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숭이 두창은 언제부터,어느지역에서 발견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원숭이두창은 1958년 처음 발견된 질병으로 천연두(두창)와 비슷한 증상이 실험실 원숭이에서 발견돼 해당 이름이 붙었고 1970년 콩고에서는 최초로 인간 감염 사례가 확인됐으며, 이후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지역 특히 콩고와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감염 사례가꾸준히 보고됐습니다.최근 유럽에서 발견된 원숭이두창은 '서아프리카형'으로 다소 증세가 경미하며 치명률은 약 1%다. 중증 진행 확률이 높은 '콩코분지형'은 10% 정도입니다.원숭이두창에 걸리면 천연두와 마찬가지로 발열, 두통, 근육통, 임파선염, 피로감 등 초기 증상이 나타납니다.이후 수포와 딱지가 피부에 생깁니다.병변이 얼굴과 생식기 등 몸 전체로 번지는 경우도 많습니다.통상 수 주 내에 회복하지만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읍니다.잠복기는 5∼17일현재 원숭이두창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은 없습니다. 그러나 '천연두 백신'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졌읍니다.
Q. 화학에서 말하는 촉매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반응과정에서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을 말합니다.반응이 일어나는 데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변화시켜 반응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촉매의 역할입니다.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서 반응속도를 높여주는 촉매를 정촉매,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 반응속도를 낮추는 촉매를 부촉매라고 합니다.촉매는 촉매와 반응물의 상에 따라 반응물과 촉매가 상이 같은 균일계 촉매, 반응물과 촉매가 상이 다른 불균일계 촉매로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읍니다.또한, 촉매의 역할에 따라 산화-환원 촉매, 산-염기 촉매, 금속 촉매등으로 분류할 수 있읍니다.예를 들면,산소 발생 실험에서 가지달린 삼각 플라스크에 이산화망간을 넣고 묽은 과산화수소수를 떨어뜨릴 때, 이산화망간은 변하지 않고 묽은 과산화수소수만 반응하니 여기에서의 촉매는 이산화망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