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전문가입니다.
권명희 전문가
이리초등학교/방과후학교교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밥 먹을때 무조건 고기만먹는다는 아이는 어떻게 고쳐줄 수 있을까요?
아이들은 고기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야채나 다양한 음식을 접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고기반찬만 먹는다면 아이에게 골고루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과 함께 유치원에서 고기가 반찬으로 나오지 않을경우도 있으니 다른 반찬도 먹어야 함을 이야기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다른 반찬을 먹지 않는 다고 해서 내버려두면 편식이 더 심해질수 있기 때문에 편식과 관련된 책이나 영상을 보여주는 것도 좋으며 아이와 함께 요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수 있습니다. 요리를 통해 다양한 재료에 대한 모양이나 식감등을이야기 나누면서 재료에 대한 호기심을 가질수 있도록 하는것도 좋으며 맛보기를 하며 다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에게 정리정돈을 하는 습관을 길러주고 싶은데 어떻게 교육해야할까요?
아이에게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게 하려면 정리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가지고 논 장난감이나 물건들은 항상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종류별로 플라스틱 박스에 종류별로 이름을 붙여놓고 정리해나가는 것을 반복적으로 하다보면 정리하는 습관이 들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초5학년 아이가 사춘기가 온것같아요~
요즘은 아이들의 성장이 빠르기 때문에 초등 4학년~5학년정도가 되면 사춘기가 시작되기도 합니다. 사춘기가 되면 자아정체성이 확립이 되는시기로 독립적인 성향들이 강해지면서 자기주장이 강해지고 감정의 기복이 심하며 반항적인 행동을 하게 됩니다. 아이가 사춘기때는 다그쳐서 말하기보다는 차분한 목소리로 대화를 시도하려고 해야 합니다. 가능한 사소한 것이라도 자주 소통을 하려고 해야하며 아이의 관심사에 대해 이야기 하는것도 좋습니다. 또한 아이의 의견이나 생각을 존중해주며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주고 공감해주며 열린마음으로 다가서는것이 중요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말 트이는 시기가 언제일까요?
아이들은 성장 발달 상태에 따라 말트이는 시가가 다를수 있습니다. 보통 10개월~12개월부터 엄마, 아빠 등의 3개이상의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며 16개월~18개월정도가 되면 평균적으로 아이의 말문이 트이는 시기라고 볼수 있습니다. 20개월부터는 표현할수 있는 단어가 늘어나고 21개월에는 30개 정도의 어휘를 할수 있으며 24개월이 지나면 보통 3~4단어로 문장을 말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세정도 되면 대화를 할정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나 언어능력이 빠른 아이들은 3세 이전에도 가능하기도 하지만 늦은 아이들은 3세이후에 말문이 트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전업주부에서 워킹맘. 아이에게 어떤 설명이 필요할까요?
아이가 어릴때는 일보다는 아이와 함께 하는 것이 아이의 정서적 안정에도 도움을 줍니다. 엄마와 하루종일 같이 있다가 없으면 아이는 많이 불안해 할 겁니다. 그러나 어쩔수 없이 일을 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아이가 엄마와 떨어져 있는 상황을 받아들이고 불안감을 낮춰주기위해 충분한 설명을 해주셔야 합니다. 가령 엄마가 00랑 하루종일 같이 있어주고 싶은데 일을나가야해. 일갔다와서 엄마가 맛있는것도 많이 해주고 많이 놀아줄게. 하며 이야기를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혹시나 일을 하게 되면 불안감을 낮추기 위해.애착인형을 준비해 주거나 출근하기전 30분간 아이와 놀아주기, 퇴근후에 아이와의 시간을 많이 가져주고 많이 안아주고 사랑한다는 표현도 많이 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아이 일찍 재우는 좋은 방법 무엇일까요
아이들이 늦게 잠을 자게 되면 키성장에도 영향을 미칠수 있으며 아침에 일어날때 힘들어 합니다. 아이들이 잠을 늦게 자는 이유둥 하나가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는 습관이 들지 읺는 것도 있겠지만 핸드폰게임을 하거나 늦게까지 티비시청을 하기때문일수 있습니다. 가능한 잠자기 한시간전에는 티비나 핸드폰사용을 금지하고 독서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으며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잘수 있도록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편안한 잠을 잘수 있게 방안의 불을 끄고 누워 잠을 청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7살 아이 조기 학습 개별 학원과 공부방 어디가 더 괜찮을까요
초등입학전의 아이들은 다양한 체험활동이나 맘껏 뛰어놀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득이하게 조기교육을 시키고 싶다면 태권도나 피아노 학원정도는 보내도 괜찮을듯 싶으며 가정에서 조금씩 해주셔도 좋을듯 합니다.초등학교에 입학해서 시켜도 늦지않으니 신중하게 고민해보고 아이와도 이야기해보면서 결정을 하셨으면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오늘 아이가 학교를 못가는데 선생님한테 연락 몇시쯤 해야 맞을까요?
아이가 아파서 걱정이 많이 되시겠어요. 아이가 아파서 학교를 가지 못할 상황이면 학교등교시간 전까지 하시면 괜찮을듯 싶어요. 이른 아침은 하기가 죄송스러울수도 있으니 8시에서부터 8시30분정도 사이에 하시면 될듯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140일 정도 된 아기 낯가림 덜하는방법이 있을까요~?
아기들은 주로 엄마가 돌보기 때문에 엄마와 애착형성이 되어 있어서 모르는 사람들을 볼때 낯가림을 하게 되는데 이는 성장과정에서의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낯가림을 하는 아이들은 낯선 환경과 낯선 사람들을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생기는 것으로 티비를 켜놓는다고 해서 낯가림이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낯가림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또래 아기의 엄마들을 집으로 초대해서 함께 어울리는 기회를 자주갖거나 밖에나가 많은 사람들과 눈맞춤하며 이야기하듯 얼굴을 마주하다보면 아이의 낯가림이 덜 할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중학교 수학은 언제부터 준비하는게 맞을까요?
수학은 기초학습이 매우 중요한 과목입니다. 초등6학년 과정을 이해하지 못한채 중학교 과정을 한다는 것은 아이에게 너무 벅차고 힘들어 할수 있습니다. 우선은 초등6학년 수학 과정의 심화까지 학습을 하고나서 무리없이 할수 있다면 그때에 시켜도 괜찮을듯 싶습니다 . 중학교 수학을 일찍 시작 한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리는경우가 많기 때문에 되도록 이면 중학교 가기 한학기전에 하면 좋을듯 합니다.
231
232
233
234
2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