) 효종의 부인이자 현종의 어머니인 인선왕후가 사망했다. 이때도 장렬왕후가 살아 있었기 때문에[20] 장렬왕후가 상복을 입어야 하는 기간으로 논란이 벌어지게 되었다. 효종 때는 《경국대전》이 장자와 차자를 같게 취급해 기년복을 입어도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며느리의 경우 사정이 달라 맏며느리는 기년복인데 다른 며느리는 9개월짜리인 대공복(大功服)을 입도록 규정해 문제가 되었다.
Q. 선조 대 붕당 정치가 시작 되었는데, 전개 양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북인은 조식, 남인은 이황, 노론은 이이, 소론은 성혼선종때 정여립모반사건으로 동인 개죽음 기축옥사정철의 건저의사건때매 동인은 북인(강경) 남인(온건) 갈림광해군때는 북인이 권렸을 잡았고, 인조, 효종땐 서인이 집권현종때 기해예송은 서인1년, 갑인예송은 남인1년숙종경신환국 윤후사망 서인집권 노롱소론갈림기사환국 윤시열사망 남인집권 (장희빈)갑술환국 동이(최숙빈) 장희빈 다시 후궁으로 인현왕후 중전서인집권 이때부터 노론v.,s소론 절정노론은 영조 지지소론은 경종 지지
Q. 구화지문이라는 고사성어는 어디에서 유래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입은 재앙의 문이다. 재앙이 입으로부터 나오고 입으로부터 들어가므로 항상 말을 조심하라는 뜻이다.출전입은 재앙의 문이요혀는 몸을 베는 칼이다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처해 있는 곳마다 몸이 편하다口是禍之門舌是斬身刀閉口深藏舌安身處處牢- 풍도(馮道) 〈설시(舌詩)〉이 시는 《전당시(全唐詩)》에 실려 있다. 풍도는 당나라 말기에 태어나 당나라가 망한 후에 들어선 오대십국 시대의 후당(後唐)에서 재상을 지냈다. 그리고 후당의 뒤를 이어 들어선 후진(後晉), 그 뒤를 이은 후한(後漢), 다시 그 뒤를 이은 후주(後周) 등 여러 왕조에서 벼슬을 하며, 73세까지 장수를 누렸다.
Q.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절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전등사"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381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절로, 창건 당시에는 진종사라고 했으나 1282년 충렬왕의 비인 정화공주가 승려 인기를 중국 송나라에 보내 대장경을 가져오게 하고, 이 대장경과 함께 옥등을 이 절에 헌납한 후로 전등사라 불렀다고 한다. 1605, 1614년에 일어난 화재로 건물들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그 다음해 4월부터 재건하기 시작해 1621년 2월 완성되었다. 1707년 사각을 고쳐 짓고 별관인 취향당을 지었으며, 그뒤 여러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경내에는 대웅전(보물 제178호)·약사전(보물 제179호)·명부전·삼성각·향로각·적묵당·범종각 등이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중국 북송시대의 범종(보물 제393호)과 조선시대의 법화경판(1544)이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