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운맛과 스트레스 해소의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매운 맛은 미각이 아닌 통각에 속합나다.매운 음식을 먹을 때 매운 맛을 내는 성분들이 혀의 표면에 달라붙고, 이에 따라 우리 뇌는 통증 경감을 위해 진통 효과를 지닌 엔도르핀을 분비하게 됩니다.엔도르핀은 통증 경감 뿐 아니라 일정 수준의 쾌감까지 가져다 주는 물질입니다. 매운 음식 섭취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유 입니다.또한 아드레날린 호르몬의 분비로 땀을 통해 노폐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개운한 기분까지 느낄 수 있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은하는 우주에서 얼마나 작은 규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은하의 지름은 10만광년이며 두께는 1만5천광년입니다.은하의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가는데 빛의 속도로 10만년을 가야하니 상상이 되지 않는 크기입니다.우리은하에는 태양과 같은 별이 대략 6천억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크기는 어마어마한데 이런 은하를 2조개(추정)를 담고 있는 우주의 크기는 현대 수학으로도 표현하지 못할 정도로 광대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키위와 파인애플의 어떤 성분이 입안에 통증을 유발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단백질을 분해하는 성분인 브로멜린이 함유 되어있읍니다. 그래서 파인애플을 먹으면 입안의 단백질을 분해해서 얼얼하고 아프고 심하면 피가 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소똥구리는 멸종위기종 정말 맞습니까?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소똥구리과는 전 세계적으로 약 3만종이 기록되어 있는데, 똥을 굴리는 종류는 200여종에 불과합니다.우리나라는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2급인 소똥구리를 포함해 ‘왕소똥구리’ ‘긴다리소똥구리’ 3종이 알려져 있지만, 그마저도 매우 희귀하여 쉽게 관찰되지 않고 있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하루살이는 실제로 하루만살고 죽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은 하루살이를 아침에 태어났다가 저녁에 죽는 곤충으로 알고 있읍니다.그래서 그 날 벌어 그 날 먹고사는 사람을 두고 '하루살이 인생'이라고 합니다.그러나 하루살이(mayfly)는 평균 1년(긴 것은 3년)을 유충으로 지냅니다. 하루살이는 대부분의 생활 - 알, 애벌레 - 을 물 속에서 하며 단지 성충 시기에만 물 밖으로 나와 교미를 합니다.일반적으로 하루살이는 성충이 되어서 단지 하루만을 산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는 하나 실제로 일주일에서 보름 정도를 살기도 합니다.그러나 대부분의 하루살이는 교미를 한 후 바로 죽기 때문에 하루살이라는 이름이 매우 그럴 듯하다 다시 말하면 하루살이는 하루 밖에 못사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성충이 되어 물 밖으로 나오는 이유가 종족번식을 위한 교미 때문이며, 교미 후 곧바로 죽기 때문이고,여러 개체를 낳기 때문에 자연적으로는 개체수가 증가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바람은어떻게생기는걸까요?궁금해서문의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주위보다 공기가 많으면 고기압, 주위보다 공기가 적으면 저기압이 됩니다.바람은 공기의 흐름으로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게 됩니다.낮에는 육지가 더 빨리 데워져 바다보다 기온이 더 높습니다.육지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으므로 육지 쪽 공기가 상승하게 되어 저기압,바다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으므로 공기가 하강하여 고기압, 따라서 바람은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 해풍이 불게 됩니다.밤에는 반대로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식어 기온이 더낮습니다.바다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으므로 바다 쪽 공기가 상승하게 되어 저기압,육지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으므로 공기가 하강하여 고기압 따라서 바람은 육지에서 바다로 부는 육풍이 불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표면에서 맨틀까지 사이의 공간에는 무엇이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각은 지구를 구성하는 가장 바깥쪽의 딱딱한 암석층을 말하며,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으로 구분됩니다. 대륙지각은 두께가 평균 35Km - 40Km이고, 해양 지각은 6Km - 10Km 두께에 이릅니다. 지각 아랫부분엔 맨틀이라는 유동성있는 액체 암석층이 자리잡고, 그 아래에 외핵, 다음으로 내핵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참고로 지각의 표면을 지표면(지구표면)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중독시에는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물 중독 원인은 한꺼번에 과도한 양의 물을 한꺼번에 마셔서 나트륨의 농도가 낮이지기 때문입니다.증상은 두통과 구토이며 뇌가 부우며 호홉 곤란증이 올수가 있습니다.일단 이 물중독이 의심이 되신다면 소금을 한 숟가락으로 퍼서 드신후에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일단은 물은 과도하지 않게 자신에게 맞는 양의 적당한 양의 물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피뢰침의 원리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전기에너지는 저항이 약한 방향으로 흐르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은 번개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피뢰침은 바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것인데, 고층 건물이나 건축물의 경우에는 예기치 않게 낙뢰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는데, 금속으로 만들어진 피뢰침을 건물옥상보다 더 높은 곳에 설치해두면, 건물보다는 피뢰침으로 낙뢰가 떨어질 확률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콘크리트로 구성된 건물내벽보다는 금속으로 구성된 피뢰침이 전기저항이 더 낮으므로 전기가 더 잘 흐르를 수 있는 환경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사람이 만들 수 있는 가장 높은 건물은 몇층까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기술 수준으로 늘씬한 빌딩 형태의 건물을 지을 때 인간이 올라설 수 있는 높이는 200층에 1000m 수준 이라고 들었읍니다. 현재 사용 중인 재료보다 강도가 세고 가벼운 재료가 나와야 1천m 이상의 초고층 빌딩 건축이 가능할 것이라는 합니다. 현재 건축현장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경우 콘크리트는 1㎠에 2백70㎏의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철근은 4천㎏ 정도라고 하니 기술 개발이 계속 되니 높은 건물 건축이 꾸준히 가능 할것으로 보입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