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무지개는 실제 일곱까지 색깔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우리가 쉽게 구분가능한 색이 7가지입니다.스펙트럼으로 더 다양한 색상들이 그 선상에 존재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핫팩이 뜨거워지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핫팩은 철가루들이 산화하면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입니다.보통 우리가 흔들면 가루같은게 있는데 그것들이 모두 철가루입니다.그래서 공기와의 접촉을 막으면 더오래 유지하고 사용할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지구 온난화는 모든 계절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란 말그대로 지구가 따듯해지는 현상입니다.오존층이 있어서 빛이 우리 대기권 밖으로 나가는 양을 막아주는 것인데요.이 오존층이 점점 얇아지면서 빛이 머물지못하고 날아가는 현상입니다.단순히 겨울에 추워진다고 온난화가 진행하고 있는게 아니다라는 관점은 오류가 있습니다.우리가 체감할수 있는기온은 단기에 여러가지 요인으로 결정됩니다. 하지만 누적 데이터로보면양 극지방 빙하가 녹고있는 모습을 보고 우리는 온난화가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2일 작성 됨
Q.
플라스틱에 뜨거운 물을 부면 구부러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스틱에 사용되는 주재료인 폴리에스테르 때문입니다.내산성등에서는 월등히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나 내열성이 좋지 못한 물질이기도 하다.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보는 PP와 PE는 100℃를 넘어서는 서서히 변형이 오기 시작한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2일 작성 됨
Q.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한 방법으로 다 쓴 건전지와 새 건전지를 구별할 수 있다. 약 5cm 정도 높이에 건전지를 세워서 바닥에 3~4번 정도 떨어트리면 되는데, 이 때 건전지가 서있으면 새 건전지며, 픽하고 쓰러지면 다 쓴 건전지다. 건전지를 사용하면 건전지 속 알카리 성분이 없어지면서 안쪽에 가스를 만들기 때문에 안이 비게 된다. 그래서 다 쓴 건전지는 떨어트리면 서 있지 못하고 픽 쓰러지게 된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한쪽 기관이 망가지면 다른 기관이 발달한다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도 어찌보면 생명체 이기때문에 주변환경에 적응하게됩니다. 즉 한쪽 감각이 무뎌지면 그것을 보완하기위한감각이 발달하게되지요?? 예를들어 시각 장애우들은 청각이 극도록 발달하게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일본에는 왜 지진이 많이나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주로 일본에서 나타나는 지진은 판과 판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됩니다.또한 화산대가 태평양에 분포되어있는데 여러가지 이유로 해저깊은곳에서 지진이 발생되면, 일본은 우리나라의 방파제 같은 역할을 해주고있는것이죠??
화학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드라이 아이스를 손으로 만졌을떄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이산화탄소입니다.드라이아이스+알코올 조합일때 -79도 이상입니다. 이 드라이아이스는 바로 승화하는데요 승화란 고체에서 바로 기체로 가는 상태 변화입니다. 당연히 고체에서 기체로갈때 주변으로부터 엄청나게 빨리 열을 흡수하여 상태변화를 일으킵니다. 그래서 절대 맨손으로 만지지 말아야합니다.. 영하 100도도 채 안 되지만 차가워서 잠깐만 만져도 손에 문제가 생기는 건 물론이고 단순히 영하 100도의 기체에 노출되는 게 아니라 고체라서 온도 자체는 더 높을 지 몰라도 열을 빼앗기는 속도가 훨씬 빠르며 일단 달라붙어서 잘 떨어지지도 않을 뿐더러 설령 나중에 승화되어 없어진다고 해도 결국 끝에는 동상에 걸려서 피부에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장갑도 목장갑 2~3개는 끼고 만져야 한다.드라이아이스를 만지면 화상에 입는다는 오해가 널리 퍼져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화상을 함께 입는 게 아니라 동상의 증세가 화상과 동일할 뿐이다. 피부의 온도 감각인 온각과 냉각은 역치를 넘어서면 모두 통각으로 감지되므로 화상과 똑같은 아픔을 느끼게 된다. 동상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한랭 손상과 동결 손상이다. 그리고 드라이아이스는 동결 손상을 입히는 물질이고, 동결 손상에 걸릴 경우 화상과 유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손상된 부위는 염증 반응으로 화끈거리기 때문에 더욱 오해하기 쉽다.
생물·생명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과학자는 따로 라이센스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이란 학문은 누구나 연구하고 다룰수 있습니다. 본인이 공부해서 실험하고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면,별도의 라이센스없이 과학자로 활동할수 있습니다. 다만 대중의 인정과 학자들의 인정은 연구 결과물로 받아야겠지요?
물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보냉가방은 어떻게 온도유지가 잘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열이 전달되는 원리는 3가지가 있습니다.고체인 물체를 따라 열이 퍼지는 현상인 전도.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의 이동으로 열이 퍼지는 현상인 대류뜨거운 난로 옆에서 뜨거운 열기를 느낄 수 있는 복사.은박은 이 중에서 복사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따뜻한 물체는 열을 주변으로 퍼뜨리고그 경로 중 하나인 복사열전달은 열에너지를 적외선으로 방출하게 됩니다.복사열전달의 특성은 표면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은박은 적외선을 잘 방사(방출)하지도 않고 잘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171
172
173
174
1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