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물리
물리 이미지
Q.  무거운 무게들고나서 블랙아웃이 오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할때 우리는 순간적으로 호흡을 참고 물건을 듭니다 운동도 마찬가지입니다 힘을 사용하게 되면 호흡을 순간적으로 참고 힘을 주게 됩니다 우선 아시겠지만 피가 몸 곳곳에 산소를 옮기고 다니죠계속 호흡없이 운동을 한다면 머리에 산소가 부족해 심하면 블랙아웃이라는 기절을 하는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도 종종있습니다 결론은 호흡법을 제대로 신경쓰면서 운동을 해보십시오.
화학
화학 이미지
Q.  취나물을 대친후 헹굴때 거품이 일어나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취나물은 대표적인 알카리성나물이라 데친 후 찬물에 씻으면 이렇게 거품이 발생합니다.이 거품은 바로 사포닌 성분 이라고 하고신선하고 영양 많을수록 거품은 더 많이 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수류탄을 던져도 터질까요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수류탄 내부에 들어가 있는 폭약은 컴포지션B라는 물질입니다. 이것은 RDX와 TNT라는 폭약을 합친 것으로 둘 다 외부에 산소가 없어도 화학적으로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들이어서 폭발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 자동차에 대해 공부를 좀 하려고 하는데 전기에 대해...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아시다시피 AC는 교류 이고, DC는 직류 입니다.이것은 전기를 구분할 때 전압 또는 전류의 구분 표기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압으로는 교류전압과 직류전압의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전류로는 교류전류와 직류전류로 역시 두가지로 구분합니다.먼저, 두 가지의 커다란 차이점을 시각적으로 보면직류를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서 그래프로 나타내면 평행한 일직선인 파형이 나오고 교류는 사인파형(물결무늬)로 나오게 되는 차이점이 있답니다.교류전압(交流電壓)은 AC(Alternating voltage)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전압를 말합니다.다시 말해서 +극과 -극이 수시로 바뀌는 것을 AC라고 합니다.직류전압(直流電壓)은 DC(Direct voltage / Direct current)로시간과 함께 전압 또는 전류값이 변하지 않는것을 말합니다.주기가 없으며 일정한 방향으로 +와 -가 흐르는 것을 DC라고 합니다.직류는 주로 회로 (반도체회로, DC회로 등)에 많이 쓰이고교류는 사회전반에 걸쳐 널리 쓰이는 전기를 모두 포함합니다.직류는 교류에 비해서 차단하기가 어렵고 또한 직류를 얻으려면 정류를 해서 직류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사회전반에 걸쳐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그래서 일반적으로 전기를 전류로는 구분을 하지 않고 전압으로 구별하고 있습니다.참고로 전자부품들은 AC의 전류를 견뎌내기 어렵습니다.더군다나 220V 혹은 110V전원을 직접적으로받는 제품이라면 그 크기가 엄청나게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전자제품은 DC로 바꾸어 사용합니다.자동차에서 DC를 사용하고 싶을 때 다시 말해서 노트북이나 네이게이션 등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컨버터라는 기기를 사용해서 AC 를 DC로 바꾸어 사용하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몽고반점은 왜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몽고반점은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세포에 의해 발생합니다. 정상에서는 멜라닌세포가 피부의 가장 겉층인 표피에 위치하지만, 발생 과정에서 미처 표피로 이동하지 못한 채 진피(표피보다 깊은 곳)에 위치한 멜라닌세포가 보이면서 몽고반점으로 나타나는 겁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물건 거래시 사용되는 바코드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바코드의 개발은 1948년 식품 체인점 사장이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드럭셀 기술 대학의 학장에게 조언을 구한 것에서 출발하였읍니자.해당 대학원생이었던 버나드 실버(1924~1962)는 체인점 사장이 학장에게 한 얘기를 우연히 듣게 되었읍니다. 회사는 계산대에서 자동적으로 제품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원했지만, 학장은 그러한 연구를 시작하는 것에 관심이 없었읍니다.실버는 친구인 노먼 우드랜드(1921년 출생)와 함께 해결책을 마련해보기로 결심했읍니다.이 두 사람은 많은 시행착오 끝에 1920년대 리 드 포레스트가 발명한 영화 사운드트랙 기술과 모스 부호의 점/선을 결합해 보기로 했읍니다.우드랜드는 모스 부호를 아래로 늘어뜨려 점은 가는 선으로, 선은 굵은 선으로 만들었읍니다.드 포레스트의 필름은 필름의 가장자리에 따라 투과하는 빛의 양이 달랐읍니다.빛이 필름에 비춰지면 다른 면에 위치한 장치가 투과된 빛의 강도를 감지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자 파형으로 변환시켰으며 이 전자 파형은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바뀌었ㅇㅂ니다. 우드랜드는 드 포레스트의 이 시스템을 개조하여 각각의 넓고 좁은 선이 빛을 반사시키도록 센서를 오실로스코프와 결합시켰읍니자.적당한 가격, 낮은 전력, 레이저 광원, 획득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소형 컴퓨터가 출현하여 바코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기까지는 그로부터 수십 년의 세월이 흘러야 했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내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뜨거운공기가 한곳에 모여 밀도차로 상승하게 되 부피팽창후 온도가 하강한뒤 이슬점에 도달해 응결이된다음 구름이 생깁니생깁니다. 그 구름에 물방울들이 서로 달라붙어 무거워져 비로 내리게 됩니다. 최근 들어 인공강우 기술의 발전은 괄목할만하게 성장하고 있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전기차의 배터리는 충.방전 횟수를 몇회까지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기본적으로 충방전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데요 SOC(State Of Charge-충전상태) 100%부터 0%까지 쓰는 것을 1회 기준으로 하고 그 횟수가 500회가 넘게 되면 수명이 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읍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넘어갔는데 잠은 왜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에게 수면은 뇌의 피로를 회복하는 방법입니다.뇌는 신체의 정보를 처리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몸무게의 2%밖에 안 되지만 우리 몸이 소비하는 전체 에너지의 약 18%를 소비할 정도로 매우 활발하게 활동합니다.그런데 뇌가 쉬지 않고 계속 일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깁니다.그래서 뇌는 수면을 통해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해야 기능이 회복됩니다.또 수면은 뇌의 노폐물과 독소 배출과 관련이 있읍니다.우리가 깨어 있을 때 증가한 뇌 속 독소와 노폐물은 잠을 잘 때 빠르게 배출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배터리에 대해 공부를 좀 하려고 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리튬은 에너지 밀도가 높습니다.때문에 용량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습니다.메모리 이펙트가 없습니다.축전지 같은 경우 초기에 완전 방전을 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급감합니다.하지만 리튬 전지는 그렇지 않습니다.자가 방전률이 낮습니다.배터리를 방치하여도 방전이 잘 안됩니다.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