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18일 작성 됨
Q.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산이 무엇이고 높이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에베레스트(Everest 8,848m)높이 : 8,848m 위 치 : 네팔과 중국 국경, 쿰부 히말라야 네팔명은 '사가르마타',중국에서는 '초모랑마'로 불리우며 조지 에베레스트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18일 작성 됨
Q.
우박은 비와 다르게 하늘에서 어떤 원리로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박은 거의 적란운에서 잘 생깁니다. 적란운에서 작은 알갱이 들이 땅으로 떨어지다가 강한 상승기류 바람으로 인해 다시 위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합니다. 그럼 어느 정도 뭉치겠죠? 적어도 쌀알 크기 정도 이상이 되면 떨어지게 됩니다.
화학
2023년 4월 18일 작성 됨
Q.
수소가 폭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반응식만 보면 단순한 산소결합이지만산소와 결합하는 과정. 즉 연소에 의한 열방출이 폭발의 원인입니다.수소기체는 폭발성이 없지만 산소와 섞이면 작은 열에도 화학반응의 연쇄로인한 폭발이 일어납니다. 수소기체 자체로는 폭발성을 띄지 않습니다.보통 액화수소가 기화하면서 팽창하는 현상으로 폭발성을 설명하기도 하는데,급속팽창을 하더라도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다면 연소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18일 작성 됨
Q.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빙정(얼음입자)에 물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달라붙으면서 점점 커지게 되고 그러다가 상승기류를 이겨낼만큼 커지게 되면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데 따뜻한 곳에서는 비가 되고 차가운 곳에서는 눈이 됩니다.수증기가 응결할때는 열을 방출한다는 건 알고 계시죠? 이런 열방출로 인하여 구름속에서는 상승기류가 생기게 됩니다. 수증기가 많이 응결할수록 상승기류도 강해지게 되고 빙정에 수증기가 달라붙어서 상승했다가 낙하하다가 다시 또 다른 상승기류를 만나 상승 하강 이런게 반복되다 보면 우박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물리
2023년 4월 18일 작성 됨
Q.
무의식 적으로 다리를 떠는 건 어떤 체계로 인해서 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평소에 불안함을 많이 느끼는 경우 다리를 떤다고 하는데요!보통 태아 때 자궁 안에서 느끼던 모체의 심장박동을 다시 느끼기 위해 규칙적인 리듬으로 다리를 떤다고 해요 또 가만히 있으면 처음에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지만,시간이 흐를수록 혈액순환이 어려워지는데요!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떤다고 합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