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5년 4월 27일 작성 됨
Q.
베르누이 원리를 누가 먼저 생각해냈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그 이전부터 유체역학에 대해생각한사람은 많이 있지만 수식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은 베르누이가 처음입니다.
물리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우리눈이 빛을 보기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우리눈이 볼수 있는 빛은 가시광선 밖에 없습니다. 우리눈이 받아들일수 있는 파장대가 가시광밖에없어서그렇습니다 그래서 그이외의 빛은 볼 수가 없어요
물리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공중도시를 설계가능한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인구가 밀집되어있고 다른 누구와 차별을 원한다는 염원에서 공중도시의 꿈이 생기지 않을까합니다. 아직은 현실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지만 먼 미래에는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데요. 현재과학 기술로는 몇가지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하늘을 날 수있는 가능성으로는 첫째 수소나 헬륨을 이용 둘째 로켓추진 셋째 비행기방식 넷째 우주엘리베이터 등이 있습니다. 또한 하늘에서 살기위해서는 산소가 부족하기에 호흡을 잘 할 수있는 장치도 필요합니다. 또한 항상 일정하게 있어야하고 위험하지 않아야 하죠. 따라서 아직까진 꿈의 기술일듯 합니다
물리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에어컨을 틀면 공기가 건조해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에어컨을 틀면 공기가 건조해지는것은 당연합니다. 장마철 집내부가 찝찝할때 에어컨을 켜면 뽀송뽀송해지고 찝찝함이 사라지죠. 이는 내부 습도가 내려가서 그렇습니다. 에어컨은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이는 열교환기에서일어납니다. 집안 온도는 높고 에어컨 열교환기쪽은 온도가 낮습니다. 그래서 그쪽에서 응결현상이 일어납니다. 냉동실의 얼은물을 갑자기 25도의 온도에서 녹일때 얼은물 주변으로 물방울이 맺히는것과 동일합니다. 이때 생기는 물은 공기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맺히는것입니다. 따라서 공기중 습도는 내려가겠죠.습도가 내려가면 건조해지는건 당연합니다.
물리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빛의 종류에 상관없이 빛의 속도는 같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네 말씀하신 자외선, x선, 감마선, 가시광선, 적외선은 다 같은 전자기파입니다. 전자기파의 파장이 달라 다르게 부르지만 다 같은 거에요. 당연히 빛의 속도도 같겠죠. 또힐 물리에서의 빛은 가시광만 말하는것이 아니라 전자기파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물리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선 상황을 보여주는 영상은 이론에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질문을 보고 나사가 만든 시뮬영상 한번 보고왔습니다. 블랙홀 주변으로 광자고리를형성하고 내부는 빛조차 나오지 못하니 검은색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영상은 현재 과학기술로 충분히 만들수 있을것 같아보입니다. 실제로 블랙홀을 관측하면 주변에 광자고리가 보이기도하죠.
물리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온도가 높은 물체에서 낮은 물체로 열이 이동하는 기본적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열역학 제 2법칙인 엔트로피증가의 법칙이있습니다. 고립된 계에서는 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하는데요 열의 흐름이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르는 현상이 열역학 제2법칙으로 설명할 수있습니다
물리
2025년 4월 21일 작성 됨
Q.
시간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과거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쉬운 질문인듯 아주 어려운 질문이네요. 물리적으로 보면 시간은 항상 앞으로만 흐르게됩니다. 열역학 제 2법칙으로 보면 시간은 항상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흐릅니다. 과거로 가는방향은 불가능하죠. 1초 전도 과거이고 계속 우리는 미래 현재 과거를 지나면서 살아갑니다. 그속에서 멈춰있지 않고 끊이 없이 변화하죠. 이게 시간이지 않을까합니다. 단 한번에 정의하기가 어렵네요.
물리
2025년 4월 21일 작성 됨
Q.
고전 역학의 주요 개념과 그 한계점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뉴턴의 법칙은 3가지가 있습니다. 제1법칙 관성의법칙, 제 2법칙 가속도의 법칙, 제3법칙 작용과 반작용의법칙입니다. 이는 우리가 살고있는 거시세계관점에서 봤을때 아주 잘 들어맞습니다. 외부의 힘이 없을경우 초기속도를 알면 앞날도 알 수있죠미래가 결정됐다고 볼수있습니다. 또한 모든 물체의 시간은 동일하게 흐른다고 보고있습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나오면서 이 법칙이맞을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때도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일반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도에 가까울수록 중력이 아주 강할수록 시간은 상대적으로 흐르게됩니다. 뉴턴역학으로는 이걸 설명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미시세계의 양자의 세계는 확률적 해석이 필요한데 불확정성의 원리를 보면 입자의 운동량과 위치를 동시에 알수없고 운동량과 위치또한 확률적해석이 필요합니다.
물리
2025년 4월 21일 작성 됨
Q.
비닐류에는 왜 종이보다 먼지가 잘 달라붙는 것 같죠?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비닐의 경우 정전기가 잘생기는데요 이는 비닐이 절연체라 전기가 잘 통하지 않아 내부에 전하가 쉽게 축적되어 그렇습니다. 그래서 비닐을 비비게되면 전하게 쉽게 축적되어 더쉽게 정전기가 발생하게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