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처럼 산이 많이 있는 곳은 왜 산이 많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신생대 제3기에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의 동해에서 매우 큰 화산 활동이 있었습니다. 일본의 지각판은 해양 판이기 때문에 쉽게 밀리지만 우리나라는 매우 단단하고 견고한 유라시아 판에 속하고 오랜 시간 동안 침식과 퇴적의 반복으로 다져진 단단한 땅이기 때문에 쉽게 밀리지 않죠. 원래 우리 한반도는 오랜 침식으로 다져진 평탄한 지형이었는데 화산 활동으로 동해 바다 속에서 큰 간격으로 갈라지는데 그 때 발생한 횡압력이 우리나라의 동해쪽에 압력을 가하지만 우리나라는 밀리지 않고 이 횡압력과 버티는 힘이 부딪히는 우리나라의 동해안 쪽이 솟아오르는 융기 작용이 발생하게 되죠. 그래서 산이 높고 많습니다. 이 때 만들어진 산맥이 태백산맥과 낭림 산맥, 함경 산맥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도플러 효과는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란, 소리나 빛 등의 파동이 소스 또는 관측자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주파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파수와 파장 길이에 관계가 있으며, 파동의 출발점이나 관측점 중 어느 쪽에서 소리를 내거나 받는가에 따라 파동의 주파수가 달라지게 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가 다가오면 높아지고 멀어지면 낮아지는 것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미꾸라지가 하늘에서 떨어 질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의 습성은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러니깐 물이 흐르는 반대 방향으로 즉 하류에서 상류로 소나기가 막 오면 물고기는 다시 물을 역류하는 습성대로 소나기의 물줄기를 타고 하늘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것이지요.그러다가 자신의 무게에 의하여 땅바닥에 떨어집니다. 이러한 자연 현상이 바로 물고기들의 확산을 돕는 자연의 오묘함입니다. 도저히 물줄기가 합지지 않는 서로 다른 강에 동종의 물고기가 사는 것이 바로 이러한 물고기의 물의 흐름에 대한 역류성질의 결과인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람이 만들어지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은 공기의 움직임입니다.우리가 사는 지구는 공기로 둘러싸여 있어. 이 공기들이 계속 움직이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것입니다.그렇다면 공기는 왜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움직여서 바람을 불게 할까요? 그것은 기압의 차이 때문이에요. 기압은 지구를 둘러싼 대기가 지구를 누르는 힘을 말합니다.태양열이 지구를 데우면, 지구 일부 지역의 공기가 위로 올라가고 햇볕을 많이 받아 따뜻해진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것입니다.그러면 따뜻한 쪽에 생긴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해 주변의 공기들이 그 중심으로 움직이게 됩니다.이렇게 해서 주변보다 중심에 공기가 많아지면 고기압이 되고, 공기가 적어지면 저기압이 됩니다.결국 바람은 기압의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것이고 기압은 태양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바다는 투명한데 푸른색으로 보이는 과학적이유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파장에 따라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때 우리가 볼 수 있는 광선 혹은 반사되어 우리 망막에 맺히는 파장을 가시광선이라고 합니다.그 가시광선에서도 빛의 파장의 길이에 따라 빨 주 노 초 파 남 보 로 나누어지는 여러 색깔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데요. 붉은 색일수록 파장이 길고 파란색이 파장이 가장 짧다고 합니다. 이러한 광선은 바다속에 비추이게 되면 바다속의 미세한 입자들에 의해 빛이 산란이 되게 되는데요.이 과정에서 적색계통의 파장은 전부 흡수되어 버리고 가장 짧은 파장인 파란빛만이 반사되어 바다를 파랗게 보이게 하는 것이죠.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염화칼슘으로 눈을 녹이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CaCl2 의 용해반응은 발열반응입니다. 용해를 하면서 열을 낸다는 말이죠.이러한 용해열이 제설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물과 기름은 왜 섞이지 않고 분리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극성이라는 성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기름은 무극성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극성과 극성, 무극성과 무극성끼리는 잘섞이지만 극성과 무극성은 섞이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드릅나무는 어떻게 번식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두릅나무에는 11월쯤 되면 까만 열매가 마치 탑을 쌓아 놓은 것처럼 무수히 많이 달리는데 까만 열매를 손으로 비비면 그 속에서 참깨종자 같은 두릅열매가 나오면서 자연 발아 할수 있읍니다. 가장 잘 사용 하는 방법은 나무두릅은 뿌리꽃이 번식이 되는 나무로 두릅나무 뿌리를 10센지 정도로 잘라서 땅에 뭍어두시면 모두 싹이 올라옵니다.한번 심었던 곳은 번식력이 왕성해서 주변일대를 다 두릅밭으로 만들어 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미국쪽에 허이케인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던데 년도별로 점점 심해지는거 같은데 미국 대륙에 허리케인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용?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일단 말씀드리면 태풍, 허리케인, 싸이클론 등등은 모두 열대 저기압의 일종입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발생하는 지역이 틀리고 영향을 주는 지역이 틀리기 때문에 각각의 나라마다 이름을 달리하는 것인데요,허리케인 발생지역이 바다와 인접해 있고, 육지와 해수의 온도차로 인해 바다에서 많은 수분을 가지고 육지로 올라오기 때문에 오히려 태풍보다 위력이 큰 허리케인이 되는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도깨비불의 정체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도깨비불은 일반적으로 메탄 가스나 죽은 동식물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가스가 자연발생적으로 연소하면서 생기는 현상을 보고 그렇게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민간에서는 많은 사람이 도깨비불로 믿고 있습니다. 도깨비불은 이상 굴절 현상이 일어나서 빛이 굽어 위로 떠올라서 보입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도깨비불을 귀신으로 오해하여 두려워했던 것입니다.농경사회에서 빈번하게 출현했던 도깨비불은 현재 거의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도깨비불은 아득히 먼 옛날이야기가 되었습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