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우리몸에서 땀이 나는 이유가 먼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몸에서 열이나면 체온을 낮추기 위해 땀구멍을 열고 열을 배출합니다.몸에서 열을 내면 체온이 올라가면서 우리 몸에 땀이 흐르는데 땀은 서서히 마르면서 우리 몸의 열을 빼앗아 갑니다. 그래서 체온이 낮아지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우박이 생기는 원리가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적운(積雲)이 발달되어 구름 꼭대기가 5∼10℃까지 이르면 빙정(氷晶)이 생기고 습도가 높은 구름에서 급속도로 성장하여 눈의 결정이 된 후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낙하 도중에 많은 수의 과냉각된 구름 알갱이가 충돌하여 얼어붙고, 점차 더 성장하여 낙하속도가 커짐으로써 지상에 이르게 되는데, 이것이 싸락눈 또는 우박입니다.
토목공학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인간의 시력은 수치가 몇까지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최대 시력은 시세포의 밀도에 따라 그 한계치가 달라집니다.평균적으로 사람의 망막에서 간격을 인지할 수 있는시세포들 사이의 거리는 약 2.5마이크로미터 정도가 된다고 해요. 이 간격을 각으로 환산하면 1/2분각이 되고이의 역수인 2.0이 인간이 가지는 최대 시력이 됩니다.
토목공학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차탈때 책이나 폰을보면 왜 멀미가 더 심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현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는 감각기관은 두가지 입니다. 귓속에 있는 기관과 눈이지요.멀미와 어지러움증은 중추 신경계가 다른 기관에서 정보를 혼동해서 받을 때에도 생깁생깁니다. 눈은 이것을 감지 못해도 다른 기관으로부터 뇌는 "흔들리고 있다" 는 사실을 보고 받으면 "멀미"를 느끼게 되지요.차 안에서 책을 볼 때 내이와 피부는 움직임을 느끼지만, 눈은 책에 고정되어 있어 "멀미"를 일으키게 됩니다. 또 사고나 염증으로 한쪽 내이의 손상이 있을 때 손상 받은 측은 뇌에 신호를 보내지 못합니다. 이것이 뇌의 회전 감각에 혼란을 주어 현기와 오심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3일 작성 됨
Q.
잠을 자지 않는 동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을 자지않는생명체는 없습니다.뇌가 있다면 휴식이 필요합니다.파리도 눈뜨고 나라다니면서 잠을 잔다고 합니다.전세계 과학자들이 잠을 자지않는 동물에 관심을 품고있읍니다.하지만 그수수께끼는 풀지못하고있습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