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지구상에 바다가 사라진다면 어떤일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서 바다가 사라지게된다면, 전체가 육지만 남게 됩니다.수분공급을 받을수없어 모든생물들이 죽게될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지진은 왜 생기는지 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은 보통 대륙판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하거나, 화산폭발등으로 발생합니다.이번 안타까운 터키 지진도 유라시아판과 동아시아 판이 활동하면서 발생되었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강수량이 어느정도 되야지 농장물의 생육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강수량은 해당 작물에 따라 차이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글쓴이께서 알고 있듯이 너무 많이 내려고 농작물이 피해가가고 너무 안오는 가뭄이 발생해도 문제가 됩니다.따라서 각 작물에 맞는 적합한 강수량을 저장해 놓는게 좋겠습니다.요즘은 스마트팜으로 해당 작물에 적합한 수분 공급을 별도로 해주는 시스템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튀르키에에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대륙 판과 판이 만나는 곳이거나, 화산대 라인이기 떄문입니다.이번 터키 지진도 유라시아판과 아라비아판사이의 지진활동으로 인해 발생된 케이스입니다.
기계공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무인 자동차 안전성이 해결될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무인자동차가 안전성을 확보하기위하여 안전한 통신시스템을 갖춰야 할것으로 생각됩니다.라이다와,레이더 센서등을 통해서 자율운항을 해야하는데, 신경계 하나가 마비가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것으로 보입니다.안전은 단 0.001%도 양보할수없음으로 기술의 발전이 더 진행되어야할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비접촉 체온계의 작동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답은 ‘적외선’에 있었습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이 아니라 눈에 보이진 않지만 탁월한 열 전달력과 강한 공기 중 투과력을 지닌 파장입니다. 그 자체로 열 측정에 최적화된 성질을 지닌 셈이죠.재밌는 사실은 모든 생물이나 물체는 각자 지닌 온도에 따라 이 적외선 에너지를 상시로 뿜고 있다는 겁니다. 즉, 비접촉 적외선 체온계는 대상이 발산하는 적외선 에너지를 열 수치로 변환하는 것이 기본 원리입니다. 종종 체온계 등에서 나오는 빨간빛을 통해 열을 잰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그건 단순히 열 측정 부위를 표시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다시 말해 체온계는 적외선을 쏘는 게 아니라 ‘흡수’함으로써 체온을 측정하는 겁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우리 몸에는 코가 있는데 그 안에 코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몸에 의미없는것은 거의없지요??코털또한 우리가 숨을 쉬는 중요한 호흡기관인데요 이곳에 FILTER 역할을 해주신다고 보면됩니다.큰 먼지나 작은먼지들이 들어와 우리 폐에 손상이 가지않기위한 보호막입니다.미관상 좋지않으실경우, 보이지않게 깍고 관리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토네이도는 어떻게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토네이도의 생성 원인은 해상에서 주로 생성되게 됩니다. 저기압과 불안정한 강력한 한랜정선이 두개의 기류가 만나발생하게 됩니다.지상의 따듯한 공기와 공중의 찬 공기가 만나 따듯한 공기가 위로 올라가려는 강력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는데,이때 상승력과 함께 회전력이 생성되면서 생기게 됩니다.
화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사람마다 털의 길이가 다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털의 길이는 유전적으로 갈릴영향이 큼니다.우리가 탈모도 유전이듯이, 털의 길이또한 인류의 종에 따라 차이가 있고, 또 종에서 사람마다 차이가 생기는 이유입니다.
토목공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콘크리트는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콘크리트사용은 아주 옛날 로마시대 쯤부터 사용된 흔적이 남아있습니다.따라서 누가 최초로 개발하였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진않았습니다.틀 안에서 골재(조약돌, 자갈, 모래)와 물을 경화제(시멘트 또는 석회)로 혼합하여 굳힌 물질. 압축을 견디는 물질이다.콘크리트 블록속이 꽉 차 있거나 비어 있는 콘크리트 구성재. 대체로 석조 건축에서 벽돌 대체물로 사용한다.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길게 뻗은 철근을 넣어 냉각한 콘크리트. 저항력이 강하고 내구성 있는 물질을 만든다. 긴 스팬으로 보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철근 콘크리트강철로 보강된 콘크리트. 건물에서 하중을 견디는 부분을 만드는 데 종종 사용한다.강철철과 탄소로 이루어진 금속. 내구성이 매우 좋으며, 주로 구조물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콘크리트 [concrete]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 손수짜기(DIY)와 정원 가꾸기, 2012.)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