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간은 살아가면서 뇌를 최대 몇% 까지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의견이 아직까지 분분 한데요. 과학적으로 PET나 fMRI 등의 뇌의 활동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기술로 뇌를 들여다보면 간단한 작업을 할 때에도 뇌의 여러 부분의 활동이 필요한 것이 밝혀졌고, 심지어는 잠든 동안에도 뇌에서 필요한 여러 부분이 활성화된다고 합니다. 뇌 스캔 이미지로 뇌의 활동을 보아도 뇌가 손상되지 않는 한 자주 활동하는 부분이 있을지언정, 아무런 활동을 보이지 않는 부분은 없습니다. 결국 인간이 두뇌 신경세포를 동시에 100% 이용하는 일이 없을 뿐이지, 자신의 두뇌를 100% 가깝게 사용한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Q. 뾰족한 고속열차와 다르게 지하철은 앞부분이 네모각지게 평평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1. 속도가 느리다.설계 최고 속도는 110km/h 정도로 꽤 빠르지만,역간 거리가 너무 짧습니다.출발하자 마자 다음역에 정차할 준비를 해야 하는 겁니다.결국 공기 저항이 큰 영향을 줄 정도까지의 속도는 내지 못합니다.2. 시야 확보가 편리해야 한다.지하철은 정차를 자주 하고,또 정위치에 정확하게 정차해야 합니다.그러려면 바로 앞도 잘 보여야 합니다.만약 전두부를 뾰족하게 만든다면,그 뾰족한 코(?)가 시야를 다 가려버릴 겁니다.3. 사람을 많이 태워야 한다.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입니다.지하철은 무엇보다 사람을 많이 태워야 합니다.그런데 전두부가 뾰족하다면 어떻게 될까요?전두부가 차지하는 길이가 그만큼 길어지고,그만큼 사람이 탈 공간은 줄어듭니다.그외 다른이유도 있읍니다. 비용, 효율성 문제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