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화학
화학 이미지
Q.  시력이 나빠지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근시는 후천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성장과정에서 안구의 전후 길이가 길어지며 초점이 망막보다 앞쪽에 맺혀 먼 사물이 잘 보이는 않는 굴절 이상 증세를 말하며 원시는 보통 노화에 의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초점이 망막보다 뒤쪽에 맺히게 되면서 가까운 것이 잘 안보이는 현상으로 보통 노안증세가 이에 해당됩니다.근시는 TV와 스마트폰, 장시간 모니터 사용과 같이 주변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노화에 따른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원시에 비해 근시가 보다 더 잘 생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목소리로 유리를 깰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목소리로 유리잔을 깨는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일입니다. 이 것을 이해하려면 '고유 진동수' 를 알아야 하는데요,각각의 물체는 그 물체의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습니다.(진동수 : 1초에 몇번 떨리느냐 하는 겁니다)그런데 외부의 진동수와 그 물체의 고유진동수가 맞아떨어지면 물체에 심한 변형이 생기는데,그 물체가 유리인 경우 변형이 너무 심한 나머지 유리가 깨집니다.만약 사람의 목소리가 유리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게 된다면유리잔은 바로 깨지겠지요.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장갑차는 수륙양융도 되는데 어떤원리로 물에 뜰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수륙양용 자동차는 부력 원리로 뜨는데 부력을 확보할 큰 덩치와 가벼운 무게가 필수라고 합니다.수륙양용 자동차는 뭍에선 바퀴, 물에선 꽁무니의 프로펠러로 추진력을 만든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종이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목재펄프를 이용한 종이의 제조공정 목재펄프를 주원료로 하여 각종 기계적, 화학적 처리를 통해 용도에 알맞은 종이를 만드는 것을 제지(Papermaking)이라고 합니다.종이의 제조공정은 크게 조성공정, 초지공정, 도공공정, 마무리(재단, 포장)공정으로 나눌 수 있읍니다.→ 조성공정종이의 주원료인 목재펄프를 물에 해리(섬유를 물에 풀어지게 하는 과정) 시킨 후 고해(물에 풀어진 섬유에 기계적 처리를 가해 섬유를 절단)해 지료를 제조하는 작업으로 종이의 품질을 좌우합니다.→ 초지공정조성공정에서 만들어진 지료가 초지기로 이동해 탈수 및 건조과정을 통해 종이로 제조되는 과정입니다.→ 도공공정종이의 표면에 안료를 도포해 종이의 평활성, 광택도, 균일성, 백색도 등을 개성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눗방울은 어떻게 동그랗게 유지를하고있을수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동그란 상태가 가장 안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입니다.풍선을 불게 되면 아무런 장애가 없을 때 둥근 모양으로 커집니다.이것은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의 차이가 날 때 만약 내부의 압력이 더 크게 되면 외부로 일정하게 밀어내는데 모두 같은 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또한 어떤 물체의 중심에서 가장 골고루 동일한 힘이 미칠 수 있는 형태가 바로 원입니다.그래서 원의 경우가 가장 안정적인 상태인 것이죠.삼각형이나 사격형의 경우 그 물체의 중심에서 각 모서리에 작용하는 힘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깍이거나 보충되어서 결국 원의 형태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이런 원의 형태는 계속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맥주나 콜라 등의 캔의 밑바닥이 둥근 모양인 것도 바로 음료의 내부 압력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한 장치인 것입니다.비누방울의 경우도 풍선의 경우처럼 중심에서 바깥으로 일정한 압력이 작용을 하기 때문에 원의 형태로 유지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전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우리가 느끼지 못하지만 대단히 빠르게 운동을 하고 있답니다.우선 지구의 반경은 6400km 정도랍니다.따라서 원주는 2*6400*3.14 = 40200km때문에 지구의 한바퀴 길이는 대략 40000km 라고 말하구요.그런데 지구는 이 거리를 24시간만에 한바퀴 돌죠.즉, 40000/24 = 1,667km/hr 의 어마어마한 속도로 돌고 있습니다.음속이 1,200km/hr 정도니깐 음속으로 달리는 비행기라면 지구의 자전속도를 따라잡지 못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저항 소자 관련 소자에 색이 칠해져 있는게 나타내는 의미하고 저항값을 알수 있다는데 어떻게 보는 건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저항은 총 4색띠, 5색띠, 6색띠가 있습니다4색띠 = 색깔 4개 5색띠 = 색깔 5개 6색띠 = 색깔 6개4개 색띠 일때는 2개는 자리수, 1개는 승수, 1개는 오차이고5개 색띠 일때는 3개는 자리수, 1개는 승수, 1개는 오차입니다.3개 자리수는 색깔별 숫자를 확인하시고 승수랑 오차를 적용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내릴때는 속도가 일정한가요 속도가 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에서 만들어진 빗방울은 위치에너지만 가지고 있는데 하강을 시작하면 내려온 높이 만큼 운동에너지가 생기지만, 내려온 높이 만큼 위치에너지가 감소한다. 많이 내려올수록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지만 공기의 마찰에 의해서 운동에너지를 감소시켜서 낙하속도가 더 이상 빨라지지 못합니다. 결국 낙하 속도가 일정한 종단속도에 도달한 후 일정한 속도로 낙하합니다.이후에는 빗방울이 내려온 만큼 증가한 운동에너지는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없어집니다.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은 빗방울의 질량과 종단속도의 제곱을 곱한 값 만큼의 운동에너지를 가지지만 위치에너지는 0이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휴대폰을 냉동실에 얼리면 동작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 휴대폰의 경우 영하 20도 영상210도 까지 터지지 않고 버틸수 있다고 합니다.대부분 안켜지는 경우는 배터리의 문제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성 기름이 몸에 안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성기름에는 포화지방산이 많고 식물성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습니다.포화지방산인 스테아르산 팔미틴산 미리스틴산은 동맥경화의 질병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나쁘리라 생각이 됩니다.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