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공학 전문가 감마입니다.
이성현 전문가
전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월 7일 작성 됨
Q.
숙취음료에 대해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데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 근거는 존재하나, 숙취음료에 포함된 숙취 관련 효능 성분들의 함량이 굉장히 미미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지만 안먹는 것보다는 좋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월 7일 작성 됨
Q.
지구는 왜 자전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하는 이유에 대한 유력한 가설은 항성과 행성이 형성되었을 때의 흔적이라는 것이다. 이들 천체는 가스 구름이 서로 뭉치면서 형성된 결과물인데 이 가스 구름은 소용돌이 치는 형태로 빙글빙글 돌면서 뭉친다. 마침내 모든 물질들이 뭉치면 하나의 천체가 되는 데 이 천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빙글빙글 도는 운동을 관성의 법칙에 의해 가지기 때문에 계속 끝없이 돌게 되는 것이다. 초기 가스 구름의 회전이 매우 느리다 하더라도 가스가 뭉쳐 천체가 되는 과정에서 각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회전 속도는 매우 빨라진다.출처-나무위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월 7일 작성 됨
Q.
한겨울에도 바닷물은 왜 얼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경우 어는점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얼게됩니다.순수한 물의 경우 영하의 온도로 떨어지면 쉽게 물이 얼수 있지만, 바다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이유로는 바닷물에는 다양한 염류가 포함되어있고, 이들의 존재로 어는점을 더 낮춤으로써 쉽게 얼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월 7일 작성 됨
Q.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만일 순간적으로 자전이 멈춘다면? 지표면 위의 모든 것은 관성으로 인해 시속 1,680 km의 속도로 내팽겨쳐지며(적도 기준) 개박살 날 것입니다. 자동차 충돌 사고가 일어나면 튕겨나가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이론적으로는 절대 불가능한 일입니다.
기계공학
2022년 1월 6일 작성 됨
Q.
비행가 하늘에 떠있는 원리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가 나는 원리의 요점은 고정 날개면이 어떤 속도로 공기 속을 운동하면 운동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 즉, 양력이 작용해 기체가 공중에 뜨게 되는 것이다. 비행기가 날 때에는 양력 뿐만 아니라 뒷쪽으로 작용하는 힘 즉, 항력이 발생한다.이러한 힘들의 작용으로 인해 비행기는 추락하지 않고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