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따개비(?)의 정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따개비류는 겉모습만 보고 연체동물인 조개와 같은 종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의 만각에는 마디가 있어 새우나 게와 같은 절지동물로 분류됩니다. 부착성이 강한 따개비는 해안가 바위 뿐 아니라 선박이나 고래, 바다거북의 몸에도 석회질을 분비하여 단단히 들러붙어 일생을 지냅니다.그런데 이들은 번식을 위해 암수 한 몸인 이들은 교미침이라는 길고 유연한 생식기로 교미를 합니다.여러 개체가 가까이 붙어서 살아가기에 옆에 있는 개체를 향해 교미침을 뻗어 정액을 주입합니다. 이때 상대도 암수 한 몸이니 구태여 암컷을 구별해낼 필요가 없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행성 주변에 고리가 있는 행성은 토성만이 유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에서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모두 주위에 고리를 가지고 있읍니다.토성고리가 가장 화려하고 아름답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피에서는왜 쇠맛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피가 붉은색을 내게 하는 주성분은 적혈구내에 헤모글로빈이라는 성분입니다.이 헤모글로빈속에는 다량의 Fe(철)이 들어있습니다.그래서 피에는 쇠냄새가 나는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님들은 우주의 끝은 뭐라고 생각하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히 말해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우주의 모든 공간은 팽창하고 있고, 허블-르메트르 법칙에 의하면 공간의 팽창속도는 거리에 비례합니다.즉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공간의 팽창이 빠르게 일어납니다.지구로부터 465억 광년 떨어진 곳은 공간의 팽창속도가 광속에 달해 그 너머에서 진행하는 어떤 빛도 지구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즉 관측이 불가능합니다.과학자들은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만을 관측하고 가장 그럴듯한 가설을 세웁니다.하지만 허블-르메트르 법칙이 뒤집히지 않는 한 우주의 끝에 대한 어떤 가설도 검증할 수 없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올해에 역대급 폭염이 온다고 하는데 기상이변에 대한 대처방법은?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CO2) 포집 및 제거 기술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여 지구 온난화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적절한 장소에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산업용 연소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지하 수층이나 바위층 등의 지형 구조물에 저장합니다.포집 및 저장 기술 (CCS):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지하 수층이나 바위층 등의 지형 구조물에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지하 저장 공간에 액체나 가스 형태로 저장됩니다.생물학적 이산화탄소 포집: 식물이나 해조류 등의 식물성 생물체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생물학적으로 포집하는 방법입니다.이산화탄소 제거 기술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농도를 줄이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기후 조절: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기 위해 나무를 심거나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온실 가스 배출을 줄입니다.해양 산성화 방지: 바다에서 생물들이 성장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합니다. 해양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는 것은 바다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으며,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지하 산소 주입: 이산화탄소를 지하에 주입하여 지하에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인 물질로 변환시키는 방법입니다.또한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은 대기 중의 메탄을 분해합니다.실험에 따르면, 햇볕이 바다 위로 비칠 때 생기는 소금 줄기 위로 ‘철분(iron)’을 뿌리면 생성되는 많은 양의 수산화 라디칼이 만들어집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메탄의 분해도 더 빨라지게 됩니다.또 다른 방법은 자외선과 함께 대기 중의 메탄을 산화시키는 티타늄디옥사이드 페인트를 이용하는 것입니다.건물이나 풍력 발전용 풍차를 이 페인트로 칠해 메탄 분해를 시도할 수 있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콩나물은 햇빛을 보여주지 않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콩을 불리는 경우 햇빛을 봐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하지만 콩나물의 성장 속도가 워낙 빨라 방심하는 사이에 성장하여 자칫하다가는 싹에 엽록소가 생겨 입이 푸른 빛이 되며더 이상 자라지 않을 우려가 있습니다.그래서 처음부터 아예 햇빛을 차단하고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콩나물은 햇빛을 차단, 광합성을 방해하므로 콩 자체가 가진 영양분과 물로 콩나물을 성장시키는 재배 방식으로 기르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별과 인공위성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1. 유난히 밝다2. 빠르게 움직인다.3. 위의 경우를 만족시키는 것이 인공위성이며 날마다 같은 자리를 지나지는 않습니다.그에비해 별은 늘 제자리에서 1시간에 15도씩만 움직이므로 확실히 구별이 갑니다. 그런데 별처럼 보이는 것중에 행성이 있는데 행성중 우리가 볼수 있는 것은 오성으로 목, 화, 토, 금, 수이며 달근처에서 보이지만 한동안 최소 3시간을 볼수 있으므로 인공위성과 구분이 됩니다.더 정확하게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이며 행성이나 인공위성은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빛을 반사해서 밝게 보이는 것이면 가까이 있기 때문에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비행기 탑승할 때 비행기모드는 왜 하는거에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 모드는 핸드폰의 통신, 네트워크를 차단하여 핸드폰에서 전파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비행기와 핸드폰 모두 전파를 사용해 통신을 하므로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키는 것입니다.비행기는 교통수단 중 가장 안전한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한번 사고가 나면 대형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은 교통수단입니다. 여러 실험에서 핸드폰이 비행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결론을 냈지만, 이 실험들이 모든 확률을 0으로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실험에서 눈치채지 못한 0.1%의 확률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죠. 따라서, 정말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전을 위해서라면 안하는 것보다는 비행기 모드를 키는게 낫다고 보는 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패러데이의 법칙을 알아가던 중에 쇄교라는 용어에 대하여 궁금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쇄는 '쇠사슬'이라는 뜻이라고 하고 교는 '교차'한다는 뜻이므로 쇠사슬이 서로 연결된것처럼 교차된다는 뜻으로 쓴 한자말입니다. 즉 쇄교(鎖交: Inter-linkage)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생긴 자속(자기력선)이 코일이 형성하는 단면적을 통과하는 것 즉, 코일과 교차(交叉, crossing over, 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치는)하는 것을 말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도심 빌딩숲에서 바람의 세기가 더 강해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도시 내부에는 높은 빌딩들이 많아서 마찰력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이 약합니다. 하지만 빌딩에 바람이 부딪쳐 갈라져 불 때, 건물과 건물 사이에서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로 아주 강한 바람이 불게 됩니다. 이런 바람을 빌딩 풍 또는 빌딩 바람이라고 합니다.벤츄리 효과는 굵기가 다른 관에 유체를 통과시키면 넓은 관보다 좁아진 관에서는 유체의 속도가 빨라질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압력이 낮아지는 현상으로 이를 수리적으로 해석한 것이 베르누이의 정리입니다. 그러므로 빌딩 풍은 두 빌딩에 의해서 공기가 깔때기모양으로 수렴하여 풍속이 빨라지는 현상입니다.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